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목조 탱화는 다양하지만,보물로 지정된 목조 아미타여래설법상은 6곳 뿐이다.
그중 3곳이 문경 지역에 있어 몇 년 전에 탐방한 적이 있다.
남장사와 남장사 관음원 그리고 대승사인데 대승사는 사불산을 끼고 김용사와 인접하고 있지만
그때는 일정이 맞지 않아서 김용사는 들리지 못했다.
<문경 8경> 중 하나인 운달계곡은 김용사 일원의 계곡을 일컫는데
맑은 물과 아름드리 수목이 어우러져숲길 산책로 이름난 곳이라 하기에
이번 사찰 탐방 겸 둘러보기로 했다.(이번 포스팅은 1,2부로 나누어 올린다)
천년고찰 김용사(金龍寺)는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운달산(雲達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운달이 창건한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운달산김룡사사적』에 따르면, 588년(진평왕 10)조사 운달(雲達)이 창건하여
운봉사(雲峰寺)라 하였으며,그 뒤 조선 중기까지의 사적은 전해 내려오지 않고 있다.
1624년(인조 2) 혜총이 중창하였으나,1642년(인조 20)에 소실되어
1649년(인조 27) 의윤(義允),무진(無盡), 태휴(太休) 등이 중수하였다.
사찰명인 金龍寺는 김용사와 김룡사로 혼용되어 불린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절 이름을 김룡사라 한 것은 옛날 문희(聞喜 : 지금의 聞慶)부사로
김씨 성을 가진 자가 있었는데,관(官)에 죄를 짓고 도망쳐 이 산에 숨었다가
우연히 신녀(神女)를 만나 가정을 이루어용(龍)이란 아들을 낳았다.
가운(家運)이 또한 부유해져 사람들이 김 씨 어른(金長者)이라 일컬었다.
하루는 큰 비바람이 분 뒤 그 처자를 잃어버리게 되었으나,간 곳을 알 수 없었으며,
지금 그 옛터와 섬돌이절의 서쪽에 남아있어 절 이름을 김룡사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일설에는 금선대(金仙臺)의 金 자와 용소폭포의 龍 자를 따서 금룡사라 하였다는 설도 있다.
부속 암자로는 대성암(大成庵), 화장암(華藏庵),양진암(養眞庵), 금선대(金仙臺) 가 있다.
일주문일주문에 두 개의 편액이 걸려 있다.
일주문에는 문 윗부분에 ‘紅霞門(홍하문)’,
아랫부분에 ‘雲達山 金龍寺(운달산 김룡사)’라고 쓴편액이 걸려 있다.
이 편액은 근대 서예가 김규진(金奎鎭:1683~1933)의 작품이다.
@홍하문(紅霞門)의 홍하(紅霞)는 성철스님이 즐겨하던 '홍하천벽해(紅霞穿碧海)'라는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산천 성철스님의 생가인 겁회사에도 벽해루라는 전각이 있는데
이 또한 홍하천벽해(紅霞穿碧海 )’라는 문구로부터 지은 것이라 한다.
이 구의 의미는<아침의 붉은 해가 푸른 바다를 뚫고 솟아오른다>리는 뜻이다.
일주문 뒤편
일주문의 주련:入此門來莫存知解 無解空器大道成滿)이 문에 들어서면
모든 알음알이를 내려놓아라.
알음알이 없는 빈 그릇이 대도를 성취한다고 하는 의미이다.
일주문을 지나면 무명(無名)의 비석 1기와 퇴경당 권상노대종사 석비가 있다
보장문(寶藏門)솟을대문이 솟아 있는 이 건물은 대문에
금강역사가 그려진 것으로 보아 일반사찰의 금강문 역할을 하는 모양이다.
보장(寶藏)이란 누적된 된 진보(珍寶)의 고장(庫藏)이란 뜻이며.
이는 묘법(妙法)이 중생의 고액(苦厄)을 구제함으로 이같이 비유한 것이다.
경론으로는 원위(元魏) 서역삼장(西域三藏) 길가야(吉迦夜)·담요(曇曜) 공역(共譯)인
《잡보장경(雜寶藏經)》이 있고 사형 집행을 앞둔 감옥에서
승조(僧肇)가 지었다는보장론(寶藏論)이 있다.
@보장문의 편액은 독립운동가인 東農(동농) 金嘉鎭(김가진)의 글씨로 알려져 있다.
해우소300년의 역사를 지닌 목조 건물이다.
소리풍경을 만들어 낸다는 남원 실상사의 해우소와는 달리 고태(古態)를 풍기는 해우소다.
@사찰 안내서에 따르면 절 입구에 경흥강원(慶興講院) 건물이 있다고 했는데
이 건물은 옛날에는 국내 최대 강원 건물의 하나로
동시 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70평짜리온돌방이 있었다고 하는데
불행히도 1997. 12. 31일 소실(燒失) 되었다.
천왕문보장문을 지나면 가파른 돌계단 위에 천왕문이 있다.
천왕문 안에는 석조사천왕상이 봉안되어 있다.
특이한 것은 사천왕을 <하느님>으로 표기하고 있다.
김용사 스님의 말에 따르면 본래목조 사천왕이 봉안되어 있었으나
도난당하고 새로 석조로 조성했다고 한다.
석조물인데도 사천왕상과 생령좌 등이 생동감 있게 조성되어 있다.
서방광목천왕
서방광목천왕의 생령좌
남방증장천왕
남방증장천왕의 생령좌
북방다문천왕과 동방지국천왕
북방다문천왕
북방다문천왕의 생령좌
첫댓글 성불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