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삼은
생삼을 수증기로 쪄서 익힌 다음 건조시킨 담적홍갈색의 제품. 품질에 따라
천삼, 지삼, 양삼 등으로 나누며, 장기보관이 가능하다.
인삼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특이체질의 사람들도 홍삼을 복용하면 전혀 문제가 없으며
특히 에이즈, 다이옥신 등 신종 질병에 대한 대응력이 뛰어나다고 밝혀졌다.
엑기스, 분말, 캡슐, 차 등 다양한 형태로 장기간 먹으면 좋다.
태극삼은
생삼을 뜨거운 물속에 일정기간 담구어 표피로부터 동체의 일부를 호화시켜 건조한 것으로
홍삼과 백삼의 중간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색상이나 효능은 홍삼과 유사하다.
12살 된 인삼
인삼의 현대적 재배장비들
한국인삼과 인삼밭(경사식 해가림)
90cm의 폭으로 동북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진 경사식(19~20도) 구조형태라
아침의 시원한 햇빛은 직접 많이 받고, 오후의 뜨거운 햇빛은 받지 않는 구조로 시기에 따라
기울기를 바꾸어 햇빛을 조정한다.
품종을 높이기 위해 소식재배를 하며, 종자파종 1년 후 묘삼 이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포 생장 후 균형 잡힌 사람형태를 갖추고 있다.
타국 인삼이 120~130일 자라는 것에 비해 생육에 180일이 걸려 발육이 좋고 향과 약효가 뛰어나다.
중국삼관 삼밭(평면형 아치형 해가림)
해가림에는 평면형과 아치형 두 가지가 있으며, 비닐 하우스식으로 아침의 시원한 햇빛은 적게 받고,
오후의 뜨거운 햇빛을 많이 받는 구조이다.
촘촘히 심는 밀식재배를 하고 파종 후 2~3년 후 생부터 묘삼 이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형이 불균형적이다.
미국삼과 삼밭(평면형 아치형 해가림)
해가림은 수평형으로 설치 방향은 자유로우며
아침의 시원한 햇빛은 적게 받고, 오후의 뜨거운 햇빛을 많이 받는 구조이다.
높고 폭이 넓어 고랑 사이에 트랙터 이용이 가능하다.
미국이나 캐나다는 직접 밭에 씨를 뿌리는 직파 과밀재배로 체형이 일정하지 않고
대부분 난발성 형태를 보인다. 3~4년근까지만 재배가 가능하다.
인삼파종
인삼 종자를 파종하기 위하여 봄부터 휴경하고 관리된 예정지를 늦가을에 이랑을 만들고
상판을 잘 고른 다음 파종 장척으로 찍은 후 구멍마다 종자를 1개씩 넣고 그 위에 깨끗한 모래난 석별흙으로
겨울을 나기 위해 볏집 이엉으로 상면을 덮는다. 요즘은 종자 파종기계를 사용하여 파종하기도 한다.
1. 예정지 선정
물 빠짐이 좋고 바람이 잘 통하며 근래 인삼을 농사짓지 않은 땅을 고른다.
2. 인삼발 짜기
가을일 끝나면 겨우내 미듭으로 새기를 꼬고 호밀대로 발을 엮는다.
3. 인삼의 파종
늦가을 이랑에 파종작척으로 찍어 구멍마다 종자를 넣고 잘 덮는다.
4. 인삼 식재
초몸에 싹이 트기 전 묘삼을 채굴한 뒤 좋은 것을 골라 예정지에 심는다.
5. 삼장 꾸미기
인삼이 싹트기 전 지주목을 세우고 위에 발을 펴 이엉을 엮는다.
6. 삼장제
삼장을 꾸민 뒤 삼장을 깨끗이 청소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를 지낸다.
7. 인삼 캐기
대서 무렵 호미나 괭이를 사용해 인삼을 캐 집에 가져와 선별한다.
8. 인삼 깎기
대나무칼로 인삼 껍질을 벗기고 삼베 수건으로 깨끗하게 닦는다.
9. 인삼 접기
건조된 인삼을 왕골속으로 만든 끈으로 동여맨 후 햇빛에 완전히 말린다.
풍수인관
바람소리, 물소리, 사람발자국 소리로 크는 인삼
인삼 산업관
지역별 고려 인삼의 특성
인삼의 부위별 특징
인삼왕 선발대회
홍삼 중 품질이 가장 양호한 특상품으로 내용 조직이 치밀하고 외형이 가장 좋은 것
천삼이 최고급품이며 지상, 양삼은 그 다음 등급을 차지한다.
인삼의 종류 중 흑삼
흑삼은
구증구포의 제조방법으로 수삼을 9번을 찌고 말리는 과정 속에서 일종의 화학작용이 발생되어
홍삼의 사포닌과 유효성분이 증가한 것이다.
생건삼
표피 및 뇌두가 부착되어 있는 수삼을 원료로 건조한 것을 말한다.
산삼(좌)과 인삼(우)의 비교
홍산 제조기기
상도 임상옥
상도관은 인삼무역을 통해 조선 최고의 거부가 되었고
모든 상인들로부터 존경과 흠모를 받았던 거상 임상옥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담은 곳이다.
인삼의 특징
고려인삼은
전분 등의 탄수화물이 60~70%로 많이 들어 있지만
다른 식물체에서 볼 수 없는 특이성분으로 인삼사포닌(ginsenosid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항산화성 방향족화합물, 간장보호작용을 하는 고미신(gomisin-N,-A), 인슐린 유사 작용을 하는 산성펩티드 등이 들어있다.
특히 비사포닌 물질의 주된 성분으로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성분인 페놀성분 및 폴리아세틸렌 성분이 미국삼에 비해 고려인삼의 함유량이 많으므로 생리 활성도 강하다.
고려인삼의 주된 약리성분으로 알려진 인삼사포닌은 ginsenoside라 부르는데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 다른 특이한 화학구조뿐 아니라 그 효능도 매우 상이하다. 최근 분리분석 기술의 발달에 따라 지금까지 30종의 인삼사포닌의 화학구조가 밝혀졌다.
인삼사포닌(ginsenoside) 화학구조의 특성에 따라 protopanaxadiol(PD)계, protopanaxatriol(PT)계, oleanane계 사포닌으로 구분하는데 현재까지 각각 19종, 10종, 1종의 화합물이 분리 정제되었다. 고려인삼의 사포닌 종류는 모두 30종으로 미국삼 14종, 중국삼 15종에 비해 월등히 많은 종류가 들어있다.
인삼의 한방적 효능은
중초약학에서 원기를 크게 보하고 폐를 튼튼히 하며 비장을 좋게하고 심장을 편하게 하여 준다고 했으며,
신농본초경에는 인삼은 오장 즉 간장, 비장의 양기를 돋구어 주는 주약으로 사용하고 위장의 기를 열어주며 광란, 구토, 갈증을 멎게하고 혈액을 잘 통하게 하고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고 하였다.
찾아가는 곳
금산인삼관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인삼광장로 30
전화번호 : 041-750-2621
홈페이지 : http://www.geumsa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