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4일]
♨ 스위트허브 ★★★★☆9.5점(8명) ♡25 \40,000원
주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어은로 12-6
지번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2가 657-2
전화 : 063-221-5870, 063-221-5871

※ 숙소에서 6분거리
¶ 마이산막걸리 ★★★★☆ 9.0점(4명) ♡10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산6길 15-4
지번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2가 597-7
전화 : 063-223-0890, 063-223-0850
소개
전주에서 15년동안 장사해온 중화산동 막걸리골목 맛집.시골만든 생 막걸리만 내놓습니다. 특히 여름의 살얼음막걸리는 맥주보다 시원한 막걸리를 느낄수있습니다.상가번영회에서 인증한 태극기거리 업체로 써 가족이 먹는 음식처럼 시골에서 직접 가져온 좋은 재료를 어머니 의 손맛으로 다양하게 내놓습니다. 막걸리 하나만 시켜도 15개 넘는 계절 안주, 반찬이 같이 나가는걸 직접보신다면 진짜 전주막걸 리가 무엇인지 알게 되십니다. 근처에 다양한 숙박시설도 가까이에 있어서 전주에 관광오신 손님들도 편하게 오실수 있습니다.
▲위 집 총평 점수도 거짓말, 설명 글도 거짓말, 맛도 되게 없고 먹다가 나왔슴
▼ 이게 2만원짜리 술상 임

▼기분도 바꿀 겸 찾아간 생맥주집 대박
오리지널현미베이크(바싹바싹한 누룽지 위에 오븐에서 구운 닭을 놓고 위에 현미가루를 뿌려 고소하고 단백하고 맛 있음) 와 생매주로 기분을 전환했슴
¶ 오븐킹본점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영경2길 14
지번 중화산동2가 654-11
전화 : 063-288-0034

[4월 25일]
♣ 풍남문
주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3길 1
지번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전동 83-4
전화 : 063-287-6008
<상세설명>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08호로 지정되었다.
전주읍성의 남문이다.
임진왜란 때 파괴되었으며, 1734년 영조의 명으로 개축되었다.
1767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다시 지으면서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1층이 정면 3칸, 측면 3칸, 2층이 정면 3칸, 측면 1칸의 중층문루(重層門樓)의 팔작지붕이다.
1768년(영조 44) 건립한 것으로 전한다.
일반적인 성문건축과 같이 성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석축기대(石築基臺) 중앙에 홍예문이 있으며 그 위에 중층의 문루를 세웠다.
하층 내부에 앞뒤 두 줄로 4개씩 세운 고주(高柱)가 그대로 연장해서 상층의 변주(邊柱)가 되었으며 이러한 기둥 배치는 한국 문루건축에서는 드문 형식이다. 공포(栱包)는 주심포(柱心包)집과 같이 기둥 위에만 배치되었으나 그 짜임은 다포집 계통의 솜씨를 따르고 있으며 우설(牛舌)도 역시 다포집과 같은 형태이다. 공포와 공포 사이의 창방(昌枋) 위에는 화반(花盤)을 배치하였으며 이는 주심포집에서 변천된 익공(翼工)집 건축에서 시작되었다. 하층 전후면의 중앙 기둥 위에 위치한 공포 하부에는 용머리를 조각하였으나 이러한 장식적인 면은 조선 후기의 건축일수록 더욱 많아진다.

♣ 전주 경기전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豊南洞)에 있는 조선시대의 전각.




▼ 한옥마을




¶ 금산사 입구 식당가에서 산채비빔밥으로 아침해결하고 모악산 등반시작
♣ 금산사
주소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지번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
전화 : 063-548-4441, 063-542-0048
모악산(793.5m, 전북 김제시 금산면)
옛부터 모악춘경(母岳春景), 변산하경, 내장추경, 백양설경과 함께 호남 4경의 하나.
무제봉, 장군봉, 눌연계곡, 금동계곡, 선녀폭포 등 자연경관과 금산사, 귀신사, 대원사, 수왕사, 청룡사, 용화사 등의 사찰들을 비롯하여 미륵신앙의 본거지인 오리알터의 증산교 본부 등이 모악산에 움틀고 있다.
특히 금산사 미륵전 등 보물 10점과 귀신사의 보물 1점 등 보물 11점이 모악산에 집중돼 있다.
모악산 등산로는 20가닥이 넘는다.
이중에서 등산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코스를
구이면 원기리 관광단지 기점 코스,
중인동 기점 코스,
금산사 방면 코스로 묶어서 소개한다.
세 방면 중 원기리 상학 마을 방면과 중인동 방면이 금산사 방면보다 많이 찾는 이유는 전주시내와 가깝다는 지정적인 요소와, 입장료를 받지 않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입장료를 내야 하는 금산사 코스는 등산인들 발길이 적은 만큼 원기리나 중인동에 비해 자연경관이 깨끗하고 한적하며 자연미가 고스란히 살아있는 편이다.
산행거리는 어느 코스나 8~10km 거리로,
산행시간도 길어야 5시간이 넘지 않는다.
대부분 4시간 안팎이면 산행을 마칠 수 있다.
[금산사 코스]
식당가 무료주차장 ~ 금산사 ~ 모악정 ~ 케이블탑 ~ 능선삼거리(왼쪽 매봉,
오른쪽 정상) ~ 정상 ~ 능선 삼거리로 되돌아와서 매봉쪽으로 직진 ~ 북봉 이
정표에서 심원암, 금산사쪽 ~ 심원암 ~ 금산사 ~ 식당가 무료주차장

▼ 식당가 빈터에 차 세워놓고 금산사까지 이동
금산사 입장료 \3,000원 주차비 따로 있슴




▼ 금산사 일주문








▼ 미륵전

▼ 미륵전안 부처들




▼ 정상의 통신탑들


▼ 정상에서



▼ 심원암


▼ 심원암에서 금산사로 내려오는 오솔길

◆ 금산사 삼거리
◆ 금산사
◆ 금산사식당가
오늘산행 끝
첫댓글 좋은 곳을 다녀 오셨네.
득분에 앉아서 멋진구경 잘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