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원소가 산소 8.00량이나 수소 1.008량과 결합 또는 치환하는 양
즉 원자가 나누기 분자량
원자가가 뭐냐구요? 잠시 여행하고 올까요.....자~ 여길 Click!!
g당량 : 원자량에 g을 붙인 값
대규모 전업농 농업의 대규모화는 단순히 경제만을 도모하는 데서 비롯된다. 그러나 실제 대규모 경영에서는 시장 가격 변동의 영향을 받아 불안정한 결과를 낳기 쉽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값비싼 농지를 구매하여 대규모로 쌀 농사를 짓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의 대규모 쌀 농사는 쌀 수매정책에 힘입은 바 크지만, 수입이 자유화되면 쌀값 하락과 함께 대규모일수록 그 여파 또한 클 것이다. 앞으로는 소규모의 유기농업, 복합경영, 환경 조화형 농업 경영이 지향될 전망이다.
대기 지구의 중력에 의해 지구와 함께 회전하고 있는 기체, 두께가 5백㎞ 정도, 태양에서 오는 유해한 자외선이나 고에너지 입자를 차단하는 동시에 우주로 방출되는 것을 막아준다.
대기는 혼합기체로 가장 많은 성분은 전체의 약 78%가 질소이고, 산소는 약 21%, 나머지 1%는 아르곤·이산화탄소·수증기·오존 등이다. 중간권계면인 약 85㎞까지는 질소와 산소의 조성비가 변화하지 않지만 이 부분을 넘어서면 광해리 때문에 다량의 산소분자가 원자로 변환된다. 1백 10㎞ 부근의 상공에서는 분자확산작용 때문에 무거운 분자와 가벼운 분자가 분리됨으로써 평균분자량은 상공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고도 1천㎞ 이상에서는 헬륨과 산소가 주성분이고, 초고층 대기에서는 태양복사 자외선과 X선에 의한 광전리작용으로 하전입자가 생성되어 전리층을 형성하고 있다. 하층 대기에는 수증기의 응결 또는 승화로 생긴 물방울이나 빙정, 해수의 비말에서 방출된 염화마그네슘 등이 염류, 화산재, 황산, 화분, 미생물에 미량 함유되어 있다. 대기권은 높이에 따라 성질이 달라서 몇 개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대기조성비에 따라 구분하면 고도 약 80㎞까지는 변화하지 않고 구성분자가 잘 혼합되어 있으므로 균질권이라고 하며, 80㎞ 이상에서는 조성비가 높이에 따라 변하므로 비균질권이라고 한다. 균질권 중 상부성층권과 중간권에서는 태양복사 자외선과 오존, 산소의 광화학반응 등이 일어나므로 화학권이라 부르기도 한다. 대류권은 온도가 고도 1㎞ 상승할 때마다 5∼6℃씩 내려가는 층으로서 높이는 지상에서 10㎞에 해당한다. 태양복사열에 의해 불안정해진 대기층에 대류가 발생하고, 상승기류에 따라 대기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나 강수와 같은 일기현상으로 나타난다.
대기대순환 지구를 감싸고 흐르는 대기의 순환 운동. 대순환의 형성과정은 복잡다단하다. 우선 일사에 의한 지구의 가열은 적도에서 최대, 양극에서 최소다. 지표나 대기 방사로 인한 냉각의 위도차이는 매우 작다. 이 결과 남북 기온차에 의해 대규모적인 대류순환이 일어나고, 지구의 자전 및 원심력의 영향으로 동서 방향운동으로 바뀌어 상공에서 편서풍이 발달한다. 일정수준으로 넘으면 편서풍의 흐름이 불안정해져 파동이 생기고, 열을 남쪽으로 보내 온도차를 완화시키기 때문에 편서풍은 약해진다.
대기압 대기의 공기중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서 생기는 압력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수은기압계에 의해 나타내는 수은주의 높이로 측정한다. 지상으로 부터의 높이 올라갈수록 대기압은 낮아지고 밀도는 적어지므로, 공학적으로 기체의 압력이나 밀도를 비교할 때는 표준대기압을 사용한다.
대기오염 정상적인 대기의 조성과 아주 다른 성분으로 구성된 대기로서 그로 인하여 인간 생활의 안전 및 건강에 위협을 주는 경우를 지칭하나 특별한 정의는 없음. 이에는 사람만이 아니고 기타 동식물도 포함되어야 하며 동상(銅像)이나 미술품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도 포함되어야 함. 대기오염의 원인에는 먼지나 연기, 자동차 배출가스등이 있음.
대기오염과 기후변동에 관한 각료회의 1989년 11월 네덜란드의 놀트베이크에서 열린 지구온난화방지대책에 관한 각료회의.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는 즉시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를 실시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미국측이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결국 온실효과를 가져오는 가스배출을 억제할 필요성에 대한 합의에 그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