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선생전서 제25권 / 성학집요(聖學輯要) 7 / 제4 위정(爲政) 하(下)
셋째는 육예(六藝)인데, 예(禮)ㆍ악(樂)ㆍ사(射)ㆍ어(御)ㆍ서(書)ㆍ수(數)이다.
주씨가 말하기를, “예(禮)는 오례(五禮)요, 악(樂)은 육악(六樂)이요, 사(射)는 오사(五射)요, 어(御)는 오어(五御)요, 서(書)는 육서(六書)요, 수(數)는 구수(九數)이다.” 하였다. ○ 진씨(陳氏)가 말하기를, “예(禮)로써 마음[中]을 제지하고, 악(樂)으로써 화(和)를 인도하며, 사(射)로써 덕행을 보고, 어(御)로써 말달리기를 바르게 하고, 서(書)로써 마음의 계획을 보고, 수(數)로써 물(物)의 변화를 다하는 것이니, 이것은 모두 지극한 이치가 들어 있어서 일상생활에서 빠뜨릴 수 없는 것이다.” 하였다. ○ 정자(程子)가 말하기를, “천하 다스리는 것을 잘 말하는 이는 법도가 서지 않은 것을 근심하지 않고 인재가 완성되지 못한 것을 근심하며, 수신(修身)을 잘하는 이는 기질(氣質)이 아름답지 못한 것을 근심하지 않고, 스승에게 배운 것이 밝지 못한 것을 근심한다. 인재가 완성되지 못하면 비록 좋은 법과 아름다운 뜻이 있다 하더라도 누가 이것을 행하며, 스승에게 배운 것이 밝지 못하면 비록 도를 받아들이는 바탕이 있다 하더라도 누가 이것을 이룩하겠는가.” 하였다. ○ 또 말하기를, “옛날 사람은 어려서부터 배워서 귀와 눈으로 보고 듣는 것이 모두 착하여 자라서도 기이한 사물을 보지 않았다. 그러므로 쉽게 성취되었다.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보는 것이 모두 착하지 못하여, 말을 할 수 있을 때가 되자마자 바로 더럽고 나쁜 것을 익혀 날마다 본성을 녹여 없애니, 여기에 다시 또 무슨 천리(天理)가 있겠는가. 모름지기 사람의 도리를 다한다 해도 본성이 조금은 남아 있어서 다 녹이지 못한다. 그러므로 그럭저럭 하루를 보내는 사이에 다소의 교묘한 거짓을 일으키고 약간의 기정(機穽 기교(技巧))을 싹트게 한다. 이런 것들에 젖어 기운을 동하게 되니, 성현이 나지 않고 화기(和氣)가 싹트지 않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평상시에 혹 약간 시절이 화평하고 농사가 풍년이 드는 일이 있더라도 이것은 또한 요행이 그렇게 된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왜 옛날에는 한때 한집에서 성인이 함께 났는데, 후세에 와서는 수천 년간 적막하단 말인가.” 하였다.
[주-D044] 오례(五禮) : 제사를 지내는 예인 길례(吉禮), 관례와 혼례에 관한 가례(嘉禮), 빈객을 대하는 예인 빈례(賓禮), 군대에서 행하는 예인 군례(軍禮), 장사를 지내는 예인 흉례(凶禮)를 가리킨다.[주-D045] 육악(六樂) : 황제의 음악인 운문(雲門), 요 임금의 음악인 함지(咸池), 순 임금의 음악인 대소(大韶), 우왕의 음악인 대하(大夏), 탕왕의 음악인 대호(大濩), 무왕의 음악인 대무(大武)를 가리킨다.[주-D046] 오사(五射) : 화살이 사포(射布)인 후(侯)를 꿰고 지나가 촉만 희게 보이는 백시(白矢), 먼저 한 대를 쏘고 잇달아 세 대를 쏘는 삼련(參連), 화살 깃의 머리[羽頭]는 높고 촉은 낮게 하여 번쩍이며 날아가는 섬주(剡注), 신하가 임금과 함께 활을 쏘는데 임금과 나란히 서지 않고 한 자 뒤로 물러나는 양척(襄尺), 화살 네 대로 사포를 꿴 모습이 우물[井] 자 모양인 정의(井儀)를 가리킨다.[주-D047] 오어(五御) : 수레가 달릴 때 수레의 방울 소리가 서로 호응하게 모는 명화란(鳴和鸞), 골짜기의 절벽을 따라 수레를 몰되 물에 떨어지지 않게 하는 축수곡(逐水曲), 천자를 나타내는 표시나 자리를 지날 때 예의를 갖추는 과군표(過君表), 도로를 통과하면서 자유자재로 달려가는 무교구(舞交衢), 사냥을 할 때 짐승을 쫓으면서 왼쪽에서 활을 쏘아 잡는 축금좌(逐禽左)를 가리킨다.[주-D048] 육서(六書) : 한자를 구성하는 여섯 가지 법이다. 상형(象形), 회의(會意), 전주(轉注), 지사(指事), 가차(假借), 형성(形聲)을 말한다.[주-D049] 구수(九數) : 토지 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인 방전(方田), 물자의 교역과 매매를 셈하는 속미(粟米), 비례를 나누는 방법인 차분(差分), 평방과 입방을 재는 소광(少廣), 공정에 드는 힘을 계산하는 상공(商功), 배ㆍ수레ㆍ말ㆍ사람의 운임을 계산하는 균수(均輸), 방정식을 계산하는 방정(方程), 남는 것과 부족한 것을 셈하는 부족(不足),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구고(句股)를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