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지능정보사회, 가짜뉴스, 1인 미디어플랫폼 유튜브의 성장 등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부각시키고 있다. 미디어 시대에 인간이 비판적이고 주체적으로 미디어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 기술을 통해 사회 전반이 변화하는 시대에 단지 기술에 대한 접근성뿐만 아니라, 이들...
2019년 12월 PISA2018 결과 발표 이후 OECD 교육국장 안드레아스 슐라이허(2019)는 “통찰과 해석”이라는 발간물을 통해 PISA2018의 주요 결과를 주제별로 재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이 중 “디지털 세계를 위한 준비” 챕터에서는 학생들의 디지털 기술에의 접근성 및 친밀성, 디지털 시대의 읽기능력 등에 대에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읽기능력을 측정하는 데 ...
본 이메일은 한국교육개발원 홈페이지에서 정보 메일 수신에 동의하셨거나 교육정책네트워크를 통해 메일진 구독 신청을 하신 분께 발송됩니다. 구독을 원하지 않으실 경우 한국교육개발원 홈페이지에서 메일 수신 정보를 변경하시거나 수신거부
(우)27873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교학로 7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Tel : 043-5309-590/Fax : 043-5309-470/E-mail : mailzine@kedi.re.kr
CopyrightⓒKEDI KEDI Education Policy Network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