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어는 힘이 무척 센 물고기다. 생명력도 강해서 잡아도 잘 죽지 않는다. 그래서 사람들은 장어를 보며 강한 생명력을 느꼈고 장어를 먹으면 그 힘이 자신의 몸으로 전해질 것이라 생각한 모양이다. 장어는 한국, 일본, 중국 삼국에서 공통으로 여름 보양식으로 발달했다. 추어탕이 농민들의 여름 별식이었다면, 장어는 중산층의 하절기 보양식이었다.
일본 사람들은 여름 장어를 즐겨 먹는다. “여름에 장어를 먹으면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속설까지 있을 정도다. 특히 우리가 복날에 삼계탕을 먹는 것처럼 일본 사람들은 복날 장어덮밥을 먹는다. 일본 고전인 《만엽집》에도 보이니까 여름 보양식으로 장어를 먹은 역사가 꽤 깊다.
중국에서도 장어는 여름 보양식이다. 송나라 때 《태평광기》라는 책에 “어느 여름날 전염병에 걸려 죽어가는 여인이 있었다. 며칠 동안 장어를 고아 먹였더니 기적적으로 살아났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태평광기》는 전하는 이야기를 모아 적은 책이다. 중국인들이 장어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알 수 있다. 영양이 풍부한 여름 장어를 죽어가는 사람도 살리는 보양식으로 보았던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여름 장어는 어떤 음식과도 견줄 수 없는 영양식이었다. 뿐만 아니라 더위에 잃어버린 입맛을 되찾게 해주는 식욕 촉진제 역할을 했다. 숙주와 고사리를 넣고 끓인 장엇국을 먹고 나면 다른 것은 맹물에 조약돌 삶은 국 맛이 난다는 속설이 있을 정도니 그 이상으로 입맛을 당기는 음식을 찾기가 어렵다.
장어구이는 고려 때부터 왕실에서 즐겨 먹었다. 옛날에는 임진강 장어가 유명했다. 고려시대에는 임진강에서 다양한 물고기가 풍부하게 잡혔는데 이 중에서도 여름에 잡히는 장어는 가장 먼저 송도의 왕궁으로 보내졌다.
임진강 장어는 근대까지만 해도 계속 명성을 유지했다. 경성의 어시장에서 팔리는 임진강 장어는 조석 간만의 차이가 큰 곳에서 잡혀 진미와 풍미를 모두 갖춘 덕분에 일류 요릿집으로 팔려 나갈 정도로 이름값이 높았다. 옛날만큼 명성이 드높지는 않지만 아직도 임진강 하류의 파주와 강화도 일대에 장어를 파는 집이 많은 이유다.
오늘날 장어로 유명한 고장은 전북 고창이다. 강과 바다가 만나는 곳이고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커서 힘이 좋고 맛있는 장어가 많이 잡힌다. 다산 정약용도 〈탐진어가〉라는 시에서 봄이 되면 물 좋은 장어가 많아 어선이 푸른 물결 헤치고 나가 장어를 잡는다고 했으니 다산이 귀양을 살던 순조 무렵에도 고창과 영광 일대의 칠산 앞바다에서 장어가 많이 잡힌 모양이다.
장어는 남자에게 특히 좋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옛 문헌에는 오히려 여자에게 좋다고 나온다. 선조 때 차식이라는 송도 사람이 조선 제2대 임금인 정종의 무덤인 후릉의 관리를 맡았다. 평소 초라했던 능을 정성껏 돌봤더니 정종이 꿈에 나타났다. 정결한 음식을 제물로 바친 뜻이 가상하다면서 “네 어미가 지금 대하병(대하증)을 앓는다고 하니 내가 좋은 약을 주겠다”고 했다. 꿈에서 깨니 마침 매 한 마리가 날아가다 큰 생선 한 마리를 하늘에서 떨어뜨렸다. 길이가 한 자가 넘는 힘이 펄펄 넘치는 장어였다. 꿈속 일이 생각나 장어를 집으로 가져와 어머니께 드렸더니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한국과 중국 문헌에 등장하는 장어 이야기의 공통점은 장어를 먹어서 병이 나았고 그 주인공은 모두 여자라는 점이다. 옛날 의학서를 보면 하나같이 장어는 전염병과 부인병에 좋다고 했다.
흥미로운 것은 서양에서도 여름이면 장어를 먹는다는 점이다. 보신이라는 개념이 동양과는 다르니까 특별히 보양식이라고 규정짓기는 어렵겠지만 독일 북부 함부르크 지방에서는 여름 별식으로 알주페라는 음식을 즐겨 먹는다. 독일어로 알(Aal)은 장어, 주페(Suppe)는 수프라는 뜻이니까 장어수프로, 한국식으로 표현하자면 장어탕에 다름 아니다. 독일 사람들도 장어를 먹으면 힘이 솟는다고 느끼는 모양이다. 사실 유럽에서는 독일 이외에도 여름 별식이나 해장 음식으로 훈제 장어를 먹는 나라가 여럿 있다고 하니까 동양이나 서양이나 장어를 바라보는 느낌은 비슷한 것 같다.
#음식#역사일반
#음식으로읽는한국생활사
글 윤덕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