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인터넷상 돌아다닌걸 현재진행형으로 바꿔봤음)
집을 짓는데 있어 전기 공사는 ‘전기 인입 공사’, ‘내선 공사’, ‘외부 배선 공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기 인입 공사는 한전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일입니다. 임시전기 신청이나 심야전기 신청, 계량기 신청 등이 이에 속합니다. 전봇대로부터 전기 인입을 어떻게 할지(지상 연결인지, 지중 매설인지), 계량기와 배전판의 위치는 어디로 할지 미리 결정해야 합니다. 내선 공사는 집 안의 전등과 스위치, 콘센트의 위치를 정하고 배선하는 일입니다. 기초 공사 시 바닥 배선, 지붕 공사 시 전등 설치를 위한 천장 배선(처마 등 포함), 내벽 미장 공사 전 콘센트·스위치 매립 공사, 도배 공사 후 스위치·콘센트 마감 등 시기별로 필요한 공사입니다. 외부 배선 공사라 함은 심야전기 보일러 설치 시 지중매설 작업, 지하수 및 정화조 모타 가동을 위한 배선, 잔디 등이나 가로 등 설치를 위한 외부 배선이 이에 속합니다.
○ 건축 설계 확정 후 전기 공사 도면을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보통의 전원(단독)주택 설계는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만 있습니다. 공간 구성에 따른 전등 스위치 및 콘센트의 위치, TV 유선, 전화선의 배치, 화장실 및 외등, 현관 센서 등, 처마 등 등 기본 설계가 없으면 (건축주와 상의후 시공합니다.) 특히 전기 인입선에 따른 계량기 및 배전판의 위치, 지하수와 정화조, 가로 등 등 외부 배선의 컨트롤 장치 등이 사전 계획되지 않으면 전선의 외부 노출이 불가피해집니다. 공사 착공 전 전기공사 도면을 일차 확정하고 건축주와의 협의를 통하여 공사 시 최종 수정 보완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요즘은 거의 전기도면.통신도면이 첨부됩니다.별도사항으로 건축주가 필요의 의한 것을 더 추가 하기도합니다)
○ 전기 인입 신청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업무가 필요합니다.
(임시전력 은 2일에서 7일정도 걸리고.특별한지역은 1달정도 소요가 됩니다.임시전력신청시 건축주 주민등록사본.건축물허가서사본.전기공사면허서류등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기존 전봇대로부터 100M 이상 거리면 비용발생이 됩니다. 비용발생은 한국전력 설계팀에서 현장 답사후 별도 결정이됩니다. 통상적으로 임시전력비용은 5kw기준 180.400원이 발생으로 하고 그이상kw를 사용하려면 1kw당 80,400원이 발생 합니다.그리고 2008년이후 심야전기 는 일반주택에서는 사용할수가없습니다.(사용가능한곳은 복지시설이나 어린이집 등 교육기관등에 한정 됩니다.))
○ 건축 공정별 전기 공사가 필요한 시기와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초 공사 시 전기 인입을 고려한 맨홀의 위치, 계량기, 배전판의 위치를 정하여 배선합니다. 외부 배선(지하수, 정화조, 가로등 등)은 배전판의 안전차단기에서 따로 연결되도록 합니다. 공사 도면에 의거하여 각 실에 벽에 콘센트, TV, 전화 선 등을 입선할 수 있도록 전기 파이프를 미리 설치합니다. 기초 공사 시 메트 콘크리트를 치기 위한 철근 배근 시 이에 고정하여 매설합니다. 기초 및 벽체 공사 완료 후 콘크리트 바닥으로 배선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단열재 시공 시 전선으로 인한 바닥 고정이 용이치 않아 미리 배선하는 것이 좋습니다.(콘센트의경우 소모전력 잘계산하여 배관 배선을 합니다). 특히 심야전기 보일러의 지중 매설 작업 시 콘크리트 기초 전에 선을 넣어 두어야 이중 작업을 피할 수 있습니다.
- 지붕 공사 시 전등 배선을 미리 하여야 합니다. (요즘 은 심야전기를 일반주택에서 사용을 못하니 지열보일러 와 태양열 등을 종종 하곤 합니다) 지붕을 덮는 공사 전 각 공간의 전등 배선과 스위치 전선, 처마 등의 배선이 필요합니다.
다용도실이나 화장실, 주방 한 켠에 점검구를 설치하도록 내장 공사 팀과 미리 협의 하여야 합니다. (화장실에서 거울 위에 조명을 설치하는 것은 거울에 비치 본인 얼굴이 선명하게 비추기 위함입니다.)
-
거실 전등이 6등 정도 되고, 매립등이 여러 곳일 경우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스위치 숫자를 조정토록 합니다. 절전을 위한 방법입니다. 주방의 전기 배선은 주방 기기의 사용에 따라 건축주와 미리 협의하여 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밥솥, 냉장고, 김치 냉장고, 식기 세척기, 건조기, 가스오븐렌지, 전기렌지 등 사용 기기의 배치에 따른 콘센트의 배치가 필요합니다.
- 단독 주택의 경우 비디오폰은 잘 설치하지 않으나 밖의 출입 대문이 있는 경우 미리 고려하여야 합니다. 한 지붕 두 세대이거나, 1 · 2층으로 구분되어 있을 경우 인터폰을 설치하여 서로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합니다.
- 전체 건축 공사가 어느 정도 정리되는 과정에서 외부 정리 작업을 하게 됩니다. 이 때 외부 배선의 지중매설 작업을 병행합니다. 심야전기 인입 배선, 지하수, 정화조, 가로등의 전기 공급을 위한 파이프를 매설합니다. 입선을 하지 않고 전기 파이프만을 먼저 설치하기 때문에 파이프가 꺽이거나 눌리면 입선이 어려우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외부 배선은 가능한 전기 점검 맨홀을 통하여 연결합니다. 누전으로 인한 점검 교체가 쉽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전기가 공급되면 안전 차단기를 점검하고, 보일러도 가동해 봅니다. 전등 설치 공사와 병행하여 콘센트와 스위치 작동을 총 점검합니다.
(안전점검후 전기계량기를 한국전력에서 타올 수 있습니다)
-요약-
전원 주택의 전기공사(생각나는대로씀)
전봇대에서 주택계량기 계량기함으로 연결할때는 소요전력을 예상하여 전선굵기를 선택한다.
인입선공사 (임시전력.본수전력 ) : 전력은 전기공급법의 의하여 .갑.을.병.정. 으로 나눠지며 “주택용 임시전력”인 경우 “임시전력(을)신청으로하면.(건축주의 주민등록증사본1통.건축물허가서1통. 건축주의 통장사본1통..보증금 180.400원..전기공사면허업체 서류(회로도.사용전점검서.전기사용신청서등등)이 필요합니다. 주택공사가 모두 끝나면 “본수용 전기계량기을 신청해야 합니다. 본 수용 전기계량기의 경우 건축주의 주민등록증사본1통. 건축물허가서1통. 1개의 계량기당 180.400원이 소요됩니다.
내선공사 : (각종 콘센트.전등.TV.전화.인터넷.비디오폰.스피커.각방온도조절기.등등)
각종선로는 매입.매설 를 기본으로한다.
콘센트는 주택이 완공되어 사용하게 될 소모전력을 계산하여 시공을 하고(보통 콘센트6~8개가 1회로 (누전차단기(ELB)) 설정하기도합니다만 별도로 소모전력이 심한 것은 단독 1회로(누전차단기(ELB))을 구성하기도 합니다. 전등의경우 소모전력을 잘 계산하여 1층당1회로 이상 (누전차단기(ELB))을 구성합니다.
TV선로는 각방마다 1개 이상 시공을 하고 건축주 의향에 마쳐 중정부분에 설치하기도합니다. 거실의경우 중정부분에 CD 28mm 이상 빈파이프 를 매설하여 TV세탑박스와 중정부분에 벽걸이TV에 연결되는 선로을 매입하여 깨끗한 마무리을 유도 하기도 합니다.
통신(준공)허가받아야하는 사항이면 TV 집계함 크기을 가로세로 500*600 이상 크기로 구성해야 하고, TV 증폭기.낙뢰보호기.분배기.분기기.전기콘센트등을 설치하고 접지 설치을 하여야 합니다.
(통신준공(허가)지역이 아니면 통합단자함 만 으로도 사용가능 합니다.)
전화선로는 각방마다 1개이상을 설치하고 1개에 2구좌을 설치하여 위쪽은 전화연결 아래쪽은 인터넷 을 구성하기도합니다. 통신허가지역인경우 전화는 국선함크기 가로세로 400*500 이상 함 을 사용하고 국선보안기등을 설치 하고 접지설치을 하여야합니다.
통신준공(허가) 지역이 아닌경우 통합단자함 에 TV 선로와 같이 사용하여도 가능 합니다.
외부전기공사 : (주택 외부에 속한 전기가 필요로한 모든부분. 가로등.대문.잔듸등.정화조기포장전력.등등)
주택외부에 전기사용을 하여야하는 경우 가능한 단독 회로(누전차단기(ELB)) 을 사용하는것를 원칙으로 하고 외부 집계함을 별도 구성하여 1대1 로 단독으로 연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대문으로 연결되는 개폐기 선로는 VCT전선 를 사용하는 것으로 합니다
농가주택 리모델링, 시골집 수리하기, 전원주택, 통나무주택, 목조주택, 주말주택, 세컨드하우스, 황토주택,
귀농, 귀촌, 강원도 부동산, 횡성 부동산의 모든 것이 산골전원주택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즐감하셨으면 ▼ 하단에
추천하기 한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전기공사 - 정말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