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도덕경 13장 - 기세춘 해설
상벌 없는 무치사회(무정부주의)와 생명주의
총애와 치욕은 지배자들의 무력시위를 보여줌이요,
귀인이 큰 환란을 당함은 스스로 出身했기 때문이다.
총애와 치욕이 무력시위라 함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총애는 아래 것들을 다스리는 수단이니
총애를 얻는 것도 잃는 것도 모두 武威를 과시함이다.
귀인의 큰 환난이 입신 출세에 있다 함은 무엇을 말하는가?
내가 큰 환난을 당하는 까닭은 나를 위해 출신했기 때문이니,
내가 출신하지 않았다면 내 어찌 그런 환난을 당하겠는가?
천하를 위하는 것보다 생명을 귀히 여기고 위해 준다면 천하를 맡길 만하고
故貴爲身 於爲天下 若可以寄天下
천하를 위하는 것보다 생명을 아끼고 위해 준다면 천하를 부탁할 만한 것이다.
愛爲身 於爲天下 若可託天下
13장에 대한 해석이 이처럼 왜곡될 수 있었던 것은 ‘驚’과 ‘身’자를 교묘히 변질시켰기 때문이다. 驚이란 글자에는 수동적으로 ‘놀라다’라는 뜻과 능동적으로 ‘놀라게 하다’라는 뜻이 있다. 이 글의 경우 ‘武力으로 위엄을 과시하여 두렵게 하다’라는 능동적인 의미로 쓰인 것이다. ··· 그런데 우리 학자들은 반대로 ‘놀라워하며 공경하라’는 긍정적인 뜻으로 해석한다.
身자도 입신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 그런데 우리 학자들은 身자를 목숨으로 해석하고, ‘자기 몸이 없어야 환난이 없을 것’이라고 해석한다.
후반부 [죽간본] 해석
몸 바쳐 천하를 위하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면 천하를 부탁할 만하고 몸 바쳐 천하를 위하는 것을 아껴준다면 천하를 맡길 만하다.
故貴以身爲天下 若可以託天下矣 愛以身爲天下 若可寄天下矣
[백서본] 천하를 위하는 것보다 생명을 귀히 여기고 위해 준다면 천하를 부탁할 만하다. 그러나 몸 바쳐 천하를 위하는 것을 아낀다면 어찌 천하를 맡길 수 있겠는가?
故貴爲身 於爲天下 若可以託天下矣 愛以身爲天下 如何以寄天下
[왕필본] 몸 바쳐 천하를 위하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면 천하를 맡길 만하고 몸 바쳐 천하를 위하는 것을 아껴준다면 천하를 부탁할 만하다.
故貴以身爲天下 若可寄天下 愛以身爲天下 若可託天下
[장자] 천하를 다스리는 것보다 몸을 귀하게 생각하면 천하를 부탁할 만하고 천하를 다스리는 것보다 자기 몸을 사랑한다면 천하를 맡길 만하다.
故貴爲身於爲天下 若可以託天下 愛爲身於爲天下 則可以寄天下
[회남자] 천하를 다스리는 것보다 몸을 귀하게 생각하면 천하를 부탁할 만하고 천하를 다스리는 것보다 자기 몸을 사랑한다면 천하를 맡길 만하다.
貴以身爲天下 焉可以託天下 愛以身爲天下 焉可以寄天下矣
첫댓글 무저항적 저항의 노자 사상이 더 돋보이는 해석이네요. 장자의 종교적/수련적 입장의 해석도 눈에 들어오고요. 장자의 몸은 물질적/개체적 의미에서의 몸이 아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