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시 전주 전기공사 업체 명단 회사명 주소 연락처 입니다 A
주식회사 서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오공로 33, 6층 603호(중동) 063-223-2124
(주)엘리트전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도당산로 23 063-246-6433
(주)셉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곡로 12, 205호(효자동3가, 서곡주공아파트상가) 063-244-1118
명진파워엔지니어링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척동3길 26-4 (효자동3가, 1층) 063-224-4582
주식회사 에디슨전기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용덕길 3-30 (용정동) 063-717-0333
(주)다현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안행5길 37 063-225-5260
주식회사 가야테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황강서원4길 16-3 (효자동3가) 063-277-1113
주원건설(주)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용덕길 3-30, 302호(용정동) 063-254-2790
주식회사 해림산업개발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중상보로 13-9, 1층 (우아동2가,파인빌) 063-242-4145
주식회사 코스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꽃밭정5길 8 (평화동1가) 063-232-0042
주식회사 유진솔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마전1길 10, 3층(효자동3가,가온빌딩) 063-229-9912
주식회사 탑에너지농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척동4길 9, 1층 101호(효자동3가) 063-227-7950
(주)도성이앤씨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용덕길 3-30 202호 (용정동) 063-717-0333
주식회사 강산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편운로 59 (동산동) 063-212-0193
주식회사 서정이앤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아중2길 10-4 (우아동2가) 070-4454-8652
다한전력 주식회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752, 1007호(인후동2가, 모닝타워) 063-247-9888
(주)흥성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2길 48 063-282-1777
준서전기 주식회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쪽구름로 10 (동산동) 042-584-2560
주식회사 광명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심방죽로 62 (인후동1가) 063-244-2903
(주)서원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소태정5길 11, 1층(효자동2가) 063-226-7708
(주)현대이엔텍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전주천동로 473, 102호(금암동, 신성빌딩) 063-236-3347
조아전기 주식회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신천변7길 11-1 (서신동) 063-253-3934
(주)광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숲정이2길 22 063-271-2402
미래시스템(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구덕마을길 7 (용복동) 063-532-9118
(주)솔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곡로 12, 서곡주공아파트 제상가동제2층206호 (효자동3가) 063-277-5678
(주)백산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안행로 58(효자동1가) 063-228-6775
주식회사 우마이엔에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농소1길 1 (효자동3가) 063-237-0601
(주)명성전기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꽃밭정로 50, 1층(평화동1가) 070-8183-6239
(주)조영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249 (성덕동) 063-278-5889
(주)한신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신천변1길 33 (서신동) 063-242-0562
상명이엔씨 주식회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두간10길 4, 3층 (송천동1가) 063-255-9710
(유)동호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698 (인후동2가) 063-226-1397
(주)대국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241 063-277-5678
주식회사 신후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237, 1층(성덕동) 063-243-8142
(주)주연테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척동5길 19-1 063-905-9091
(유)신명전기설비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816, 5층(우아동3가) 063-242-7799
(유)창승전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지행당길 177 063-253-7660
(주)신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 275, 501호 (효자동2가) 063-287-6100
(유)일화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혁신로 517-7 063-224-1231
(유)미래전기전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동부대로 694-15 063-243-6402
태림전자(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춘향로 5234 063-231-8800
(주)민선이앤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가리내로 422 (덕진동2가) 063-546-8124
(주)남진산업개발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89, 신화빌딩 5층 (중화산동2가) 063-212-8330
유한회사 신화전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벚꽃로 32 063-252-7833
(유)신흥전업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204 063-224-8644
대륙전업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팔달로 236 063-285-6021
(유)대현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숲정이2길 31-3 063-252-7225
라경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산월2길 17 (중화산동2가) 063-225-8428
(주)선주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237, 2층(성덕동) 063-243-1112
(유)신우전기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거마중앙로 20-1 063-224-9046
동양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따박골로 51-10 063-246-4722
한성전업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명륜2길 15 063-252-5812
화성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룡2길 7-4 063-272-7196
대아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매봉6길 7 063-254-9307
한울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맏내4길 13 (평화동1가) 063-223-2572
(유)회운산업개발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우아5길 3 063-242-4341
윤성전업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견훤로 368 063-254-0093
(유)이화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선너머로 36-12 063-227-1217
원풍전력공사(유)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하거마2길 5 063-224-4276
금아전기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명주5길 36 063-246-9578
(유)부영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신복로 45 063-212-4226
(유)태성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건산1길 21-6 063-272-8300
(유)건국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여암2길 31-4 063-214-6427
(유)전북종합방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팔달로 304-6 (진북동) 063-272-0111
(유)풍남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산월1길 24-3 063-237-5565
주식회사 세안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건지로 9-4 063-252-0735
(유)신성전업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243 063-253-2365
(유)신아전기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봉3길 47-11 063-246-3727
(유)성역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안터4길 26-10 063-253-7762
(유)정우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마당재4길 30 063-286-4589
엘림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우아5길 3 (우아동3가) 063-252-2905
(유)영우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산월1길 38 063-287-9996
(유)한진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붓내1길 10, 208동 206호(송천동2가, 신동비사벌아파트상가동) 063-214-5244
(주)하나로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내원당길 7-5 063-243-1104
유한회사 주석엔지니어링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태진로 87 (진북동) 063-547-0507
동부전업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척동길 32, 101호(효자동3가, 들꽃빌라) 063-714-3033
(유)금강시스템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319 063-228-4001
(유)대선이씨에프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신감길 59 (팔복동4가) 063-211-8997
씨에이치건설(주)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897-3 (팔복동2가) 063-212-0198
(주)명원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서가재미3길 8 063-246-6300
주식회사 금아이엔씨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도강길 91 (도도동) 063-851-0981
(유)삼남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봉3길 41-9 063-246-2841
(유)승대전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가재미로 13 063-242-2726
(유)대능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호암로 84, 101호(효자동2가, 에코비젼빌딩) 063-229-4679
(유)동영산업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마전2길 17-8, 2층(효자동3가, 대진빌딩) 063-231-8100
(유)소망이엔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춘향로 5231-7 063-231-6020
(유)호선전기통신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솟대1길 48 063-225-3284
(유)토승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인1길 128 (중인동) 063-253-0472
(유)나노엔지니어링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온고을로 557 063-253-6846
(유)광신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전주천동로 422 063-284-4753
(유)동진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원산정길 123 063-229-0419
주식회사 현진하이테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서가재미2길 15 (인후동1가) 063-236-5262
(유)이엔에프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도당산로 27 063-246-8907
(유)동보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명주6길 25 063-247-4336
(유)백제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거마중앙로 13 063-226-4518
(유)영진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사평로 52-6 063-244-8309
(주)신성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192, 2층 (서노송동) 063-232-2244
(주)탑이엔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신복7길 8-3 (팔복동1가) 063-227-2347
(유)대용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솔내2길 18 063-276-5304
(유)우리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거마남로 19 (삼천동1가) 063-228-2497
(주)호성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동부대로 737 063-242-0588
청우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4길 25-26, 성원오피스텔109호 (중앙동4가) 063-282-0805
(유)대진전기소방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메너머3길 26-6 063-223-4119
(유)에스비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곡1길 14-20(효자동3가) 063-244-7679
푸른전력(유)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마전들로 77 (효자동3가) 063-228-3788
(유)진양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가재미로 25 063-241-4354
(주)신후엔지니어링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우림로 963, 2층(삼천동2가) 063-278-5889
(유)정인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구렛들1길 46 063-214-3100
유한회사 양정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송정중앙로 8 (삼천동1가) 063-236-6543
유한회사 정진이엔씨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우아5길 9, 1층(우아동3가) 063-244-8203
(유)삼신기업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팔복로 17-20 (팔복동2가) 063-211-5775
(주)태광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인봉남로 56, 우성해오름아파트 상가 203호 (중노송동) 063-286-7330
(주)푸른이엔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서가재미2길 15 (인후동1가) 063-243-4287
유한회사 천만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혁신로 517-7 (여의동) 063-236-4799
(주)삼부전기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용암길 52-5 (반월동) 063-714-3355
주식회사 경신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241 (성덕동) 063-243-1112
유한회사 유진종합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솟대1길 53 (삼천동1가) 063-636-0934
(유)도로앤도시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추천1길 17 063-212-3302
(유)지원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인정2길 11-2 063-236-3548
성우건설(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바우배기2길 11, 5층 101호(효자동2가, 성우스퀘어) 063-241-7993
(주)삼화건설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용산3길 13 063-251-2700
(유)한백종합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도당산3길 8-4 063-242-4110
(주)명덕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황강서원3길 4-5 063-229-9849
(유)청솔전기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한배미4길 13-4 063-245-8184
대한엔지니어링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룡6길 6 063-221-2948
(주)금강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숲정이2길 27 063-251-9447
(유)나래전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신봉1길 18-1 (효자동1가) 063-221-1797
(유)탑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대동로 15 063-275-6555
주식회사 전라이엔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선너머1길 18-3 (중화산동2가) 063-226-8474
(유)전북전기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무삼지6길 5, 2층 (인후동1가) 063-241-6553
(주)신산이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비석날로 59-11 063-211-0757
(주)엘드건설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산로 22 063-228-0100
(유)호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호동길 51 (삼천동3가) 063-222-4865
(유)신태양전력공사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아중7길 10 063-245-0834
폐변압기 MOF ASS 관리대상기기 지정폐기물처리해드립니다
중고변압기,중고전선 ,중고모타 ,중고몰드변압기 변압기폐기처리 ACB,VCB 인버터,수배반 UPS AVR 변압기 절연유폐기처리 ,MOF ASS 폐기
폐 변압기 MOF ASS 콘덴샤 리액타 등의 절연유 속에는 잔류성 오염물질이며 1급 발암물질이인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 ,폴리염소화비페닐이 다량으로 들어있어서 모든 변압기를 환경부에서 특별관리하고 있으며 변압기를 사용하거나 보관하고 있는 사업장에서는 2008년 2월 말까지 전수 신고토록 하였으며 만약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 300만원 부과 대상입니다
사용하고 있는 변압기를 관할관청에 신고하면 관리대상기기신고증명서를 발행하여 주었습니다
그리고 변압기를 철거하였을 경우 45일 이내에 지정폐기물처리를 하여 주어야합니다
지정폐기물처리 절차는
폐기할 변압기의 절연유 시료를 채취하여 PCBs 농도를 검사하여 PCBs농도 분석시험검사서를 발행 받습니다
PCBs 농도 검사서와 변압기 지정폐기물처리업체 허가서와 함께
사업장 대표자님의 도장을 받아 사업장 소재지 시 ,군, 구 환경과(청소행정과, 자원순환과) 접수하시면 7일 이내에 “폐기물처리계획(변경)확인증명서”가 교부 됩니다
그리고 환경부 홈페이지 올바로 시스템에 접속하여 인계서 작성을 마치고 ..폐기절차를 마친 다음 해에 2월 말까지 실적보고를 마치면 폐변압기 지정폐기물처리의 법적 절차가 종료되는 것 입니다
**관리대상기기신고증명서(분실되었다면 재발급)소재지 시 ,군, 구 환경과(청소행정과, 자원순환과)에서 재발급
**수용가 사업자등록증사본
**PCBs검사서(없다면 새롭게 검사 하시면 됩니다)
작성자 ; 부여국제전기 중부영업소 부장 이 관호
자세한 사항은 010-5245-7229로 언제든 문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전기공사 중고변압기 몰드변압기 폐변압기 수배전반 중고전선 중고모타 콤푸레샤 폐전선 호이스트 냉동기 발전기 고가 매입
부국전기
010 - 5245 - 7229 영업부장 이 관호
폐변압기 MOF ASS 관리대상기기 지정폐기물처리해드립니다
상담시간 :새벽 5시부터 밤 12시까지
폐 변압기 가격은 여러가지 요건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관리 대상기기 지정폐기물 처리 법이 적용되기 전에는
22900V~380v,220v 는 KVA 당 5000 원에서 6000 원에 보통 매입하였으나 지금은 관리대상 기기를 폐기 시에는 법적 절차를 밟아 지정폐기물 처리를 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절연유의 PCBs 검사를 하여야하며 검사료는 건당 10 만원이 듭니다
그리고 지정폐기물 처리비와 지정폐기물 운반비가 들게 됩니다
보통 처리비는 20 만원 가량이고 운반비는 20 만원 정도입니다
보통 100~~ 500KVa는 KVa당 5000 원씩 매입하되
지정폐기물처리비와 지정폐기물운반비 그리고 절연유 검사비를 변압기 값에서 빼면됩니다
폐변압기 고가 매입합니다
자세한 문의는 부국전기 영업부 부장 이관호
010-5245-7229 로 24시간 연락 주시면 성실히 상담하여드립니다
또한 22000v ~~~3300v 나 3300v~~220v 등 특수 전압의 변압기는 재활용되는 경우가 별로 없기 때문에 대부분 해체용으로 폐기됩니다
그럴 경우 2005년 이후에는 동 가격의 폭등으로 동의 대체금속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기에 해체될 경우 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메이커 마다 제작년도와 관계 없이 줄곧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효성) 가격이 높지 않습니다
그리고 재활용 되는 변압기라도 코일이 소손된 변압기라면
2004년 이전에 제작된 변압기와 2004년 이후에 제작된 변압기는 가격차이가 납니다
2004년 이후에는 구리 가격의 폭등으로 구리의 대체 금속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관계로 2004년 이후 제작된 제품은 가격이 쌉니다
그러므로 자세한 것은 전화 상담 바랍니다
010-5245-7229 부국전기 영업부 이 관호 부장
폐변압기 고가 매입합니다
철거 폐변압기 지정폐기물처리하여 드립니다
관리대상기기의 지정폐기물 처리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관리대상기기가 무었인지 알아야 이해가 쉬어집니다
관리대상기기란 전력기기중에 절연유가 들어간 품목은 전부 관리대상기기에 포함됩니다
유입식 변압기 ,, ASS MOF,, 콘덴서 ,,PT ..CT ..OCB.. OS..리엑터 등
절연유가 들어간 것은 모두 포함됩니다
1980년대 이전에는 전기 절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일부러 절연유 속에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의 약자이며 폴리염소화비페닐이) 를 첨가해서 사용했었읍니다
하지만 그 PCBs가 일급 발암물질이며 잔류성 오염물질이란 것이 새롭게 밝혀진 것입니다
그래서 세계 각국의 환경에 관련된 관료들이 스웨덴 스톡콜롬에서 모여 회의를하여 앞으로는 PCBs를 지구상에서 근절 시키기로 협의하였읍니다
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PCBs를 국내에서 근절하기로 결정하고 절연유가 들어간 전력기기를 특별 관리하기로하였읍니다
그래서 절연유가 들어간 전력기기들을 "관리대상기기"로 명명하게 된 것입니다
환경부에서 (유입식 변압기 ,, ASS MOF,, 콘덴서 ,,PT ..CT ..OCB.. OS..리엑터 등)을 특별히 관리하겠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는 각 수용가에게 지시를 내려 관리대상기기를 사용하거나 보관 중인 사업장에서는 소재지 관할관청에 ( 시 , 군. 구) 자동차를 등록하듯이 등록하라고 지시를 내린 것입니다 ( 2008년 2월 말 까지)
관리 대상기기신고 증명서에는 사업장의 회사명과 주소 , 경영주 성명 ,, 사업자등록번호와 변압기의 제조회사명과 제조번호,, 품명 ,,용량, 총중량, 제조번호.유량등이 상세히 기록되어있읍니다
폐기시킬 때에는 각 품목 개개 마다 절연유 속에 포함된 PCBs 농도를 측정하여
재황용처리냐 아니면 소각처리하느냐가 결정됩니다
재활용처리나 소각처리나 모두 지장폐기물처리를 하여야합니다
다만 재활용처리는 돈을 받고 팔 수가 있는 것이고 소각처리는 오히려 중량으로 Ton당 150 만원에서 200 만원의 고비용이 들어갑니다
재활용은 PCBs 불검출로 나와야하고 소각처리는 PCBs 검출이면 Ton당
150 만원에서 200 만원의 고비용을 들여서 1300도의 고열로 소각처리해
주어야 합니다
폐기처리하려는 변압기가 크든 손바닥만 하든 똑같은 PCBs 검사를 받아야하고 허가 받은 지정폐기물처리 업체에 의뢰하여 법적인 절차를거쳐서 지정폐기물처리를 하여주셔야합니다
즉 수 십톤 나가는 커다란 변압기나 도시락만한 콘덴서 하나를 처리하나 절차는 다 똑같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ASS(유입식 차단기) 한대를 지정폐기물 처리를하더라도 절연유속의PCBs 검사를 거쳐야하고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아야하므로 PCBs 검사료 건당 10만원과 ,,지정폐기물 처리비용 30 만원 ,, 지정폐기물 운반비 20 만원이들게 됩니다
무게 10 톤짜리 변압기를 처리하는 비용이나 무게 250Kg 의 MOF나 ASS를 처리하는 비용이나 똑 같다는 말입니다
다만 무게가 무거운 변압기는 변압기의 고철값에서 처리비용을 빼고 돈을 받게 되지만 MOF나 ASS는 고철로 처분해도 5만에서 8 만원밖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고철 값보다 폐기비용이 더 크기 때문에 오히려 약 50 만원의 비용을 지불하셔야 합니다
(관리대상기기)
폐 변압기 가격은 여러가지 요건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관리 대상기기 지정폐기물 처리 법이 적용되기 전에는
22900V~380v,220v 는 KVA 당 5000 원에서 6000 원에 보통 매입하였으나 지금은 관리대상 기기를 폐기 시에는 법적 절차를 밟아 지정폐기물 처리를 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절연유의 PCBs 검사를 하여야하며 검사료는 건당 10 만원이 듭니다
그리고 지정폐기물 처리비와 지정폐기물 운반비가 들게 됩니다
보통 처리비는 20 만원 가량이고 운반비는 20 만원 정도입니다
보통 100~~ 500KVa는 KVa당 5000 원씩 매입하되
지정폐기물처리비와 지정폐기물운반비 그리고 절연유 검사비를 변압기 값에서 빼면됩니다
폐변압기 고가 매입합니다
자세한 문의는 부국전기 영업부 부장 이관호
010-5245-7229 로 24시간 연락 주시면 성실히 상담하여드립니다
또한 22000v ~~~3300v 나 3300v~~220v 등 특수 전압의 변압기는 재활용되는 경우가 별로 없기 때문에 대부분 해체용으로 폐기됩니다
그럴 경우 2005년 이후에는 동 가격의 폭등으로 동의 대체금속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기에 해체될 경우 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메이커 마다 제작년도와 관계 없이 줄곧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효성) 가격이 높지 않습니다
그리고 재활용 되는 변압기라도 코일이 소손된 변압기라면
2004년 이전에 제작된 변압기와 2004년 이후에 제작된 변압기는 가격차이가 납니다
2004년 이후에는 구리 가격의 폭등으로 구리의 대체 금속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관계로 2004년 이후 제작된 제품은 가격이 쌉니다
그러므로 자세한 것은 전화 상담 바랍니다
010-5245-7229 부국전기 영업부 이 관호 부장
폐변압기 고가 매입합니다
철거 폐변압기 지정폐기물처리하여 드립니다
관리대상기기의 지정폐기물 처리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관리대상기기가 무었인지 알아야 이해가 쉬어집니다
관리대상기기란 전력기기중에 절연유가 들어간 품목은 전부 관리대상기기에 포함됩니다
유입식 변압기 ,, ASS MOF,, 콘덴서 ,,PT ..CT ..OCB.. OS..리엑터 등
절연유가 들어간 것은 모두 포함됩니다
1980년대 이전에는 전기 절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일부러 절연유 속에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의 약자이며 폴리염소화비페닐이) 를 첨가해서 사용했었읍니다
하지만 그 PCBs가 일급 발암물질이며 잔류성 오염물질이란 것이 새롭게 밝혀진 것입니다
그래서 세계 각국의 환경에 관련된 관료들이 스웨덴 스톡콜롬에서 모여 회의를하여 앞으로는 PCBs를 지구상에서 근절 시키기로 협의하였읍니다
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PCBs를 국내에서 근절하기로 결정하고 절연유가 들어간 전력기기를 특별 관리하기로하였읍니다
그래서 절연유가 들어간 전력기기들을 "관리대상기기"로 명명하게 된 것입니다
환경부에서 (유입식 변압기 ,, ASS MOF,, 콘덴서 ,,PT ..CT ..OCB.. OS..리엑터 등)을 특별히 관리하겠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는 각 수용가에게 지시를 내려 관리대상기기를 사용하거나 보관 중인 사업장에서는 소재지 관할관청에 ( 시 , 군. 구) 자동차를 등록하듯이 등록하라고 지시를 내린 것입니다 ( 2008년 2월 말 까지)
관리 대상기기신고 증명서에는 사업장의 회사명과 주소 , 경영주 성명 ,, 사업자등록번호와 변압기의 제조회사명과 제조번호,, 품명 ,,용량, 총중량, 제조번호.유량등이 상세히 기록되어있읍니다
폐기시킬 때에는 각 품목 개개 마다 절연유 속에 포함된 PCBs 농도를 측정하여
재활용처리냐 아니면 소각처리하느냐가 결정됩니다
재활용처리나 소각처리나 모두 지장폐기물처리를 하여야합니다
다만 재활용처리는 돈을 받고 팔 수가 있는 것이고 소각처리는 오히려 중량으로 Ton당 150 만원에서 200 만원의 고비용이 들어갑니다
재활용은 PCBs 불검출로 나와야하고 소각처리는 PCBs 검출이면 Ton당
150 만원에서 200 만원의 고비용을 들여서 1300도의 고열로 소각처리해
주어야 합니다
폐기처리하려는 변압기가 크든 손바닥만 하든 똑같은 PCBs 검사를 받아야하고 허가 받은 지정폐기물처리 업체에 의뢰하여 법적인 절차를거쳐서 지정폐기물처리를 하여주셔야합니다
즉 수 십톤 나가는 커다란 변압기나 도시락만한 콘덴서 하나를 처리하나 절차는 다 똑같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ASS(유입식 차단기) 한대를 지정폐기물 처리를하더라도 절연유속의PCBs 검사를 거쳐야하고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아야하므로 PCBs 검사료 건당 10만원과 ,,지정폐기물 처리비용 30 만원 ,, 지정폐기물 운반비 20 만원이들게 됩니다
무게 10 톤짜리 변압기를 처리하는 비용이나 무게 250Kg 의 MOF나 ASS를 처리하는 비용이나 똑 같다는 말입니다
다만 무게가 무거운 변압기는 변압기의 고철값에서 처리비용을 빼고 돈을 받게 되지만 MOF나 ASS는 고철로 처분해도 5만에서 8 만원밖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고철 값보다 폐기비용이 더 크기 때문에 오히려 약 50 만원의 비용을 지불하셔야 합니다
(관리대상기기) 유입변압기.ASS,MOF,PT,콘덴서
PCBs검사
최고의 완벽한 서비스로 완벽한 처리를 자랑합니다
고가 매입
유입변압기,NFB,폐전선,몰드변압기.ACB,VCB
인버터,수배전반,UPS,AVR, 중고전선,발전기
부여국제전기 중부영업소
Fax 080 080 8229
영업부장 이 관호 010-5245-7229
PCBs검사
최고의 완벽한 서비스로 완벽한 처리를 자랑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