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장
寵辱若驚, 貴大患若身. 何謂寵辱. 辱爲下, 得之若驚, 失之若驚. 何謂貴大患若身.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及吾無身, 吾有何患. 故貴以身爲天下, 則可以寄天下, 愛以身爲天下, 則可以託天下.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거나 욕됨을 당하면 놀라야 하고,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몸이 유위를) 커지게 하는 바와 (장차 몸이 일부러 일삼아) 근심스러워지게 되는 바를 귀하게 여기는 바가 몸(을 귀하게 여기는 바)과 (더불어) 같이 하게 해야 한다. 어째서 그런가?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는 일은 (일부러 일삼아) 욕됨을 당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는 일은 일부러 일삼아) 욕됨을 당하는 일이 되는 바로서, (총애를 받는 사람이 일부러 일삼아) 아래로 낮춰지게 되는 바를 일삼는 바이지만,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는 일) 그것을 얻으면 기뻐하며, 그것을 잃으면 근심한다. (따라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몸이 유위를) 커지게 하는 바와 (장차 몸이 일부러 일삼아) 근심스러워지게 되는 바를 귀하게 여기는 일이 몸(을 귀하게 여기는 일)과 (더불어) 같이 하게 해야 한다. 내가 (유위가) 큰 바와 (장차 일부러 일삼아) 근심스러워지게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까닭은 (내가 유위한) 몸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일삼기 때문이다. 내가 (유위한) 몸을 가지는 바가 없는 바에 이르는 데, 내가 어찌 (장차 일부러 일삼아) 근심스러워지게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겠는가? 따라서 (자신의) 몸처럼 천하를 귀하게 여기면, 천하를 맡길 수 있게 되고, (자신의) 몸처럼 천하를 아끼면, 천하를 맡을 수 있게 된다.
此章之指, 多, 未可曉.
이 장은 뜻한다.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몸이 가지는 바가 있는 유위有爲를) 많아지게 하면, (일부러 일삼아 근심스러워지게 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가) 밝아질 수 없게 된다.”
朱子曰, 寵辱, 細. 故而得之, 猶若驚焉. 若世之, 大, 患, 則尤當貴重之, 而不可犯, 皆, 若其, 將及於身也.
(따라서) 주자朱子는 (『주희집朱熹集』 제45권 「답구자복答丘子服」에서) 일컬었다.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는 일과 욕됨을 당하는 일은 (모두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몸을 일부러 일삼아) 가늘어지게 하는 바이다. 따라서 ‘그것을 얻게 되면, 놀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른바) 세상이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크게 되고, (따라서) 근심스러워지게 되면,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는 일과 욕됨을 당하는 일) 그것을 귀하게 여기게 되고, 무겁게 여기게 된다. 따라서 (그들의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몸은 일부러 일삼아) 다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는 일과 욕됨을 당하는 일은) 모두 (일부러 일삼아 다치게 되는 바) 그것이 장차 (자신의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몸에 이르게 하는 바이다.”
吳幼淸曰, 人, 有此身, 憂慮百端. 身, 爲大患. 無可奈何. 貨財之, 爲大患. 則身, 外物也. 或者, 視之一如吾身, 之重. 唯恐喪其, 所有. 是, 貴此大患, 而身, 之者也.
(따라서 중국 원元나라 때) 오징(吳澄, 1249~1333)은 (『도덕진경주道德眞經註』 제12장 주註에서) 일컬었다. “세상 사람들은 그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몸을 가지는 바가 있는데,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백 가지의 (유위有爲의) 실마리를 근심하고 근심해야 한다.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근심하고 근심해야 한다.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몸이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큰 바를,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몸이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근심스러워지게 되는 바를 일삼게 되는 바를. (따라서 본래 저절로 한 몸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그것을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없을 수 있게 되는가? 몸(貨財; 身)이 (가지는 바가 있는 무위無爲가) 커지게 해야 하고, (따라서 몸이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근심하게 해야 하며, 따라서 몸이 사물(物; 財貨)을 (유위有爲의) 밖(外; 無爲)으로 일삼게 해야 한다. (따라서) 어떤 사람은 그것을 (일컬어) 드러냈다. ‘나의 몸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가) 무거운 바라는 것을 오롯하게 여긴 채, (그것과 더불어) 같이 하라. 그 (몸이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有; 有爲)를 걱정한 채, (그것을) 없애라.’ 이것은 그 (몸이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커지게 하는 일이자, (따라서 그 몸이 장차 일부러 일삼아) 근심스러워지게 되는 바를 귀하게 여기는 일로서, (그) 몸이 (무위無爲를) 일삼게 하는 일이다.”
辱爲下之辱, 一本, 作寵. 朱子曰, 寵人者, 上於人者也. 寵於人者, 下於人者也. 是, 辱, 固不待言. 而寵, 亦未足尙也.
욕위하辱爲下의 욕欲이 어떤 책에는 총寵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주자朱子는 (『주희집朱熹集』 제45권 「답구자복答丘子服」에서) 일컬었다. “다른 사람을 (일부러 일삼아) 총애하는 사람은 (자신이 총애하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일부러 일삼아) 위로 높여지게 된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은 사람은 (자신을 총애하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일부러 일삼아) 아래로 낮춰지게 된다. (따라서 총위하寵爲下) 이것은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는 일은 일부러 일삼아 총애하는 사람의 아래로 낮춰지게 되는) 욕됨을 당하는 일인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기댈 바가 아니다’라는 뜻이 된다.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는 일은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위로 높이기에 충분한 바가 아니다.”
愚謂, 此, 上下, 恐有脫文. 一說, 寵辱, 謂以辱爲寵也.
(나는) 어리석지만, 일컬는다. “(하위총욕何謂寵辱, 욕위하辱爲下) 이 문장은 앞뒤로 형식을 벗어난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듯하다.” 어떤 사람은 일컬었다. “(하위총욕何謂寵辱, 욕위하辱爲下를 바로잡으면, 하총욕何寵辱) 위이욕위총謂以辱爲寵이 된다.” 〔홍석주는 어떤 사람의 입장에 동의한다. 따라서 홍석주가 이해한 원문은 “하총욕何寵辱. 위이총위욕謂以寵爲辱”이 되고, 의미는 “어째서 그런가?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는 일은 (일부러 일삼아) 욕됨을 당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총애를 받는 일은 (일부러 일삼아 아래로 낮춰지게 되는 일로서, 일부러 일삼아) 욕됨을 당하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가 된다〕
得之若驚, 喜之極也. 失之若驚, 憂以慄也. 寵辱若驚, 貴大患若身, 皆指世俗而言. 世俗之所謂寵者, 由有道者, 視之, 則皆辱也. 而得之則喜, 失之則憂, 世俗之所貴重之者, 皆患之大者也.
득지약경得之若驚은 (유위有爲한 세상의 풍속이 일부러 일삼아) 기뻐하는 바가 끝점을 다하는 모습이다. 실지약경失之若驚은 (유위有爲한 세상의 풍속이 일부러 일삼아) 근심하고 근심하는 모습이다. 총욕약경寵辱若驚, 귀대환약신貴大患若身은 모두 (유위有爲한) 세상의 풍속(이 가지는 바가 있는 모습)을 가리켜 일컬은 바이다. (따라서 유위有爲한) 세상의 풍속이 일컫는 (일부러 일삼아) 총애받음은 도(道; 自然)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이 그것을 볼 때, 모두 (일부러 일삼아) 욕됨을 당하게 되는 바를 말미암는 바(일 따름)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총애받음) 그것을 얻게 되면 (일부러 일삼아) 기뻐하고, 그것을 잃게 되면 (일부러 일삼아) 근심하는 (유위有爲한) 세상이 귀하게 여기고 무겁게 여기는 바는 (도道·自然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이 그것을 볼 때, 모두 장차 일부러 일삼아) 근심하게 되는 바가 큰 바(일 따름)이다.
而顧反役役焉. 甘與其身, 偕殉, 亦可謂大惑矣. 若夫有道者, 則不然. 雖與之, 以天下之, 大. 不肯, 以其身, 輕犯. 夫如是, 然後及可以托天下矣.
따라서 (유위有爲한 세상의 풍속은 일부러 일삼아 총애받음을) 되돌이키고, (일부러 일삼아 욕됨을 당함으로) 되돌아가며,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기뻐하는 바를) 맡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근심하는 바를) 맡게 된다. (따라서) 그 몸이 (일부러 일삼아) 죽는 바를 같이 하는 바와 더불어 하는 바를 달게 여기게 되고, 따라서 (그 몸이 일부러 일삼아 죽는 바로) 크게 치우치게 된다. 그러나 도(道; 自然)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다. (도道) 그것과 더불어 하는데, 따라서 천하(의 무위無爲)가 커지게 된다. (유위有爲를) 옳은 바로 여기지 않는데, 따라서 그 (천하의) 몸이 (유위有爲를) 해치는 바를 가볍게 여기게 된다. 이것과 더불어 같이 하면, 따라서 이어서 천하를 (맡길 수 있게 되고, 천하를) 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貴, 重之也. 愛, 惜之也. 皆, 難愼之矣.
귀貴는 (자신의 몸을 무겁게 느끼는 것처럼 천하를) 무겁게 여긴다는 말이다. 애愛는 (자신의 몸을 아끼는 것처럼 천하를) 아낀다는 말이다. (귀貴, 애愛) 모두 (자신의 몸처럼 천하를 무겁게 여기지 않거나 아끼지 않는 바를) 어렵게 여기고, 삼간다는 뜻이다.
今按, 此, 說, 於老氏本旨, 最近, 獨於及吾無身, 吾有何患一句. 不甚襯. 姑幷存之. 以竢知者.
이른바, (나는 어리석지만, 내가) 생각건대, (이 장) 이것이 일컫는 바, 노자의 근본 요지에 가장 가까운 바, 오로지 “급오무신(及吾無身; 내가 유위有爲한 몸을 가지는 바가 없는 데 이른다면), 오유하환(吾有何患; 내가 어찌 일부러 일삼아 근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겠는가?)” (이) 한 문장이다. (다른 문장은 그것에) 아주 가깝지 않다. (다른 문장은 그것에 가까운 바가) 조금 자리하는 바를 더불어 한다. 따라서 (이 장을 읽는 사람은 그 한 문장의 뜻을) 크게(竢; 俟) 알아차려야 한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
오늘은 날이 참 좋으네요.
음, 봄을 지나 여름으로 가고 있는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