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전연구원 학림 제19기 『테라가타1』 제 3강 후기
제19기 학림 테라가타1의 세 번째 공부의 후기입니다.
◈ 삼귀의계와 오계
◈입정
지난 시간과 마찬가지로 법사스님께서 명상주제에 대해 안내 말씀을 하셨습니다. 화두나 다른 명상주제 등을 가진 분은 각자 수행하던 방식대로 하시고, 명상 주제가 아직 없는 분은 들숨날숨에 마음챙기는 호흡법을 하시기를 권장하셨습니다. 숨이 닿는 곳을 찾아서, 가령 코끝이나 코안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숨이 계속해서 닿는 부분에 마음챙김”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제 3강 내용 요약 (각묵스님)
*테라가타는 259분의 아라한이 읊은 264편 1,279개의 게송이 21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테라가타 해제는 경전의 이해를 돕도록 총 10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세 번째 시간에는 4장 끝부분에서 7장까지 살펴보았습니다.
◎『테라가타』 해제 정리
I. 들어가는 말
-한국의 절에는 응진전(應眞殿)과 나한전(羅漢殿) 등의 전각이 있는데 모두 아라한(阿羅漢)과 관련이 있음
II.『테라가타』란 무엇인가
‘테라가타(theragāthā)’는 장로를 뜻하는 테라(thera)와 게송을 뜻하는 가타(gāthā)의 합성어이며, 담마빨라 스님의 테라가타 주석서 서문에서 “therehi bhāsitā gāthā”(ThagA.i.1), 즉 ‘장로들에 의해서(therehi) 읊어진 (bhāsitā) 게송들(gāthā)’로 정의함
III.『테라가타』의 구성
259분 장로들의 게송 264편, 1,279개를 하나의 모음부터 큰 모음까지 모두 21개의 모음 안에 담고 있음
IV.『테라가타』에 나타나는 운율(chando)
1) 운율은 장로들이 읊은 게송의 음성적 형식임
2) 베다의 기본 운율 7가지
인도 바라문교의 3대 기본 교전인 『리그베다』, 『야주르베다』, 『사마베다』등은 다음의 7가지의 전통운율로 이루어짐
①가야뜨리: 8(음절)×3(구절)=24음절
②우슈니흐: 7(음절)×4(구절)=28음절
③아누슈뚭(Anuṣṭubh, 실로까, Śloka, Siloka): 8(음절)×4(구절)=32음절
④브르하띠: 9(음절)×4(구절)=36음절
⑤빵끄띠: 10(음절)×4(구절)=40음절
⑥뜨리슈뚭(Triṣṭubh): 11×4=44음절
⑦자가띠 (Jāgati): 12×4=48음절
본서 『테라가타』의 1279게송중에서, 인도의 전통 운율이라 할 수 있는 32음절 아누슈뚭, 44음절 뜨리슈뚭, 48음절 자가띠가 80프로 이상을 차지함. 특히 아누슈뚭은 60%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다수를 차지함
3) 『테라가타』에 나타난 운율의 보기
①아누슈뚭(Anuṣṭubh, 실로까, Śloka, Siloka): 8(음절)×4(구절)=32음절
upasanto uparato, 우빠산또 우빠라또 (8)
mantabhānī anuddhato 만따바니 아누닷또 (8)
dhunāti pāpake dhamme, 두나띠 빠빠께담메 (8)
dumapattaṁva māluto 두마빳땀 와 말루또 (8)
“고요하고 제어되고
지혜롭게 말을하고 들뜨지 않는 사람은
사악한 법들을 흔들어 날려버리나니
마치 바람이 나무의 잎사귀를 그리하듯이“
②뜨리슈뚭(Triṣṭubh): 11×4=44음절
paññaṁ imaṁ passa tathāgatānaṁ, 빤남 이맘 빳사 따타가따남(11)
aggi yathā pajjalito nisīthe 악기 야타 빳잘리또 니시테 (11)
ālokadā cakkhudadā bhavanti, 알로까다 짝쿠다다 바완디 (11)
ye āgatānaṁ vinayanti kaṅkhaṁ 예 아가따남 위나얀띠 깡캄(11)
“여래들의 이 통찰지를 보라.
마치 한밤에 불이 타오르듯이
그분들은 광명을 주시고 눈을 주시나니
찾아온 자들의 의심을 길들이신다.”
⑦자가띠 (Jāgati): 12×4=48음절
sukhaṁ sukhattho labhate tadācaraṁ, 수캄 수캇토 라바떼 따다짜람 (12)
kittiñca pappoti yasassa vaḍḍhati 낏띤짜빱뽀띠 야삿사 왓다띠 (12)
yo ariyamaṭṭhaṅgikamañjasaṁ ujuṁ, 요[아]리얌 앗탕기깜 안자삼 우줌 (12)
bhāveti maggaṁ amatassa pattiyā 바웨띠 막감 아마땃사 빳띠야 (12)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은] 이것을 실천하여
행복을 얻고 찬탄을 받고 평판을 증가시킵니다.
그것은 성스럽고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졌고
올곧고 반듯하나니
죽음 없음[不死]을 얻기 위해서
그는 그 도를 수행합니다.”
*『테라가타』1279 대부분의 게송은 4구게이나, 이중에서 61개 정도의 게송은 6구게로 구성되기도 함
V.『테라가타 주석서』의 저자 담마빨라 스님
*『테라가타』는 주석서 없이 읽기가 매우 어려움.
*서기 5-6세기에 상좌부 불교의 교학은 다음의 세 분 스님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정리됨
붓다고사 스님 (서기 400-450): 『청정도론』 등의 13개 주석서
아난다 스님: 아비담마 칠론에 대한 『물라띠까』(근본복주서)
담마빨라 스님 (서기 550-600): 『빠라맛타만주사』(청정도론 복주서)를 비롯한 18개의 주석서와 복주서
*특히 담마빨라 스님은 『테라가타』주석서를 지음
*『테라가타』주석서는 담다빨라 스님의 『빠라맛타디빠니』 의 일부이며,
여기에는 『쿳다까 니까야』에 포함된 우다나, 이띠웃따까, 테라가타, 테리가타 등 7개 경에 대한 주석서가 있음
*『테라가타』주석서에는 259분 장로들의 행장이 상세하게 나타남. 전생의 인연, 금생의 인연 (태어난 지역과 가문), 출가한 인연, 깨달은 인연 및 게송을 읊은 인연등이 나타남. 초기불전에서 번역한 『테라가타』에는 책의 분량 제한으로 전생의 인연 (전생담) 부분은 옮기지 않음
*『테라가타』주석서는 『쿳다까 니까야』에 포함된 『아빠다나』 (13 Apadana; 비유경) 경의 구절들을 많이 인용한 것도 특징적임
VI.『테라가타 주석서』의 구성 및 전개 방법
다음의 네 가지 형태로 구성됨
1) 게송을 읊은 장로의 행장: 전생담, 금생인연, 출가인연, 아라한이 된 인연, 『아빠다나』인용등 다섯부분으로 나타남
2) 게송을 읊은 배경: 게송의 이해를 도와줌
3) 게송의 성격: 구경의 지혜(aññā), 감흥어(udāna), 사자후(sīhanāda)인지 구분함
4) 게송에 대한 자세한 주석: 문법적인 설명과 교학적인 설명이 나타남
VII.『테라가타』를 읊은 장로들에 대한 고찰
*『테라가타 주석서』에서 정리하는 259분 장로들의 출생 지역, 태생 등을 분류함
*장로가 직접 지은 게송이 아니라, 세존이나 다른 존재들(천신, 범천 등)이 읊은 것을 외워 읊은 경우를 살펴보았고, 부처님이 입멸하신 뒤에 출가한 장로들이 읊은 것에 대해서도 살펴봄
*출생지역별로는, 꼬살라국 출신 95명, 마가다국 출신 70명, 까삘라왓투 출신 31분, 웨살리 출신 14분, 말라 출신 8분, 아완띠 출신 6분, 꼬삼비 출신 4분, 짬빠 출신 4분, 사께따 출신 4분, 그 외 지역 10분 등으로 구분됨
*태생별로는 바라문 태생 116 분, 끄샤뜨리야 태생 58 분, 와이샤 태생 42 분, 하천한 가문 태생 11 분, 유행승 등 32 분으로 구분됨
*부처님 입멸후 출가한 장로는 삼부따 장로, 떼낏차까리 장로, 위따소까 장로, 에까이하리 장로 네 분임
◈사홍서원
◈ 감사의 글
*두 분 스님이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생방송을 위해서 노력하는 방송반께 감사드립니다.
*학림의 원만한 진행을 위해 봉사하는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학림에 동참하시는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본 학림의 보다 자세한 강의 내용은 유튜브 초기불교TV를 통해서 송출된 자료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학림을 마치고, 원장스님께서 잠시 법당에 내려오셔서 반가히 인사말을 전하셨습니다. 그리고 이달 4월 23일 (음력 3월 보름)부터 보리원에서 1000일 기도를 시작한다고 알려주시기도 했습니다. 스님의 쾌유를 빕니다.
사두 사두 사두 _()_()_()_
첫댓글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감사합니다^^
사~두 사~두 사~두
_()_()_()_
사두 사두 사두
.......()()().......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