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에서도 제주어를 옛한글로 쓰기는 쉽지 않다. 글꼴을 설치해야 하고 입력기도 준비해야 한다. 글꼴을 설치하지 못하는 모바일(스마트폰)에서 옛한글 쓰기는 꿈도 꾸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게 너무나 꿈같이 실현이 됐다.
2021년 3월 어느날 우연히 내 폰에 옛한글이 쓰인 것을 봤다. 내 눈을 의심했다. LG전자가 2015년 스마트폰에 roboto 글꼴을 system font로 채용한 것을 아무도 모르고 있었다. LG폰으로 제주어를 쓰자고 소개했지만 LG폰 쓰는 사람이 몇 없었다. LG전자는 2020년 LG벨벳2pro 를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사업을 종료(7월 31일)해서 roboto 글꼴도 LG폰과 함께 사라졌다.
2023년 9월 삼성 galuxy tab S6 에서 옛한글이 되는 것을 발견(?)했다. 삼성이 2016. 7월 SamsungOne 이라는 글꼴을 개발하였고 12월 galuxy store에 올려놨다는 것을 google 검색에서 찾았다.
LG폰의 roboto 처럼 삼성의 SamsungOne도 옛한글 글꼴이라는 것을 몰랐다. roboto 글꼴을 추적하고 있었으므로 SamsungOne이 옛한글 글꼴임을 알수 있었다.
LG폰만 쓰던 나는 걀럭시를 쓰는 친구에게 부탁하여 SamsungOne 글꼴을 설정하면 갤럭시 폰에서도 옛한글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2023. 9. 20. 보전회 밴드에 "갤럭시 옛한글"을 공지하고 옛한글 입력기도 소개했다.
옛한글 읽기
갤럭시 설정>디스플레이>글자 크기와 스타일>글꼴 에서 'SamsungOne'을 선택
옛한글 쓰기
play store에서
'세벌식 키보드'로 검색하여 '세벌식 한글 입력기'를 찾아서 설치하고
* 열기>입력방식 에서 세벌식 한글 입력기를 활성화하여 선택
* 열기>스마트 키보드>한글 키보드 종류 에서 '두벌식 옛한글'을 선택...
옛한글은 한글이 아니라는 뜻이다. 유니코드에 등록된 완성형 한글 11,173자에 포함되지 않아서 인터넷에 쓰지 못하는 글자들을 옛한글이라고 한다. '한글이 곧 훈민정음'이라 해서 '옛훈민정음'은 말이 안되고, 한글 이전에 쓰던 언문 글자를 옛한글이라 하고 있다.
드디어 이제야 우리 밴드에 제주어를 언문으로 쓰게 됐다. 한글이 죽여버린 아래아를 우리 IT기술이 살려냈다. 언문과 훈민정음이 살아난다.
첫댓글 잘 뒈엇수다. 갤럭시에 신 SamgsungOne 글꼴이 옛한글 글꼴이옌 ᄒᆞ난 잘도 ᄉᆞ망일엇수다양.
ᄄᆞ난 밴드서 요ᄒᆞ루기 두 사름이 옛한글로 ᄌᆞᆨ아논 제주얼 나가 붸리메 잘도 지꺼집데다.
ᄒᆞᆫ 사름은 노트북이서 아매 날개셋 한글 입력기로 ᄌᆞᆨ은 거 닮앗곡, ᄄᆞ난 ᄒᆞᆫ 사름은 스마트폰서 세벌식 한글 입력기로 ᄌᆞᆨ앗젠 ᄒᆞ엿입주.
사름덜이 ᄒᆞ꼼썩 호응ᄒᆞ여 주곡 오몽ᄁᆞ장 ᄒᆞ여 주난 좋수다.
훈민정음이옝 ᄒᆞ는 헤가 또시 뜨기 시작ᄒᆞᆫ 거 닮안 막 지쁘우다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