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창원구씨역사연구회
 
 
 
카페 게시글
씨족사 자료(국내외) 창원구씨와 영월(세달사 흥교사)은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
청용(靑龍) 추천 0 조회 514 22.08.06 13:33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4.12.07 23:12

    첫댓글 구족달공이 봉교서한 비문
    서기940년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오진탑비
    사찬검교흥문감경 원봉성대조 仇足達로 기록

    서기943년 충주 정토사 법경대사자등탑비
    사찬전수흥문감경사비은어대 具足達로 기록

    서기950년 곡성 대안사 광자대사탑비(태안사 광자대사탑비)
    사찬전수흥문감경사비은어대 具足達로 기록

    위 3곳 지역과 창원구씨와 관련성에 대해서 검토도 필요한 것으로 사뢰 됩니다.

    서기940년 하반기에 仇에서 具로 사성(賜姓)이 되었다.

    창원구씨는 서기940년과 서기1791년에 각각 사성된 것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

  • 작성자 25.02.22 09:16

    구성길(仇成吉) 公에 대한 고찰
    1. 구성길 공의 일명은 구진(仇鎭)이고
    2. 구진(仇鎭) 公은 태봉국에서 광평성 시중(侍中, 현재 국무총리)을 역임 했고,
    3. 고려에 들어와 서기 918년에 나주도대행대(羅州道大行臺)의 시중(侍中)으로 임명되어 나주권역을 통치했으며,
    4. 서기 936년에 후백제가 고려에 멸망되고 구진(仇鎭) 公은 서경유수관 시중(侍中)으로 임명되었으며,
    5. 서기 945년에 구진(具鎭) 公은 서경유수관 시중으로 재임중에 왕규의 반란을 평정한 功으로
    6. 내의성(內議省)의 내의령(內議令)으로 임명과 동시에
    7. 의안군(義安君) 봉군과 의안군(義安郡)을 식읍으로 하사 받았다.
    8. 고려시대에 구성(仇姓)에서 구성(具姓)으로 사성(賜姓)은 서기 940년 하반기에 이루어졌다.
    9. 그러나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나 다시 대부분 구씨(具氏)들이 구씨(仇氏)로 복성(復姓)을 했으며,
    10. 다시 조선시대에 서기 1791년 구씨(仇氏)에서 구씨(具氏)로 대부분 성(姓)을 고쳐 사용했다.
    11. 서기 940년에 사성(賜姓)을 받은 인물은 구족달 公이고
    12. 서기 1791년에 사성(賜姓)을 받은 인물은 구시창, 구정열 公이다.

  • 작성자 24.02.14 14:13

    관청과 관직의 설명
    1. 고려 초 3성은 광평성, 내의성, 내봉성이다.
    3성에서는 정책을 입안, 심의, 집행하는 기관이다.
    이 기관들은 서기 930년부터 설치하여 서기 982년까지 존속하였다.
    2. 광평성 시중(정1품)은 오늘날의 국무총리에 해당하고, 내의성의 내의령(종1품)과 내봉성의 내봉령(종1품)은 부총리에 해당한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