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된 질문이라 연달아 올렸습니다. 확인 받고 싶은 거라 맞다면 짧게 단답으로 대답해 주셔도 괜찮습니답!!ㅎㅎ
---
답안작성과 관련되어 질문 남깁니다.
질문1. 노동자오인 모형 또는 화폐환상을 분석할 때 소결에서 두 모형을 비교하라는 말 없어도 가볍게 '화폐환상은 근시안적 노동자 때문에, 노동자 오인은 정보 비대칭 때문 이라는 사실'을 밝혀야 할까요?
질문 2. 프리드먼의 노동자 오인 모형은 '적응적 기대'를 가정하므로 소결에서 합리적 기대를 가정하는 '정책무력성 명제'를 쓰는건 타당하지 않은거죠?
질문 3. step3.분석 단계에서 '결과적으로 p상승하므로 근로자오인 모형으로 인해 bar w이고, 기업가가 W상승 시 노동자오인으로 노동수요곡선은 우측이동하므로 N이 상승함'으로 사실상 STEP1. 모형의 설정 단계에서 했던 말을 그대로 카피해서 쓰면 되는거죠,,?
질문 4. 장, 단기 비교분석을 요청하는 문제가 나올 때, STEP1. 모형의 설정단게에서 우상향하는 SRAS뿐만 아니라 수직인 LRAS 도출도 간단하게 보여야 하나요?
첫댓글 1. 둘을 동시에 비교시키는 문제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만약 그렇다면 밝혀야 하죠.
2. 이건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프리드먼의 모형이니까 적응적 기대라는 견해와 프리드먼을 통화론자의 범위에 두어서는 안되니까 합리적 기대를 가정해도 좋다는 견해요. 그래서 주로 루카스가 출제되는 것입니다. 거의 희박한 확률이지만 묻는다면 두 관점에서 서술해야 하겠지요.
3. 정확합니다.
4. 도출이랄거 있나요. Pe=P 하고 수직으로 세우면 그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