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장 “홍장원 메모 4가지 작성 시점에 공관 아닌 청사 있었다”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22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지난 정부에서 국정원에 재직했던 야당 의원에게 7차례 인사를 청탁했다”고 밝혔다.
그는 12·3 비상계엄 당시 홍장원이 ‘정치인 체포 명단’ 등을 적어둔 메모 관련해서도 “사실관계가 달랐다”고 주장했다.
● “홍장원, 야당 의원에 7차례 인사청탁”
조 원장은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8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지난해 여름쯤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어느 야당 의원이 홍 전장원을 지목하면서 ‘내가 국정원에 있을 때 유력한 사람을 통해서 7차례 나에게 인사청탁을 하지 않았는가’라고 말했다”며 “그 이야기를 들으면서 저는 깜짝 놀랐고, 들었던 사람들 모두 놀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홍장원이 7차례 인사 청탁을 했다는 소린가”라는 윤 대통령 측 변호사의 질의에 “그렇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 측이 “지난 정부 국정원에 재직한 바 있는 사람이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아니면 박지원인데 맞는가”라고 재차 묻자 “그렇다”며 “둘 중 누구인지는 말씀드리지 않아도 될 것 같다”고 했다.
조 원장은 이어 “이런 것들을 보면서 홍 전 차장의 정치 중립과 관련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조금씩 머릿속에서 생각하게 됐다”며 “(국회) 정보위원회 회의 중 있었던 이야기니 속기록이 남아 있을 것”이라고 했다.
● “메모 관련 홍장원 헌재 증언, 사실관계 달라”
조 원장은 이날 “(홍장원의) 헌재 증언 이후 사실파악을 해봤는데, 사실 관계가 두 가지가 특히 달랐다”라고도 증언했다.
그는 “홍장원이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 6분에 국정원장 공관 앞 어두운 공터에서 메모 쓰게 돼서 주머니에서 메모지 꺼내 급히 썼다고 했는데, 확인해보니 오후 11시 6분이면 청사 본인 사무실에 있었다. CCTV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홍장원은 본인이 작성한 메모와 보좌관 작성한 메모 두 가지가 있다고 했는데, 보좌관에게 직접 물어보니 메모가 총 4가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12월 3일 밤에 홍 차장이 사각 포스트잇에 쓴 메모를 줘서 정서(正書)를 한 건 맞다. 그런데 그 다음 날 오후에 다시 홍장원이 같은 보좌관에게 ‘네가 기억나는 대로 해서 다시 한 번 써서 달라’고 했다고 한다. 보좌관은 가지고 있는 게 없어서 기억을 더듬어서 메모를 썼다고 하니, 세 번째 메모가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보좌관 설명은 자기가 파란 펜으로 사람 이름만 쭉 썼고, 동그라미를 친다든지 방첩사 등의 메모는 가필하지 않았다고 한다”며 “(지난해) 12월 4일 늦은 오후에 보좌관 기억 더듬어 새로 써진 게 이 메모인데 누군가가 가필해 놓은 게 지금 메모”라고 했다.
앞서 홍장원은 이달 4일 헌재에 출석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체포 대상자) 명단을 불러주는데 포켓(주머니)에 있던 메모지에 받아 적었다”며 “적다 보니 ‘이게 뭐지’라는 생각이 들어서 뒷부분은 적지 않았고, 나중에 기억을 회복해 적어보니 14명, 16명 정도가 됐다고 기억한다”고 증언했다.
홍장원은 또 “당시 국정원장 관사 앞 공터에서 주머니에 있던 수첩에 받아 적었다”며 “사무실에 와서 보니 내가 봐도 알아보기 어려워 보좌관을 불러 정서를 시켰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조 원장에 대한 직접 신문을 헌재에 요청했다. 하지만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이를 제지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규정상 그렇게 돼 있냐”고 묻고 윤 대통령 측 대리인단이 항의하면서 한때 관련 공방이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