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민(李好閔)
[문과] 선조(宣祖) 17년(1584) 갑신(甲申) 별시(別試) 을과(乙科) 2[探花]위(03/1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D638BBFCB1553X0
자(字) 효언(孝彦)
호(號) 오봉(五峰)
호(號) 수와(睡窩)(주1)
시호(諡號) 문희(文僖)
생년 계축(癸丑) 1553년 (명종 8)
졸년 갑술(甲戌) 1634년 (인조 12)
향년 82세
합격연령 32세
본인본관 연안(延安)
거주지 한성([京])【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시대 예조판서, 대제학,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효언(孝彦), 호는 오봉(五峯) · 남곽(南郭) · 수와(睡窩).
증조부는 호조판서 · 적개좌리공신 연안군(延安君) 이숙기(李淑琦), 할아버지는 홍문관수찬 이세범(李世範)이며 아버지는 이천현감(伊川縣監) 이국주(李國柱)이다. 어머니는 정경부인으로 비안 박씨(比安朴氏) 사직 박여(朴旅)의 딸이다.
이호민은 1579년(선조 12)에 진사가 됐으며 1584년(선조 17)에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했다. 1585년(선조 18)에 사관(史官)으로 발탁됐으며 응교와 전한을 역임했다.
후에 집의 · 응교를 겸직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에는 이조좌랑에 있으면서 왕을 의주까지 호종주1했다. 임진왜란 중에는 요양(遼陽)으로 가서 명나라에 지원을 요청해 명나라의 군대를 끌어들이는 데에 크게 공헌했다.
그 뒤에는 상호군(上護軍) · 행사직(行司直)을 거쳤으며 1595년(선조 28)에는 부제학으로 명나라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전담했다.
1596년(선조 29)에는 참찬관(參贊官)을 지냈다.
1599년(선조 32)에 동지중추부사가 되어 사은사(謝恩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01년(선조 34) 예조판서로 인성왕후(仁聖王后)의 지문(誌文)을 다시 썼으며 대제학 및 좌찬성을 지냈다.
1604년(선조 37)에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연릉군(延陵君)에 봉해졌다.
그 뒤에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가 됐으며 부원군(府院君)에 진봉됐다.
이호민은 1608년 선조가 죽자,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즉위를 반대하며 장자를 옹립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광해군이 즉위하자 고부청시승습사(告訃請諡承襲使)로 명나라에 가서 입장론(立長論: 장자를 세워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광해군이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온 것에 대하여 포상하려 했으나 「고부시공로사차(告訃時功勞辭箚)」를 올려 사양했다.
한편,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直哉)의 옥사에 연루되기도 했다.
1614년(광해군 6) 정온(鄭蘊) 등이 영창대군 살해에 대한 항의를 하다가 귀양 가게 되자 「청환수정온보외차(請還收鄭蘊輔外箚)」를 올려 이들의 방면을 요구했다.
1615년(광해군 7) 정인홍(鄭仁弘) 등의 원찬론(遠竄論)으로 인해 7년간 교외에서 죄를 기다렸다. 인조반정 후에 오래된 신하로 우대를 받았다.
이호민은 문장에 뛰어났다. 특히 임진왜란 때에는 왕명으로 각종 글을 작성하였는데 그가 지은 교서(敎書)는 내용이 간절하고 표현이 아름다워 보는 이의 감동을 자아냈다고 한다.
그러나 교서 등의 글보다는 한시에 뛰어나다는 평을 들었다.
의주에 있을 때에 일본의 수중에 있던 서울을 삼도의 군사가 연합해 공격한다는 소식을 듣고 지은 시 「용만행재하삼도병진공한성(龍灣行在下三道兵進攻漢城)」은 절창으로 널리 애송됐다. 저서로는 『오봉집(五峰集)』 15권 8책이 있다.
죽은 뒤에 청백리에 올랐으며 지례(知禮)의 도동향사(道東鄕祠)에 제향됐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생원] 선조(宣祖) 12년(157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2등(二等) 14위(19/100)
[진사] 선조(宣祖) 12년(157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1등(一等) 1[壯元]위(1/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0명 [甲1・乙2・丙7]
전력 생원(生員)
관직 한림(翰林)
관서 호당(湖堂)
관직 전문형(典文衡)
관직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관서 기사(耆社)
공신 호성공신(扈聖功臣)
봉호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문과시제 책문(策問):추시심행시정(推是心行是政)
타과 1579년(선조 12)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2등(二等) 14위
1579년(선조 12)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1등(一等) 1위[壯元]
기타 백주찬비(白洲撰碑) 임진기복(壬辰起復)
부모구존 자시하(慈侍下)(주3)【補】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국주(李國柱)[進]
증직 :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
품계 : 행중직대부(行中直大夫)
관직 : 이천현감(伊川縣監)(주4)【補】
[조부(祖父)]
성명 : 이세범(李世範)[文]
[생조부(生祖父)]
성명 : 이형례(李亨禮)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숙기(李淑琦)[武]
[생증조부(生曾祖父)]
성명 : 이숙황(李淑璜)[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박려(朴旅)(주5)
본관 : 비안(比安)【補】
[처부(妻父)]
성명 : 윤문로(尹文老)
본관 : 파평(坡平)【補】
[처부(妻父)2]
성명 : 허호(許昊)(주6)
본관 : 양천(陽川)【補】
[안항(鴈行)]
형(兄) : 이우민(李友閔)【補】
형(兄) : 이사민(李思閔)【補】
형(兄) : 이희민(李希閔)【補】
제(弟) : 이상민(李尙閔)【補】(주7)
[가족과거]
자(子) : 이경엄(李景嚴)[文]
[주 1] 호2 : 『오봉선생문집(五峰先生文集)』(국립중앙도서관[古3648-62-633-1-10]) 9책, 附錄권2, [세계자손총록(世系子孫總錄)]을 참고하여 호2를 추가.
[주 2] 거주지 : 『만력12년갑신추별시문무방목(萬曆十二年甲申秋別試文武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고)349.16 문무만])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3] 구존 : 『만력12년갑신추별시문무방목(萬曆十二年甲申秋別試文武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고)349.16 문무만])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4] 부관직 : 『만력12년갑신추별시문무방목(萬曆十二年甲申秋別試文武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고)349.16 문무만])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5] 외조부 : 『오봉선생문집(五峰先生文集)』(국립중앙도서관[古3648-62-633-1-10]) 9책, 附錄권2, [세계자손총록(世系子孫總錄)]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주 6] 처부 : 『오봉선생문집(五峰先生文集)』(국립중앙도서관[古3648-62-633-1-10]) 9책, 附錄권2, [세계자손총록(世系子孫總錄)]을 참고하여 처부1・2 본관을 추가.
[주 7] 안항 : 『만력12년갑신추별시문무방목(萬曆十二年甲申秋別試文武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고)349.16 문무만])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이국주(李國柱)
[진사] 중종(中宗) 20년(152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25위(30/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AD6DC8FCU9999X0
자(字) 지경(支卿)
본인본관 연안(延安)
거주지 한성([京])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부모구존 ○○하(○○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세범(李世範)[文]
품계 :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 : 행홍문관수찬(行弘文館修撰)
관직 : 지제교(知製敎)
겸직 : 겸 경연검토관(兼經筵檢討官)
겸직 :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
[출전]
『가정4년을유2월21일생원진사시방목(嘉靖四年乙酉二月二十一日生員進士試榜目)』(고려대학교 도서관[만송 貴 379 1522])
이세범(李世範)
[문과] 성종(成宗) 11년(14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2위(05/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C138BC94U9999X0
자(字) 기연(箕衍)
본인본관 연안(延安)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진사] 성종(成宗) 3년(1472) 임진(壬辰)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3위(8/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甲3・乙7・丙23]
전력 사맹(司猛)
관직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문과시제 책문(策問)
타과 1472년(성종 3) 임진(壬辰)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2등(二等) 3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숙기(李淑琦)[武]
[조부(祖父)]
성명 : 이보정(李補丁)[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백겸(李伯謙)
[외조부(外祖父)]
성명 : 홍길종(洪吉從)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민예달(閔禮達)
본관 : 미상(未詳)
[가족과거]
숙부(叔父) : 이숙황(李淑璜)[文]
손(孫) : 이호민(李好閔)[文]
[주 1] 거주지 : 『성화8년임진○월○일사마방목(成化八年壬辰○月○日司馬榜目)』(전의이씨 전산군파 이왕섭(全義李氏 全山君派 李旺燮))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四(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이숙기(李淑琦)
[무과] 단종(端宗) 1년(1453) 계유(癸酉) 대증광시(大增廣試) ○과(○科) ○○위(40/4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C219AE30B1429X0
자(字) 공근(公瑾)
생년 기유(己酉) 1429년 (세종 11)
졸년 기유(己酉) 1489년 (성종 20)
향년 61세
합격연령 25세
본인본관 연안(延安)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지중추부사, 형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한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공근(公瑾).
이양(李亮)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백겸(李伯謙)이다. 아버지는 증 연성부원군(贈延城府院君) 이말정(李末丁)이며, 어머니는 한옹(韓雍)의 딸이다.
1453년(단종 1) 무과에 급제해 훈련원주부를 지냈다.
1455년 세조가 즉위하자 참군(參軍)으로서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고, 세조의 가전훈도(駕前訓導)로 선발되었다.
1456년(세조 2) 무과 중시에 급제해 사온서영(司醞署令)이 되었고, 1459년 평양판관, 1461년 영변판관을 지냈다.
1467년 이시애(李施愛)가 함길도에서 난을 일으키자 진북장군(鎭北將軍) 강순(康純) 휘하의 맹비장(猛裨將)으로서 공을 세워 절충장군에 특진되고,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에 책록되어 전토와 노비를 하사받았다. 그리고 가정대부에 특진되어 이조참판이 되고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졌다.
이 해 겨울에 건주위(建州衛)의 야인 정벌에 참여해 또 공을 세웠다.
이듬 해 함길남도절도사가 되고, 1470년(성종 1) 북청부사를 겸임했으며, 1471년에는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되었다.
이어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1475년 황해도관찰사, 이듬 해 전라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479년 다시 건주위 정벌에 참전하고, 그 공으로 이듬 해 자헌대부로 승진하였다.
이 해 전라도절도사로 있으면서 제주 관리에게 부탁해 말을 산 죄로 파직당하였다.
그 뒤 복직되어 영안도(함경도)관찰사·경상좌도병마절도사·지중추부사를 거쳐 1487년 형조판서가 되었다.
이듬해 충청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가 곧 교체되어 지중추부사가 되었다. 1489년 특진관에 임명되어 특히 영안도 5진에 대한 자문에 응했으며, 이어 호조판서가 되었다.
성품이 강직했으며, 사사로운 것 때문에 공을 버리지 않았다.
경상도 지례(知禮)의 도동사(道東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정양(靖襄)이다.
[무과] 세조(世祖) 3년(1457) 정축(丁丑) 중시(重試) ○과(○科) ○○위(39/40)
[이력사항]
선발인원 40명
본인무과 1457년(세조 3) 정축(丁丑) 중시(重試) 무과(武科)
부모구존 ○○하(○○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말정(李末丁)
[출전]
『성종실록』 234권, 성종 20년(1489) 11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