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명 백합목 한 글 얼레지
과 명 백합과 한 자
향 명 가재무릇, 가다꾸리(강원 홍천), 얼러주(강원 영월), 어사초(강원 정선)
학 명 Erythronium japonicum Decne.
영 문 Dog-tooth Violet
일반정보
원산지 한국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주로 높은 산악지대에서 자란다.
형 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이다.
크 기 화경(花莖)은 높이 25cm이다.
잎 잎은 길이 6-12cm, 폭 2.5-5cm로서 엽병이 있으며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6-12cm, 폭 2.5-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약간 주름이 지고 표면은 녹색 바탕에 자주색 무늬가 있다.
꽃 봄철에 길이 25cm의 화경(花莖)이 나오고 그 밑부분에 2개의 잎이 지면 가까이에 달린다. 꽃은 4월에 피며 화경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꽃잎은 6개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5-6㎝, 폭 5-10mm로서 뒤로 말리고 자주색이지만 안쪽 밑부분에 더욱 짙은 W자형의 무늬가 있다. 수술은 6개이며 길이가 서로 같지 않고 꽃밥은 자주색이며 길이 6-8mm로서 넓은 선형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 매 삭과는 넓은 타원형 또는 구형으로 3개의 능선이 있다.
줄 기 잎이 처음부터 땅에 붙어 나오고, 꽃대가 1대 잎사이에서 나오므로 줄기로 구분되기 어렵다.
뿌 리 인경(鱗莖)은 땅속 25-30cm정도 깊게 들어 있고 한쪽으로 굽은 피침형에 가까우며 길이 6cm, 지름 1cm이다.
생육환경
▶깊은 산속의 낙엽수림 하부의 비옥한 땅에서 자란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습윤
꽃/번식방법
▶실생으로 번식한다.
ⓐ5월말경에 채취한 종자를 곧바로 파종하면 이듬해 봄에 발아한다.
ⓑ매년 4월경에 싹이 터 5월말경에 휴면에 들어가서 지상부가 고사하므로 생육기간이 짧아 종자가 발아하여 개화하기까지 5-6년이 걸리는 식물이다.
▶인경은 해를 지나면서 매년 밑으로 들어가면서 깊이 자라므로 분주는 거의 불가능하다.
개화기 4월 꽃의 색 보라색

재배특성
재배적지는 개화기에 햇볕이 잘 드는 낙엽수림 하부 또는 이와같은 조건이 충족될수 있는 곳이 좋다. 토양은 사질양토가 적합하며 부엽이 충분히 섞인 것이 좋다. 이식성이 좋지 않으므로 재배지를 잘 선정하여 장기간에 걸쳐 재배한다.
재배작형 파종기 6월 이식기 5월,6월 결실기 4월 삽목기 5월
이용방안
▶꽃이 아름답기 때문에 초물분재는 물론 봄철에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화단용 소재로 좋다.
▶낙엽성교목의 하부 지피용 소재로 좋다.
▶잎은 국을 끓이거나 나물로 식용할 수 있다.
▶鱗莖(인경)을 약용한다.
①봄이나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생것으로 쓴다.
②성분 : 인경에는 40-50%의 전분이 함유되어 있다. 인경에서 추출한 전분은 片栗粉(편율분)이다.
③약효 : 健胃(건위), 鎭吐(진토), 止瀉(지사)의 효능이 있다. 위장염, 구토, 下痢(하리), 화상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 : 달여서 복용하거나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보호방안
인경(鱗莖)이 지하로 깊숙이 들어가 있으므로 쉽게 멸종될 우려는 없으나 남획이 심각한 식물이다. 자생지의 적절한 보호는 물론 효과적인 번식방안을 모색하여 경제작물로 이용하고,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특징
본속은 전세계에 약 25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이 자생한다.
약용부분
비늘줄기
채취시기
5~6월
효능및 사용방법
찰과상, 종기,습진 : 전분을 환부에 뿌린다.
감기,하리,복통 후의 자양 : 얼레지 전분에 소량의 물과 설탕을 적당히 넣어 펄펄 끓여 곧탕처럼 해서 마신다.
카페 게시글
민간요법
얼레지 효능...
환희
추천 0
조회 39
11.05.24 22:54
댓글 1
다음검색
첫댓글 정보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