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식(陳寔)
[문과] 명종(明宗) 2년(1547) 정미(丁未)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3위(16/06)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9C4C2DDFFFFB1519X0
자(字) 낙이(樂而)
생년 기묘(己卯) 1519년 (중종 14)
졸년 무진(戊辰)(주1)【補】 1568년 (선조 1)
향년 50세
합격연령 29세
본인본관 여양(驪陽)
거주지 한성([京])【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1547년(명종 2)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대교·정언·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556년 병조정랑, 이듬해 검상(檢詳)·사인(舍人), 1558년 내섬시부정(內贍寺副正), 1559년 전한 등을 지냈다.
1560년 형조참의를 거쳐 의주목사로 출보(出補)되었다가 1563년 공조참의와 동부승지를 역임하였으며, 이듬해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로 명나라에 성절사(聖節使)로 다녀오고, 이어 이조참의가 되었다.
1566년 대사간·호조참의, 다음해 병조참지·부제학을 지내고 치사(致仕)하였다.
일찍이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횡포에 맞서 그 일당을 탄핵하는 등 기개가 높았다.
[진사] 명종(明宗) 1년(1546) 병오(丙午)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41위(70/99)
[이력사항]
선발인원 06명 [甲1・乙2・丙3]
전력 진사(進士)
관직 부제학(副提學)
관직 한림(翰林)
문과시제 전(箋):호조청태용관성부비(戶曹請汰宂官省浮費)
타과 1546년(명종 1) 병오(丙午)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41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진복명(陳福命)[進]
[조부(祖父)]
성명 : 진유(陳猷)
[증조부(曾祖父)]
성명 : 진치중(陳致中)
[외조부(外祖父)]
성명 : 황진(黃璡)【補】(주3)
본관 : 창원(昌原)【補】
[처부(妻父)]
성명 : 박치(朴熾)[生]
본관 : 죽산(竹山)【補】
[처부(妻父)2]
성명 : 민사관(閔思寬)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형(兄) : 진우(陳宇)[進]【補】
형(兄) : 진수(陳守)【補】
제(弟) : 진선(陳宣)【補】
제(弟) : 진용(陳容)【補】(주4)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거주지 : 『가정25년병오4월15일생원진사방목증광(嘉靖二十五年丙午四月十五日生員進士榜目增廣)』(평산신씨(平山申氏) 문희공파(文僖公派) 충헌공계(忠憲公系) 승지공(承旨公[諱汝述]) 종중(宗中))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3]외조부 : 『문화류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1565) [流面]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씨족원류(氏族源流)』 [여양진씨]편(794쪽)의 본관 장수(長水)는 오기임.
[주 4]안항 : 『씨족원류(氏族源流)』 [여양진씨]편(794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진복명(陳福命)
[진사] 중종(中宗) 2년(1507) 정묘(丁卯)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9위(39/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9C4BCF5BA85U9999X0
자(字) 기수(期叟)
본인본관 여양(驪陽)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하(○○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진유(陳猷)
관직 : 현감(縣監)
[처부(妻父)]
성명 : 황진(黃璡)【補】(주1)
본관 : 창원(昌原)【補】
[안항(鴈行)]
형(兄) : 진복담(陳福聃)[進]【補】
형(兄) : 진복령(陳福齡)【補】(주2)
[주 1] 처부 : 『문화류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1565) [流面]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씨족원류(氏族源流)』 [여양진씨]편(794쪽)의 본관 장수(長水)는 오기임.
[주 2] 안항 : 『씨족원류(氏族源流)』 [여양진씨]편(794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정덕2년정묘춘증광사마방목(正德二年丁卯春增廣司馬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고)349.16 사마정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