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과연 몇 개의 도시재생 선도사업을 선점할까? 활력을 잃은 부산 원도심의 주거환경은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을까? 아버지 세대인 '베이비부머'는 집값을 지키려고 하고, 자녀 세대인 '에코세대'는 집값 하락을 기대하는 갈등은 해소될까? 이런 질문은 개별 재생사업의 성공에 대한 것은 아니다. '오래된 미래'로서의 도시의 경쟁력과 우리 모두가 겪고 있는 저성장, 100세 시대의 보편적 주거와 연관된 것이다.
도시재생 선도사업은 주민과 지자체가 재생사업을 수립·시행하고 국가가 지원한다. 지자체의 (밑으로부터의) 필요와 요구의 반영이라는 점에서 이전의 '위로부터의' 사업과 구별된다. 또 '재생'의 사전적 의미처럼 고성장·압축개발 시대를 거치면서 야기되고 누적된 도시 공간의 문제를 '고쳐 다시 쓴다'는 점에서 개발의 논리보다는 치유의 모멘텀이 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원도심 활성화를 통해 재성장을 위한 동력이 요구되는 부산시로서는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선도사업은 도시경제기반형 사업과 근린재생사업으로 구분된다. 사업에 선정되면 각각 250억 원, 200억 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정부는 올 상반기에 전국에 11곳(도시경제기반형 2곳, 근린재생형 9곳)의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도사업은 부산시의 제안으로 지난해 12월 5일 시행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시도되는 국책 사업이다. 부산시가 주도했으니 부산 이니셔티브가 존재한다. 평가항목으로 검토하는 사업구상의 적정성, 지역의 쇠퇴도, 주민·지자체의 추진 역량, 사업의 파급효과 측면에서 부산의 현재 상황이나 지자체의 역량 등이 적절히 평가 지표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부산은 도시경제기반형 사업과 다수의 근린재생 사업 선정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부산시 원도심지역의 창조적 재생 마스터플랜'에 따라 북항 재개발사업과 부산역 일원 개발계획을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과 연계시켜 복합개발 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근린재생 선도사업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부산시의 사업 선정은 단순히 국비가 지원되는 특정 사업을 부산시가 선점했다는 데 있지 않다. 사업 선정 자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고 광역시 가운데 가장 빠른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부산시 원도심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재생이 시도된다. 이런 부산시의 이니셔티브가 부산의 새로운 경쟁력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차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