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에도 길.흉이 있다.
● 획수로 보는 원.형,이,정격(元.亨.利.貞格)
길수와 흉수(길.흉.화,복) -
길한 획수 수리 1.3.5.6.8.11.13.15.16.17.18.21.13.24.25.29.31.32.33.35.37.38.39.41.45.47. 48. 51.52. -
흉한 획수 수리 2.4.9.10.12.14.19.20.22,26.27.28.30.34.36.40.42.43.44.46.49.50.56 - -
흉수가 길로 변하는 수리 (매사 순조롭고 행운 속에 명예. 재산을 축척함 급변.재난을 피하는 수리) = 6.17.18.29.36.38.51.53.
중길 수리 - 장애. 파란곡절. 애로가 있어도 경미 하 게 능이 극복하는 수리
* 흉수 : 운세가 흉운 으로 유도되고. 길이-흉으로 변하는 작용함 (매사 곤란과 역경이 겹치고 적국적인 활동 퇴하, 퇴보로 하락 운이 되고. 가정에 냉.담이 흐룰 수 있고. 금전 운 - 벌어도 모여지지 않고. 쉽게 돈이 나감, 병난(病難) 수술(手術)등으로 흉운 임
* 통계에 나타난 성명학이란
=1과 5 (비견-편재) 있으면 凶함 재물 손실 /재물 잘 때임, = 1과 2 (비,겁)있으면 많은 사람 잘 다스림.
= 2-8,7 (겁재-관살) 있으면 길함. / 7,8은 1,2을 눌러 나쁜짓 못하게 하고. 도리어 많은 재물 모을 수 있고 지킨다.
= 1이 6 (비견-정재)을 만났을 경우 처.재물. 건강등 피해을 준다.
= 7,5나 3,7,5(식신,편관,편재)가 있고 사주내 역마살 (인.신.사.해)가 있으면 교통사고 또는 분주 , 여행,유학,이동수 있음 / 冲 하는 해에는 추락, 음 독, 떨어지거나 병신, 자 살 등으로 凶하다.
= 정치가 ( 국량이 크고. 담백하고 포용력과 역경에 굴하지 않는 투혼, 투쟁. 타협. 통찰력이 있음.
17.26.27.28.수리 = 예술가/예능인/ 특수기술자 : 고난과 역경을 뚤고 나가는 수리. ( 불운,파탄,고독, 단명,허무,이산)
9.10.14.19.20.22.수리 = 학자 (명석한 두뇌), 13.14.19.29, 30은 흉수 이기는 하나 조용한 직업인의 길 수 이다. 백현 사주학당 |
독일인 건축사 브로트라거(I. Brottrager)는 동양과 다른 유럽 풍수론을 주창한다. 영국인 킹스턴(K. Kingstern)의 풍수서 '풍수로 잡동사니 치우기'는 전 세계에서 100만부 이상이 팔렸다. 본격 풍수서는 아니지만 동아시아 풍수 관념을 수용한 '비밀(The Secret)'이란 책도 선풍적 인기를 일으켰다.
서구인들이 풍수를 호의적으로 수용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만물을 키워내고 다시 거둬들이는 어머니로서 대지(mother earth)'라고 하는 낭만주의가 그들의 무의식 속에 흐르기 때문이다. 일종의 풍수적 관념이다. 이 때문에 풍수에 관한 한 동서양 간에 문화적 충돌이 생기지 않는다. 본래 서양인들이 갖고 있던 '풍수적 관념'은 어떤 것일까? 독일 속담이 하나 있다. "그대가 어떻게 거주하는지를 말해주시라. 그럼 나는 그대가 누구인지를 말해 드릴 터이니!" 한 사람의 집과 이를 받치고 있는 땅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는 뜻이다. 심지어 "집은 그 사람의 영혼을 비추는 거울"이라고까지 말한다. 좋은 옷과 화장으로 사람들은 자신을 꾸미듯, 집도 꾸며야 한다. 왜냐하면 집은 가족을 안아주고 키워주는 곳이기 때문이다. 서양의 생활 풍수 원칙 가운데 핵심 두 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끌어당김 법칙(law of attraction)'이다. 우주에는 다양한 기운이 존재한다. 이 가운데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바를 끌어 쓰면 된다. 부자가 되고 싶으면 부자들과 가까이하고, 그들의 행동을 습관화하라! 큰 정치인이 되고 싶은가? 큰 정치인들이 있는 곳으로 가야 하고, 그들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고 따라 하라. 결혼을 원한다면 침대에 베개를 하나가 아닌 두 개를 놓고, 옷장도 미래의 배우자를 위해 반은 비우라. 이러한 끌어당김 법칙은 풍수의 동기감응(同氣感應)론의 변용이다.
동기감응론이란 '조상의 기와 자손의 기운이 서로 감응하고(묘지 풍수), 주변의 기와 나의 기가 서로 감응한다(주택 풍수)'는 주장인데, 서양인들은 이 가운데 후자를 중시한다. 노부부 집이라면 유명 화가 그림이 아닌 손자·손녀들의 순진무구한 그림 한 점을 걸어두라. 더 많은 기쁨과 건강을 줄 수 있다. 추상화나 조화롭지 못한 그림은 스트레스를 줄 뿐이다.
햇빛이 들지 않는 집은 밝은 색을 활용하면 집 안이 환해지고 가족도 명랑해진다. 수정석(水晶石)은 대지의 영혼을 전해주는 전령사이다. 잘 보이는 곳에 수정석을 놓으면 행운을 가져다준다. 부드럽고 친근한 가정 분위기를 만들고 싶은가? 소리가 좋은 풍경(風磬·작은 종)을 문에 달아라.
거울은 필수품이기는 하지만 지나치게 큰 거울은 분산·반사 기능이 있어 좋지 않다. 침실에 있는 스탠드 거울도 또 다른 나를 만들기에 좋지 않다. 현관의 대형 거울은 더더욱 좋지 않다. 들어오는 복을 쫓아낸다. 오랫동안 팔리지 않는 집이라면 좋은 향수를 뿌려보시라. 금방 팔릴 것이다.
둘째, 비움 원칙이다. 장기간(최소 1년) 쓰지 않는 물건(가구·옷·책·주방용품 등)을 버려라. 번민할 때 마음을 비우고 몸이 좋지 않을 때 단식으로 몸을 비우듯 집도 가끔은 비워야 한다. 일이 잘 풀리지 않는가. 쓰지 않는 물건들을 치워보시라. 비움은 '불편했던 과거'와 '나쁜 기운'을 몰아내 준다. 비워진 자리는 새로운 미래와 행운으로 채워질 것이다.
서양의 생활 풍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가 세상을 바꿀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 자신을 바꿀 수는 있다. 끌어당김과 비움 원칙을 활용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