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5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AI 산업육성 전략 자문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이 반도체 주 52시간 예외 적용, 상속세법 개정 등의 ‘우클릭’ 행보를 보이는 것과 관련해 “국민들은 안 속는다”고 말했다.
5일 오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의 재판을 앞두고 뒷북을 치는 행태”라며 이같이 말했다.
오 시장은 “이재명은 ‘상속세 부담 완화’와 ‘주 52시간 특례 도입’ 등 정부와 여당이 진작부터 요구했던 민생 현안에 요지부동이었다”며 “이재명이 지지율이 떨어지고 자신의 재판을 앞두고서야 뒷북을 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이어 “불과 7개월 전 경제와 기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여당이 주 52시간제에 대해 협조를 구할 때 ‘제도 개악에 절대 협조하지 않겠다’고 했던 말을 잊을 수 없다”며 “(이재명의 최근 행보가) 선거용, 방탄용 ‘실용주의 코스프레’라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고 했다.
오 시장은 “(이재명은) 동시에 1심에서 당선 무효형을 받은 본인 공직선거법 항소심 재판에서 이미 헌재가 수차례 합헌으로 결정한 공직선거법 조항을 문제 삼고 나섰다”며 “명분도, 실리도 없는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실용주의 코스프레 직후 꺼내 드는 모습을 보면 결국 모든 것이 재판을 지연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장동, 대북 송금 등 여러 사건에서 보여온 ‘지연=생존’ 공식”이라며 “국정을 본인 생존의 도구로만 활용하는 ‘이재명의 본질’을 많은 국민이 꿰뚫어 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재명은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반도체특별법 정책토론회에서 반도체 특별법의 ‘주 최대 52시간 근로’ 특례조항과 관련해 “1억 3000만 원이나 1억 5000만 원 이상의 고소득 연구개발자에 한해 그리고 본인이 동의하는 조건에서 특정 시기에 집중하는 정도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느냐고 하는 의견에 저도 많이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민주당이 타 직종과의 형평성 논란 등을 이유로 반도체 산업에만 ‘주 52시간 근로’ 예외를 적용하는 데 반대 입장을 밝힌 것과 상반된 반응을 보인 것이다.
이외에도 이재명은 지난해 8·18 전당대회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상속세 때문에 집에서 쫓겨나는 상황은 막아야 하지 않겠느냐”며 “배우자·일괄 공제 한도 금액을 올려야 한다”고 발언해 기존 민주당 측의 상속세 관련 입장과 대치되는 반응을 보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