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성구
 |
현황 |
면적 |
76.5 km² |
세대 |
160,677가구 (2011.6.30) |
총인구 |
461,547명 (2011.6.30) |
행정동 |
23개 |
법정동 |
26개 |
구청장 |
이진훈 |
구청 |
소재지 |
수성구 달구벌대로 2450 (범어동 238-3) |
홈페이지 |
http://www.suseong.daegu.kr/ |
상징 |
구목 |
은행나무 |
구화 |
장미 |
구조 |
왜가리 |
수성구(壽城區)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남부에 있는 구이다. 북쪽으로는 동구, 서쪽으로는 중구와 남구를, 남쪽으로는 달성군 가창면, 동쪽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와 인접하고 있다. 수성구는 동구의 일부를 분리하여 현재의 수성구로 만들었다.
수성(壽城)라는 명칭은 고려 시대 수성군에서 기인한다. 1914년부터 1938년까지 존재한 경상북도 달성군 수성면과 현재의 구역을 비교해 보면, 동구 효목동, 신암동, 신천동, 남구 대명동, 봉덕동을 제외하고 일치하며, 경산군 고산면(현재의 시지 일대)이 편입됨으로써 현재의 구역을 가지게 되었다.
수성구의 주요 시설로는 대구스타디움, 대구지방법원, 대구고등법원, 대구지방검찰청, 국립대구박물관, 어린이회관(어린이대공원), 수성못유원지 등이 있으며, 교육 여건이 우수하여 주거 지역으로 선호하는 지역이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달구벌대로 범어동, 만촌동, 시지 구간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교통도 편리하다. 범물동, 지산동, 황금동, 두산동 일대에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신설될 예정이다. 현재 수성구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는 약 45만여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이 거주하는 여초지역이다.
[편집] 역사
1980년 이전의 역사는 대구 동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구역의 역사에 대해서는 수성구의 행정 구역#연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1980년 4월 1일 아래 도표와 같이 동구의 일부를 관할로 하여 수성구가 신설되었고[1], 범어2동을 범어3동으로 분동하였다.[2] (15행정동 13법정동)
- 15행정동 -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만촌1동, 만촌2동,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황금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동, 범물동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수성구의 행정 구역입니다.
수성구의 행정 구역은 2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성구의 면적은 76.46km²이며, 인구는 2012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범어1동 |
泛漁洞 |
1.09 |
6,360 |
18,579 |
범어2동 |
|
1.13 |
5,019 |
13,411 |
범어3동 |
|
0.57 |
4,156 |
12,060 |
범어4동 |
|
1.08 |
6,265 |
19,824 |
만촌1동 |
晩村洞 |
2.87 |
8,816 |
26,391 |
만촌2동 |
|
1.62 |
5,009 |
13,456 |
만촌3동 |
|
1.78 |
7,210 |
22,425 |
수성1가동 |
壽城洞 |
0.58 |
6,603 |
18,652 |
수성2.3가동 |
|
0.65 |
4,736 |
13,297 |
수성4가동 |
|
0.64 |
6,241 |
17,555 |
황금1동 |
黃金洞 |
2.68 |
8,144 |
25,997 |
황금2동 |
|
1.16 |
5,518 |
13,208 |
중동 |
中洞 |
0.92 |
6,221 |
13,742 |
상동 |
上洞 |
1.32 |
7,167 |
17,216 |
파동 |
巴洞 |
5.82 |
5,274 |
13,665 |
두산동 |
斗山洞 |
1.97 |
5,837 |
13,938 |
지산1동 |
池山洞 |
2.65 |
10,211 |
26,559 |
지산2동 |
|
1.97 |
8,388 |
23,790 |
범물1동 |
凡勿洞 |
5.42 |
6,077 |
14,935 |
범물2동 |
|
2.32 |
6,360 |
18,871 |
고산1동 |
孤山洞 |
8.8 |
10,990 |
35,966 |
고산2동 |
|
24.41 |
9,780 |
30,276 |
고산3동 |
|
5.01 |
11,295 |
35,753 |
수성구 |
壽城區 |
76.46 |
161,677 |
459,566 |
[편집] 관광
[편집] 교육 기관
|
- 고산중학교
- 노변중학교
- 대구동부중학교
- 대구동중학교
- 덕화중학교
- 동도중학교
- 동원중학교
- 범일중학교
|
|
|
|
- 대구경동초등학교
- 대구고산초등학교
- 대구노변초등학교
- 대구대청초등학교
- 대구동도초등학교
- 대구동문초등학교
- 대구동산초등학교
- 대구동성초등학교
- 대구동원초등학교
- 대구동일초등학교
- 대구사월초등학교
|
- 대구동천초등학교
- 대구두산초등학교
- 대구만촌초등학교
- 대구매동초등학교
- 대구시지초등학교
- 대구신매초등학교
- 대구용지초등학교
- 대구욱수초등학교
- 대구중앙초등학교
- 대구지봉초등학교
- 대구지산초등학교
|
- 대구청림초등학교
- 대구파동초등학교
- 대구황금초등학교
- 대구삼육초등학교
- 대구범일초등학교
- 대구복명초등학교
- 대구성동초등학교
- 대구수성초등학교
- 대구매호초등학교
- 대구범물초등학교
- 대구범어초등학교
|
[편집] 주거 지구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주석
- ↑ 대통령령 제9630호 서울특별시은평구등7개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1979년 9월 26일)
- ↑ 시조례 제1244호 (1980년 3월 18일)
- ↑ 법률 제3424호 (1981년 4월 13일)
- ↑ 시조례 제1357호 (1981년 6월 29일)
- ↑ 시조례 제1651호 (1983년 3월 11일)
- ↑ 시조례 제2057호 (1986년 12월 31일)
- ↑ 법률 제4004호 (1988년 4월 6일)
- ↑ 법률 제4789호 (1994년 10월 20일)
- ↑ 구조례 제512호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