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두[鄭齊斗]
정의
조선후기 『학변』, 『존언』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서울 출신.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추곡(楸谷).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 정유성(鄭維城)이고, 아버지는 진사 정상징(鄭尙徵)이며,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호조판서 이기조(李基祚)의 딸이다.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이다. 조선에 전래된 양명학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최초로 사상적 체계를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경세론을 전개한 조선 후기의 양명학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몇 차례 과거시험에 실패한 뒤 1672년(현종 13)부터는 과거공부를 그만두고 학문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1680년(숙종 6)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천거로 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종부시주부·공조좌랑에 임명되었다. 1688년 평택현감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서연관(書筵官)을 비롯하여 상령군수·종부시주부·사헌부장령·사헌부집의에 임명되었다. 1709년 강화도 하곡(霞谷) 으로 옮겨 살았으며, 호조참의·강원도관찰사·동지중추부사·한성부좌윤에 임명되었다. 1722년(경종 2) 사헌부대사헌·이조참판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성균관좨주·사헌부대사헌에 임명되었다. 1726년(영조 2) 이정박(李廷撲)이 정제두가 양명학을 한다고 배척했으나 영조의 보호를 받았다. 1728년 의정부우참찬에 임명되었고, 1736년 세자이사(世子貳師)에 임명되었다.
학문세계와 저서
정제두는 처음에는 주자학을 공부하다가 일찍부터 양명학에 심취하였다. 당시의 도학은 정통주의적 신념에서 양명학을 이단으로 배척했으나, 정제두는 확고한 신념으로 양명학의 이해를 체계화시키고 양명학파를 확립하였다.
정제두는 당시 주자학의 권위주의적 학풍에 대해 학문적 진실성이라는 관점에서 비판하면서, “오늘날에 주자의 학문을 말하는 자는 주자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곧 주자를 핑계대는 것이요, 주자를 핑계대는 데에서 나아가 곧 주자를 억지로 끌어다 붙여서 그 뜻을 성취시키며, 주자를 끼고 위엄을 지어서 사사로운 계책을 이루려는 것이다.”라고 지적하였다. 정제두는 송시열(宋時烈)과 서신을 통해 경전의 뜻과 처신의 의리 문제에 관해 논의하였고, 스승 박세채를 비롯하여 윤증(尹拯)·최석정(崔錫鼎)·민이승(閔以升)·박심(朴鐔) 등과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양명학의 문제를 토론하였다. 박세채는 「왕양명학변(王陽明學辨)」을 지어 양명학을 비판하고, 정제두에게 양명학을 버리도록 종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제두는 “왕수인(王守仁)의 학설에 애착을 갖는 것이 만약 남보다 특이한 것을 구하려는 사사로운 마음에서 나온 것이라면 결연히 끊어 버리기도 어려운 바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가 학문하는 것은 무엇을 위한 것입니까? 성인의 뜻을 찾아서 실지로 얻음이 있고자 할 뿐입니다.”라고 하며 결연한 자세를 보여주었다. 특히 민이승과는 여러 차례 만나서 토론을 벌이거나 서신을 통해 조목별로 심즉리(心卽理)·치양지·지행합일·친민(親民) 등 양명학의 문제들에 관해 논의함으로써 양명학과 주자학에 관한 본격적인 토론을 전개하였다. 또한 민이승에게 왕수인의 글을 초록하여 제시하기도 하고, 「양지체용도(良知體用圖)」와 「여명체용도(麗明體用圖)」를 그려서 양명학의 심성론과 양지론의 도상적 표현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정제두는 왕수인의 심즉리를 받아들여 주자가 마음[心]과 이(理)를 구별하는 것을 비판하고 마음과 이의 일치를 주장하였으며, 이와 기(氣)의 이원화도 거부하고 이기합일론의 입장을 취하였다. 나아가 이가 마음과 일치되어 마음 밖에 이가 따로 존재할 수 없게 되기에 이가 공허하지 않고 실실하게 있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정제두는 양지의 개념에 대해서 지각이나 지식의 뜻과 구별하여 성체(性體)의 지(知)요, 본연의 선(善)이며, 오상(五常)의 지(知)를 가리키는 것이라 하여 성의 본체라 하였다. 「양지체용도」에서도 중심의 원 속에 마음의 성과 인의예지(仁義禮智), 마음의 본원과 양지의 본체를 동일시하고 있으며, 바깥의 가장 큰 원은 천지만물인 동시에 마음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정제두는 심(心)·성(性)·정(情)의 관계도 성은 양지의 본체이고, 정은 양지의 작용이며, 마음은 바로 양지의 전체라 이해하였다. 또한 지행합일설에 대해서도 지와 행을 둘로 나누어 놓는 것은 물욕에 가려진 것이라 하고, 양지의 본체에서 보면 지와 행이 하나라고 지적하였다. 정제두는 이황과 이이의 성리설도 비판하면서 양명학의 확립에 전념하였다. 아들 정후일(鄭厚一)을 비롯하여 윤순(尹淳), 김택수(金澤秀), 이광사(李匡師) 형제 등이 정제두의 문인으로서 학풍을 계승하였으며, 정제두가 속하는 소론의 가학으로서 학파를 형성하여 강화도를 중심으로 표면에 나타나지 못한 채 계승되어갔다. 저서로는 양명학의 치양지설(致良知說)과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을 받아들여 저술한 『학변(學辨)』·『존언(存言)』, 경전 주석서인 『중용설』·『대학설』·『논어설』·『맹자설』·『삼경차록(三京箚錄)』·『경학집록』·『하락역상(河洛易象)』, 송대 도학자의 저술에 대한 주석서인 『심경집의(心經集義)』·『정성서해(定性書解)』·『통서해(通書解)』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참고문헌
『하곡집(霞谷集)』
『한국의 양명학』(유명종, 동화출판공사, 1983)
『조선시대의 양명학연구』(윤남한, 집문당, 1982)
「하곡철학의 양명학적 이해」(유승국, 『동양철학연구』, 근역서재, 1983)
「양명학연론」(정인보, 『정인보전집』2, 연세대학교출판부, 1983)
「양명학의 전래와 이해」(이병도, 『한국유학사』, 아세아문화사, 1978)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건평항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건평리에 있는 어항으로 강화나들길 제4코스(해가 지는 마을 길) 중 한 곳이다. 건평항은 어촌 및 어항법에 의하여 어촌정주어항(어촌의 생활 근거지가 되는 소규모 어항)으로 지정되어 어항시설 관리가 철저한 곳으로 주요 어종은 민물장어, 새우, 숭어, 망둥어이다. 조용하고 한적한 곳을 찾아 힐링을 즐기는 차크닉(자동차 타고 소풍을 다니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다. 건평항 쉼터에서는 신선한 회와 먹거리를 판매한다.
천상병 귀천(歸天) 공원
개요
천상병 시인의 대표 시 ''귀천''의 시상을 떠올리게 한 건평 포구의 하늘을 구경할 수 있는 공원으로 이곳의 바다와 노을빛을 사랑한 시인의 맑은 문학정신과 강화 해안의 아름다운 풍경을 오래도록 기리고 보전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출처:(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외포리[Oepo-ri , 外浦里]
요약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에 있는 리(里)이다.
▲망양돈대
남쪽으로 바로 서해와 접해 있는 반농반어촌 마을이다. 대부분의 지역은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마을은 골말, 넘말, 마루테기 마을이 있다. 골말 마을은 대정 북쪽 골짜기에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넘말 마을은 정포 위쪽 등성이 너머에 있다 해서 이름 붙여졌다. 마루테기 마을은 정포의 위쪽 마루터기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출처:(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강화 외포리 곶창굿[江華 外浦里 곶창굿]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 득제장군을 모시고 마을의 안녕과 생업의 번창을 위하여 행하는 마을굿.
내용
1997년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고창굿’이라고도 한다. 원래 이 지역은 한강 이남으로 세습무권이었으나 현재는 서울식 굿을 하는 신들린 무당에 의해 굿이 전승되고 있다. 주로 어업을 하는 정포(井浦)마을과 농사짓는 대정(大井)마을 주민들이 힘을 모아 득제장군을 모시고 마을의 안녕함과 생업의 번창을 위하여 하는 굿이다. 득제장군은 득대장군(得大將軍)이라고도 하는데 문헌상에 나와 있는 장군이 아니어서 자세한 내력은 알 수 없다. 굿이 벌어지는 상산당(上山堂)에는 득제장군과 장군마누라를 가운데에 두고 양옆으로 성주 · 제석 · 별상 · 산신 · 군웅 · 도당할머니 · 대감 · 창부의 화분을 그려 모시고 있다. 곶창굿은 대개 3년마다 음력 2월 초에 한다. 정월 보름 안에 마을의 대표와 당주무당이 날을 정하고 상소임 · 중소임 · 하소임을 뽑는다. 소임들은 일주일 전부터 금기에 들어가 몸을 정하게 하고 상산당에 매일 옥수(玉水)를 바치는 정성을 들이며 제물을 장만한다.
곶창굿의 순서를 보면 ① 수살굿, ② 돌돌이, ③ 초부정 초가망거리, ④ 제석거리, ⑤ 성주대내림, ⑥ 장군거리, ⑦ 별상거리, ⑧ 성주왕신거리, ⑨ 대감거리, ⑩ 창부거리, ⑪ 선주굿, ⑫ 군웅굿, ⑬ 뒷전으로 굿을 마친 뒤 제관들이 모여 다시 감사의 고사를 지낸다. 서울식 굿을 기본으로 하면서 황해도식과 전통적인 경기도당굿의 순서가 섞여 있는 형태를 보인다.
수살(水殺 : 물 때문에 재앙을 입거나 돌림병을 앓는 재액)을 막는 것은 해변의 남쪽과 북쪽에 솟대를 깎아 세우고 굿을 하기에 앞서 외부의 살을 막고 부정을 물리는 굿이다. 돌돌이는 마을 외곽을 돌아다니면서 액을 막는 것인데, 외포리에서는 동네 우물에서 용왕굿을 하는 것으로 간단히 한다. 상산당 올라가는 중턱에 황토를 펴놓은 아랫당에서 본향을 바랜 후 굿을 할 당으로 간다. 초부정 초가망거리는 황해도식 명칭이지만 서울굿의 부정 · 가망거리와 무가와 굿하는 방식이 같다. 제석거리에서는 칠성을 함께 모시고 바라를 판다. 상산당의 성주대를 내려 마을의 수호신을 청한 뒤 장군거리를 한다. 대는 상소임이 잡는데 대를 통해 내려온 마을의 수호신인 장군을 모시는 굿이다. 별상거리에 이어 사슬을 세우고 신장굿을 간단히 한다. 성주왕신거리는 당의 성주를 모시는 것이다. 대감은 재수를 주는 신이고 창부거리는 광대신을 대접하는 굿이다. 선주굿은 배를 가진 사람들의 길흉을 알아보고 복을 주는 굿이고 군웅굿은 사방에 화살을 쏘아 잡귀를 막는 굿이다. 마지막에 뒷전으로 굿에 따라든 잡신들을 대접한 뒤 모든 굿을 마친다. 강화외포리곶창굿의 기예능보유자는 정정애(丁貞愛)이다.
참고문헌
『병굿』(이선주, 미문출판사, 198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외포리 선착장
외포리 선착장은 강화도 외포리에 위치한 소규모 연안여객터미널로 유난히 갈매기가 많아 사진 촬영지로 소문난 명소이다. 외포리 선착장은 석모도 출입을 위한 주민과 여행객들이 주로 찾는 곳이었지만 석모대교가 개통되면서 석모도 배편 운항 횟수가 줄어들자, 주문도 등 강화 부속 섬을 출입하기 위한 여객 터미널로 바뀌었다. 선착장 한편에는 외포항 젓갈 수산물 직판장이 있어 해산물과 젓갈을 구입하려는 사람들도 붐비는데 특히 서해에서 잡은 것으로 담근 새우젓이 유명해 김장철이면 많이 찾는다. 외포리 선착장 가까이 있는 석모도와 민머루 해수욕장도 둘러보기 좋은 산책과 휴식 코스이다.
출처:(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2024-10-09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