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은 이전에 고린도 교회가 에베소에 있던 바울에게 편지를 써서 몇 가지 질문을 한 것에 대한 대답입니다. 그 중 하나가 독신과 이혼과 결혼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바로 앞에서 성적 부도덕을 지적한 바울은 주님 안에서 올바른 독신과 결혼과 이혼에 대해서 말합니다. 바울은 남자와 여자를 가까이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것은 성적인 관계를 맺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1). 그러나 성적인 방종을 방지하기 위해서 결혼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바울은 ‘자기 아내’, ‘자기 남편’이라고 말하면서 성적인 관계의 분명한 한계선을 보여줍니다(2). 이것은 이중적인 메시지가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부부 관계를 넘어서 성적인 욕구를 채우는 방종자들을 향한 메시지와, 다른 한편으로는 금욕주의적인 관점으로 부부간에도 성적인 것을 악한 것으로 여겨 금하는 사람들을 향한 메시지입니다. 남편과 아내는 서로의 의무를 다해야 합니다(3). 여기서 ‘의무’는 부부로서 모든 의무를 말합니다. 남편과 아내의 권리는 동등합니다. 서로 방을 나누어 생활하는 것도옳지 못합니다. 다만, 합의하에 기도할 틈을 얻기 위해서는 얼마 동안은 괜찮지만 다시 합하라고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탄의 시험을 받게 됩니다(5절). 서로에게 무심해서는 안 된다는 말입니다. 바울은 ‘이 말을 함은’ 명령이 아니라 허락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이 말”은 앞에 나오는 5절이나 7절을 의미합니다. 5절이라면 기도할 틈을 얻기 위해 얼마 간 떨어져 지내는 것입니다. 7절을 의미하면 모든 사람이 자신과 같이 독신으로 지내는 것입니다. 독신으로 지내는 것이 명령이 아니라 허락이라는 것입니다. 사람들마다 하나님께 받은 은사가 다르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독신으로, 어떤 사람은 결혼을 하여 살 수 있는 것입니다(7). 둘 다 주님을 위한 것입니다.
이어서 바울은 결혼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보여줍니다. 결혼 하지 않은 자들과 결혼하고 남편을 잃은 과부들에게는 미혼인 자신과 같이 지내라고 합니다(8). 하지만 절제할 수 없는 사람은 결혼하는 것이 정욕에 이끌리어 사는 것보다 낫다고 합니다(9). 기혼한 여자는 이혼하지 말라고 합니다(10). 그리스도인 남편과 아내는 불신 아내, 남편이 함께 살고 싶어하면 버리지 말아야 합니다(11-13). 바울은 믿지 않는 남편과 아내는, 믿는 아내와 남편의 거룩한 생활을 통해서 복음을 듣고 거룩하게 된다고 합니다. 나아가 자녀들도 그렇게 된다고 합니다(14). 이미 결혼 한 상태에서 그리스도인이 된 홀 믿음의 가정에서 부딪힐 수 있는 실제적인 상황에 관한 질문에 바울은 응답한 것입니다.
이어서 바울은 각 사람에 부르신 그대로 지내라고 합니다. 교회에 속하게 되어 무리하게 사회적 문화적 변화를 꾀해서는 안 됩니다. 할례자도 그대로, 무할례자도 그대로, 종도 그대로, 주인도 그대로 지내야 합니다. 할례자가 되는 것보다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고, 주인은 그리스도의 종이 되는 것이, 종은 그리스도 안에서 죄로부터 자유인이 되었다는 것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각각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하나님과 함께 머무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17-24). 고린도 교회 안에는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을 사회적 문화적인 신분 변화로 생각하던 사람들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신분 변화가 아니라 부르심을 받은 자리에서 내적으로 변화된 삶을 사는 것임을 말합니다.
이어서 바울은 결혼하지 않은 여자에게 임박한 환난으로 인하여 그냥 지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것은 로마 제국이 장차 교회에게 가하게 될 핍박을 의미합니다(25-27). 하지만 결혼해도 죄 짓는 것이 아닙니다(28). 결혼생활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지만 세상에 메이지 않는다면 결혼도 괜찮습니다(29-31). 그리고 결혼을 하든지 하지 않든지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이 갈라지지 않게 하여 주님을 어떻게 기쁘시게 할까 생각하며 흐트러짐 없이 주님을 섬기는 것입니다(32-35). 결혼을 하는 것도 주를 위하여, 하지 않는 것도 주를 위하여 해야합니다. 그러므로 자기의 약혼녀(혹은 처녀 딸)가 행동이 합당하지 못한 줄로(‘상황이 지나치게 힘겨워지고,’ 즉 “결혼을 간절히 하고 싶어 하면”이라는 뜻) 생각 되면 결혼하게 하라고 합니다(36). 또 딸이 결혼하지 않기로 작심하고 부득이한 일이 없다면 그대로 두는 것도 잘하는 것이라고 합니다(37). 그리고 바울은 결론적으로 결혼을 하는 자도 잘하는 것이고, 결혼을 하지 않고 주님을 온전히 기쁘시게 하는 삶을 위해서 사는 것은 더 잘하는 것이라고 합니다(38). 마지막으로 바울은 재혼하는 문제에 대해서 다루는데 남편과 사별했을 경우에 대해서 말합니다. 여기도 결혼과 마찬가지로 주 안에서 재혼이 가능하지만 그냥 지내는 것이 더욱 좋다고 합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영의 인도를 받아 기록한 것이므로 명령이 아니라 권하는 것이지만 신적 권위를 가집니다(40).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성과 가정에 대해서 말합니다. 당시의 여러가지 실제적인 상황 속에 있는 실제적인 문제를 다루었기 때문에 분문의 많은 부분들이 오늘날에는 해석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원리들은 보입니다. 성생활은 부부 안에서만 이루어질 것과 결혼은 해도 주님을 위해, 하지 않아도 주님을 위해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재혼도 마찬가지입니다. 요즘 사회는 이것과 반대로 갑니다. 주님이 기준이 되기 보다 개인의 자유와 선택으로 독신, 결혼, 이혼 그리고 성적인 생활을 말합니다. 그러나 바울은 그렇게 말하지 않습니다. 분명한 제한과 기준이 있습니다. 혹시 오늘 말씀이 너무 구시대적이거나 보수적인 것처럼 보인다면, 그것은 독신과 결혼과 재혼과 이혼과 성적인 생활에 대한 우리의 생각과 기준이 이미 이 성경적인 관점과 멀어져 있다는 증거입니다. 이전까지는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제는 새로운 기준을 세우고 살아가야 합니다. 우리 생각이 말씀의 교정을 받아야 합니다. 독신도, 결혼도 주님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 가정과 생활이 주님을 위한 가정인지 되돌아 보고, 자녀들에게 올바른 결혼관과 연애관을 세워줄 수 있는 가정이 됩시다. 또 자녀들은 부모님의 권면이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한 것임을 알고 순종하는 자녀들이 됩시다. 아멘
첫댓글 아멘
아멘! 감사합니다.
아멘...감사합니다.
아멘
아멘, 감사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