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투를 튼 스님
<대구·파계사>
때는 조선 숙종조 중엽. 배불정책이 극심하여 전국의 절마다 스님들은 부역 아니면 궁중에서 쓰는
종이와 노끈 미투리 등을 삼느라 혹사당했다.
『원, 이래서야 어디 수도승이라고 할 수 있겠나.』
스님들의 푸념은 어느 절이나 마찬가지였다.
지금의 대구에서 서북쪽으로 약 50리 거리에 위치한 팔공산(해발 1192m)
기슭의 천 년 고찰 파계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주지 스님, 오늘 삭발하실 날입니다.』
『안 깎는다.』
파계사 주지 현응 스님은 시자가 준비해 온 삭도를 쳐다보지 않은 채 한마디로 물리고 말았다.
시자는 자못 궁금했다.
『스님, 어디 편찮으신지요?』
『아니다.』
『그럼 왜….』
『그럴 일이 있느니라.』
정갈하기로 소문난 현응 스님이 한 철이 지나도록 삭발을 하지 않자 절안의 대중들은
여기저기서 수군대기 시작했다. 그러나 전혀 개의치 않던 스님은 어느 날
짧게 기른 머리로 솔잎상투를 틀었다. 또 승복을 속복으로 갈아입고는
길 떠날 채비를 했다. 놀란 시자가 달려와 물었다.
『스님! 웬일이십니까? 이 길로 환속하시려는 건 아니시겠죠?』
『예끼 이녀석.』
『스님, 그럼 머리는 왜 길렀으며, 옷은 왜 속복으로 갈아입으셨는지
속시원히 사연을 들려주십시오.』
『그래 말해주마. 그 동안 미투리 삼고 종이 만드는 일은 참고 견디었으나
젊은 유생들의 행패는 이제 더이상 볼 수가 없구나.
그래서 내 이렇게 변장을 하고 상경하여 조정에 탄원을 할 것이니라.』
승려의 신분을 속이고 겨우 서울로 들어간 현응 스님은 어느 밥집의
잔심부름을 하며 탄원의 기회를 엿보았다.
그러나 3년의 세월이 지나도록 스님은 때를 얻지 못했다.
그만 파계사로 발길을 돌리기로 결심하던 날 밤. 스님은 숭례문(남대문) 근처의 봉놋방에서
서울에서의 마지막 밤을 지냈다.
그날 밤 숙종 임금은 숭례문 근처에서 청룡이 승천하는 꿈을 꾸었다.
참으로 기이하다고 생각한 숙종은 내관을 시켜 숭례문 근처를 살피게 했다.
어명을 받아 아침 일찍 숭례문 근처로 나아가 인근을 살피던 내관은
행장을 꾸려 막 길을 떠나려는 현응 스님과 마주쳤다.
비록 행색은 남루하나 눈빛이 예사롭지 않고 인품이 달라 보여
내관은 현응 스님을 은밀히 어전으로 안내했다.
『그대 이름은 무엇인고?』
『용파(당시 현응스님의 법명은 용파였다. 현응은 뒷날 숙종이 내린 시호)라 하옵니다.』
『무슨 용자를 쓰느냐?』
『용 용 자입니다.』
숙종은 범상치 않은 인품에다 용(龍)자 이름을 지닌 현응 스님의 신상을 상세히 물었다.
현응 스님 역시 절호의 기회다 싶어 자신의 신분과 사찰 실정을 밝히면서 불교 탄압을 탄원했다.
『마마, 아뢰옵기 황공하오나 이렇게 불교를 탄압하게 되면
나라에서는 큰 인물이 나지 않을 것입니다. 통촉하여 주옵소서.』
숙종은 현응 스님의 간곡하면서도 강력한 청에 마음이 움직였다.
『내 그대의 청을 들어줄 테니 그 대신 태자를 얻게 해줄 것을 부탁하오.』
현응 스님은 그 길로 평소 친분이 두터운 삼각산 금성암의 농상 스님과 함께
세자 잉태를 기원하는 백일 기도에 들어갔다. 현응 스님은 수락산 내원암에서,
농상 스님은 삼각산에서 기도하였으나 태자 잉태의 기미는 보이질 않았다.
기도를 회향한 두 스님은 똑같이 숙종의 사주에 세자가 있지 않음을 말했다. 그때였다.
『여보게, 자네가 세자로 태어나게.』
현응 스님은 농상 스님에게 진지하게 권했다.
농상 스님은 어느 날 밤 숙빈 최씨에게 현몽한 뒤 태자로 환생했으니
그가 바로 1724년부터 52년간 재위하여 학문과 예술의 전성시대를 이룬 영조대왕이다.
태자를 얻은 숙종의 기쁨은 이루 헤아릴 수 없었다.
임금은 용파 스님에게 현응이란 시호를 내렸다. 그뿐이 아니었다.
『대사의 큰 은혜 내 무엇으로 갚을 수 있겠소.
이제부터 파계사를 중심으로 40리에 걸쳐 나라에서 거두던 세금을 모두 절에서 거둬들이도록 하오.』
숙종은 성은을 베풀었으나 현응 스님은 이를 거절다.
『소승 나라를 위해 할일을 했을 뿐입니다.
세금을 절에서 거두어 정재로 쓰기에는 적합치 않은 듯하오니,
대신 경내에 선대 임금님의 위패를 모시도록 윤허하여 주옵소서.』
임금은 쾌히 윤허했다. 현응 스님은 즉시 파계사로 내려가 기영각을 세우고 선대 왕의 위패를 모시니
지방 유생과 양반의 행패는 자연 끊어지게 되었다.
현재 사적비 부근에 있는 「대소인개하마비(大小人皆下馬碑)」는 그때 새겨진 바다.
현응 스님이 건립하고 그곳에서 수도했다는 성전암 가는 길목엔 현응 스님의 부도가 서 있다.
또 성전암에는 현응대사의 영정과 벽화가 보존되어 있다.
지금쯤 현응 스님은 몇번째 환생하여 어느 모습으로 살아가고 계실는지.
전생에 농상 스님이었던 영조대왕이 11세에 썼다는 「현응전」이란 편액이 지금까지
성전암 법당에 걸려 있어 인과와 업 그리고 윤회의 질서를 보게 한다.
또 이를 입증이나 하는 듯 지난 1979년에는 법당 관세음불상을 개금하던
중 복장되어 있던 영조대왕 어의가 나와 교계와 학계의 관심을 끌었다.
숙종의 하사품 중 병풍 2점과 구슬 2개가 남아 있다.
신라 애장왕 5년(804)에 심지왕사에 의해 창건된 파계사는 조선 선조 38년(1605)
계관 스님이 중창했고 이어 현응대사가 숙종 21년(1695) 삼창했다.
파계사란 이름은 절 좌우 계곡에 흐르는 9개의 물줄기를 흩어지지 못하게
잡아 모은다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