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마음의 호숫가에서
 
 
 
카페 게시글
원담 명상록 창조주의 불완전성과 창조설의 비합리성
Wondam:원담 추천 0 조회 20 25.08.12 10:41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5.08.13 19:10

    첫댓글 왜 신은 악과 죄가 가능한 구조 자체를 창조했는가?
    왜 인간의 자유가 고통보다 더 중요한 가치라고 여기는가?
    결과적 고통을 인간 탓으로 돌리는 것은 정당한가?
    ❶ 왜 신은 악과 죄가 가능한 구조 자체를 창조했는가?
    ▶ 답변: 신은 자유로운 관계와 사랑을 원했기 때문에,
    선택의 가능성과 함께 악의 가능성도 허용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전통적 신학의 입장입니다.
    악이 필연적으로 필요했던 건 아닙니다.
    신은 원래 “악이 발생하지 않는 자유”를 부여할 수도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그럴 경우, 진정한 의미의 자유는 제한되었을 것입니다.
    ▶ 그러나 이 답변에는 명확한 한계가 있습니다:
    전지하고 전능한 신이라면,
    인간이 자유를 가지면서도 악을 절대 선택하지 않는 세계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신이 굳이 악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구조를 만들었다면,
    그것은 선택이 아니라 의도된 설계이며,
    그 책임은 신의 창조행위에 있다는 비판이 충분히 정당합니다.
    📌 결론적으로,
    신이 악을 허용한 구조 자체를 창조했다는 점에서
    그 결과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❷ 왜 인간의 자유가 고통보다 더 중요한 가치라고 여기는가?
    ▶ 답변:
    전통적 유신론은

  • 작성자 25.08.13 19:11

    전통적 유신론은 이렇게 말합니다:
    “자유는 사랑, 책임, 도덕, 신앙, 예술 등 인간 존재의 모든 가치의 기반이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윤리적 위계에 대한 문제 제기가 따릅니다:
    고통받는 어린이, 장애인, 전쟁 피해자들에게 자유보다
    고통 없는 생존, 평화, 돌봄이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유가 고통보다 우선’이라는 주장은
    삶의 다양한 조건과 존재방식을 포괄하지 못하는 주장입니다.
    📌 결론적으로,
    ‘자유가 고통보다 우선한다’는 것은 보편적 진리가 아니라, 특정 신학적 가정일 뿐입니다.
    신이 그렇게 설계했기 때문이라는 말은 자기 정당화 논리일 수 있습니다.
    ❸ 결과적 고통을 인간 탓으로 돌리는 것은 정당한가?
    ▶ 답변: 부분적으로는 정당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불완전한 논리입니다.
    인간의 도덕적 악(살인, 부패, 전쟁 등)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러나 자연적 악(지진, 질병, 기형 출산 등)은
    인간이 만든 것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이 세상의 창조자인 신이 있다면,
    고통의 구조 자체를 설계한 책임은 신에게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인간의 죄로 인해 생긴 고통은 일부 있을 수 있으나,
    고통의 전체적 존재 이유를 인간에게 돌리는 것은

  • 작성자 25.08.13 19:11

    고통의 전체적 존재 이유를 인간에게 돌리는 것은 부당하며,
    창조자인 신도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 최종 정리
    1. 왜 악과 죄가 가능한 구조를 창조했는가? 신이 자유를 주려 했다는 설명이 있지만, 전능한 신이라면 악이 없는 구조도 가능했을 것이므로 이 설계 자체에 대한 책임은 신에게 있음
    2. 왜 자유가 고통보다 중요한가? 보편적 가치로 입증되지 않음. 개인과 상황에 따라 고통 회피가 더 중요할 수 있음. 이는 신의 가치 기준을 인간에게 강요하는 것일 수 있음
    3. 고통을 인간 탓으로 돌리는 것이 정당한가? 부분적으로 정당하지만, 모든 고통이 인간의 선택 결과는 아님. 고통의 구조를 설계한 신의 창조 책임이 있음. -chatgpt의 대답- 이상은 <서림>스님의 글을 페이스북에서 캡쳐해왔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