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천선원 까티나 초청 행사
2020년 10월 31일(토)
향천선원장님과 불자들의 초청으로 메따승원 빅쿠들은 까티나 행사에 참석하였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방역 준칙을 지키며 까티나 필수품 보시 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사두 사두 사두
1. 까티나 의식의 제정배경 Mv.VII.1
부처님께서 사왓티의 제따 숲에 머무실 때, 빠와(Pāvā)에 비구 30명은 분소의를 입었으며 삼의(三衣)만을 지녔습니다.
우기가 다가오자 세존을 뵙기 위해 비구들이 사왓티로 가는 도중 근처의 사께다라는 곳에서 안거를 보내게 되었습니다.
안거를 끝내고 사왓티로 돌아가는 도중에 비가 많이 내려 한 벌씩만 있는 가사 삼의가 모두 젖어 버렸습니다.
부처님은 이러한 사정을 아시고 법을 설하신 뒤 말씀하셨습니다.
“비구들이여 우안거를 마친 비구들은 까티나 가사를 받을 수 있다.”
2. 까티나(Kathina) 개념
1) 우안거 3개월간 한 절에서 지낸 스님들에게 재가자들이 가사를 보시하는 행사입니다.
(부처님 당시에는 가사대신 가사 천을 보시)
2) 천을 받아서 가사 만들 양이 모아지면 비구들이 모여 가사를 만듭니다.
3) 완성 되면 안거 후 1달 중 하루를 정해서 까티나 행사를 합니다.
4) 상가에 보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구가 최소 4명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3. 까티나(Kathina)의 의미
1) 미얀마 어로 ‘까틴’은 빨리어 까티나(Kathina)로부터 나왔습니다.
2) ‘선한 이들의 칭찬, 칭송(Kathiyate)’
3) ‘가사 만드는 틀을 펼친다.’ (스리랑카, 태국)
4) 이 의미가 확장되어 까티나 의식을 ‘까티나를 펼친다.’라고 표현하였습니다.
4. 까티나 가사를 보시하는 시기
1) 시기 : 안거가 끝난 다음 날부터 한 달(보통 10월 중순~11월 중순)
2) 까티나 보시는 여러 보시 중 가장 수승하고 특별한 보시입니다.
(일 년 중 단 한 번, 한 달 중 한 절에서 한 번만 보시가 가능합니다.)
3) 시간이 정해진 보시(깔라 다나, Kāla dāna) 입니다.
5. 까티나 가사 및 필수품 보시
1) 까티나 가사를 보시할 때는 ‘누구에게 보시한다, 어떤 단체에 보시한다, 무슨 절에다 보시한다.’라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2) 상가의 공덕(9가지)을 대상으로 상가에 보시해야 합니다.
부처님 따르는 성스러운 상가는
① 훌륭하게 수행하며,
② 바르게 수행하며
③ 바른 길로 수행하며,
④ 닙바나에 이르도록 수행하니, 4쌍의 8도과를 성취하신 분들,
⑤ 공양 받아 마땅하고,
⑥ 선사받아 마땅하고,
⑦ 보시 받아 마땅하고,
⑧ 합장 받아 마땅하니
⑨ 세상의 위없는 복밭이다.
3) 까티나 가사의 보시는 사람, 천인, 비구, 비구니, 사미, 사미니, 식차마니 모두가 할 수 있는 보시입니다.
4) 재가자들은 이날 가사 뿐만 아니라 안거를 지낸 상가 빅쿠에게 여러 가지 필수품을 함께 보시합니다.
▶ 상가 일정
1. 메따승원 테라와다 상가 및 수행공동체 추진
한국에 테라와다 상가가 뿌리내리지 못하다 보니
테라와다 빅쿠 뿐만이 아니라 남방에서 출가를 한 여성 수행자(샤알레이),
테라와다 불교를 따르는 많은 수행자들도
한국에 장기간 머물며 수행할 곳이 없어
기후, 음식 등이 맞지 않는 머나먼 타국에서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으며 수행하고 있습니다.
남방의 불자들은 마을에 빅쿠들이 모여 사는 승원이 생기면
공덕을 쌓을 기회가 생긴 것에 기뻐하며
상가가 유지될 수 있도록 여러가지 공덕을 행합니다.
이러한 풍토가 한국에는 아직 자리 잡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의 테라와다 빅쿠들은 남방의 빅쿠들처럼
상가를 이루며 함께 지내지 못하고
정기법회나 집중수행을 생계수단으로 혼자 지내며 머물거나
타지에서 여기 저기 떠돌며 지내고 있습니다.
메따승원은 여러가지 한국의 어려운 실정에도
부처님 당시와 남방의 승원처럼
언제든지 출가자와 수행자가 와서
평안히 머물며 수행할 수 있는
상가(승가) 공동체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불자들의 상가에 대한 순수한 공덕과
친견 및 열성만으로 유지되는 여법한 상가가
이 땅에도 뿌리내릴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이 땅에서 테라와다 빅쿠계(구족계)를 받을 수 있고
테라와다 출가자와 수행자가 언제든지 평안히 머물 수 있는
청정한 테라와다 상가가 뿌리내기를 기원합니다.
2. 메따승원 테라와다 상가 운영 방식
빅쿠들이여, 빅쿠들이 정기적으로 모이고, 자주 모이면
빅쿠들은 퇴보하지 않고 향상으로 나아갈 것이다.
빅쿠들이여, 빅쿠들이 화합하여 모이고,
화합하여 해산하고,
화합하여 상가의 일을 결정하면
빅쿠들은 퇴보하지 않고 향상으로 나아갈 것이다. - 대반열반경 -
상가(승가)의 주요 안건은 4명 이상의
*나야까(nāyaka, 운영자, 이사) 빅쿠들의 협의를 거쳐
모든 빅쿠가 한 명도 빠지지 않고 참여하는
정기모임(포살 등)에서 *깜마(갈마) 의식을 통하여
상가 전체 빅쿠의 만장일치의 동의로 승인을 얻습니다.
* 나야까 빅쿠(nāyaka bhikkhu) : 4명 이상의 빅쿠로 구성된 상가를 운영하는 주요 빅쿠
* 깜마와짜(kammavācā) : 갈마의규, 상가에 승인을 구하는 말
상가는 율장에 의거하여 상가의 빅쿠가 직접 운영을 해야 하지만
빅쿠는 일체 금전을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재정 지출과 관련된 사항은
상가의 합의에 의해 최종 승인이 이루어지면 재가자가 집행합니다.
선원장이나 개인이 운영하는 개인 사찰과는 달리
상가는 어느 개인의 소유가 아님으로
개인이나 소수의 인원에 의해 상가가 좌지우지 되고
절이 특정인의 소유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야까(운영자, 이사) 빅쿠들의 임기를 정하고
상가 빅쿠의 만장일치의 동의에 의해 선출됩니다.
특히 상가에 보시된 재산은 개인의 재산이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나야까 빅쿠들의 협의와
상가의 합의를 거쳐 집행합니다.
상가는 철저하게 자율보시로 운영이 되며
율장에 의거하여 절 재정을 목적으로 수행비나 숙식비를 받거나
금전을 대가로 어떤 의식이나 행사를 하지 않습니다.
메따승원의 상가는
1) 상가에서 승인한 것을 잘 준수하고
2) 상가가 법과 율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3) 상가의 전통과 청정함을 유지하고
4) 상가의 세속화를 막고
5) 상가의 운영에 세간의 비방을 받을 만한 허물이 생기지 않도록
법과 율에 근거하여 상가의 전통대로 운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뿍갈라,(Puggalā,) : 빅쿠 1인 거주
▶ 가나(Gaṇa) : 빅쿠 2~3인 거주
▶ 상가(Saṅgha) : 빅쿠 4인 이상 거주
▶ 5명 이상의 상가(빤자왁가 상가, Pañca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변방인 우리나라는 빅쿠가 5명 이상이 되면 상가 소유의 승원에
시마를 설정하여 빅쿠계를 줄 수 있습니다.
* 변방 : 갠지스강 유역 이외의 지역
* 시마 : 빅쿠계를 줄 수 있는 계단
▶ 10명의 상가(다사왁가 상가, Dasa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1. 복권절차를 제외한 깜마를행할 수 있습니다.
2. 중앙구족계를행할 수 있습니다.
3. 즉, 중앙구족계, 변방 구족계, 자자의식, 포살, 우안거, 까티나, 별거 처분, 재별거 처분, 마낫따(6일 별주) 처분 등을 행할 수 있습니다.
▶ 20명의 상가(위사띠왁가 상가, Vīsati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1. 상가디세사(승잔죄) 복권절차(압바나 깜마)를 행할 수 있습니다.
2. 모든 깜마가 가능합니다.
1. 메따승원 우편물 및 택배 변경 주소 안내
▶ 경남 하동군 고전면 사막1길 51-41 메따승원 수마나스님 앞(☎ 010-4074-0639)
2. 메따승원 변경 주소 및 네비게이션 안내
▶ 메따승원 변경 주소 : 경남 하동군 고전면 사막1길 51-41
메따승원의 변경 주소를 네이버, 다음(카카오)에 새롭게 등록하였습니다.
자동차를 이용하시는 분은 스마트폰에 네이버 네비나, 카카오 네비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신 후 '메따승원'을 검색하여 네비게이션을 따라 오시면 됩니다.
▶ 밴드 주소 https://band.us/@mettasangha
메따승원은 불자의 목적인 닙바나(열반)를 성취하기 위해 마을에서 떨어진 숲속에서
수행에 매진하는 아란냐(arañña) 수행 전통의 터전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붓다사-사낭 찌랑 띳타뚜!
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머물기를!
사-두 사-두 사-두
sādhu! sādhu! sādhu!
메 따 승 원
010-4074-0639
첫댓글 _()()()_
사-두! 사-두! 사-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