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엽번호???
국립지리원 발행 지형도(종이지도) 도엽번호 보는법
종이지도의 우측상단에 도엽번호과 도엽명이 작은글씨로 표기되어 있음
그중 도엽번호의 각각의 글자(숫자)가 의미하는것
1. 25만 지세도의 도엽번호는 NJ52-13등으로 표시합니다.
● N : 북반구에 위치함을 표시한 기호
● J : 적도로부터 매 4도씩의 위도대에 붙인 알파벳순의 기호 (J : 36°N ~ 40°N)
● 52 : 경도 180도의 경선으로부터 동으로 매 6도씩의 경도대에 붙인 번호 (52: 동경 126°~132°E)
● 13 : 위도 4도 경도 6도씩으로 구획한 경·위도대에 포함되는
1:250000 지세도 도엽을 좌상으로터 차례로 붙인 일련번호
2. 5만 지형도의 도엽번호는 NJ52-13-20등으로 표시합니다.
● NJ52-13 : 해당 1:250000 지세도의 도엽번호
● 20 : 1:250000 지세도의 구획에 포함되는 1:50000 지형도(28
도엽)를 좌상으로부터 붙인 일련번호
3. 2.5만 지형도의 도엽번호는 NJ52-13-20-1등으로 표시합니다.
● NJ52-13-20 : 해당 1:50000 지형도의 도엽번호
● 1 : 해당 1:50000 지형도의 구획에 포함되는 1 : 25000 지형
도(4도엽)를 좌상으로부터 차례로 붙인 일련번호
4. 5천 지형도의 도엽번호는 NJ52-13-20-018등으로 표시합니다.
● NJ52-13-20 : 해당 1:50000 지형도의 도엽번호
● 018 : 해당 1:50000 지형도의 구획에 포함되는 1:5000지형도
(100도엽)를 좌상으로부터 차례로 붙인 일련번호입니다.
국립지리원제작 수치지도(전자지도,dxf 파일)에서의 도엽번호 보는법
-수치지도를 제작함에 있어서 만들어진 간편하고 쉬운(?) 새로운 명명법
1/50,000
경위도를 1°간격으로 분할한 지역에 대하여 다시 15'씩 16등분하여 하단
위도 두자리 숫자와 좌측경도의 끝자리 숫자를 합성한 뒤 해당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01,02,---.15,16)
도곽의 크기 : 15' × 15'
예) 37716
1/25,000
1/50,000 도엽을 4등분하여 1/50,000 도엽코드끝에 1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1,2,3,4)
도곽의 크기 : 7'30' × 7'30'
예)377164
1/10,000
1/50,000 도엽을 25등분하여 1/50,000 도엽끝에 2자리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01,02,----.24,25)
도곽의 크기 : 3' × 3'
예)3771625
1/5,000
1/50,000 도엽을 100등분하여 1/50,000 코드끝에 3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001,002,---,099,100)
도곽의 크기 : 1'30' × 1'30'
예)37716098
1/2,500
1/25,000 도엽을 100등분하여 1/25,000 도엽코드 끝에 2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OA,OB,OC,OD,OE,OF,OG,OH,OI,OJ,1A,---,9G,9H,9I,9J)
도곽의 크기 : 45' × 45'
예)3771649J
1/1,000
1/10,000 도엽을 100등분하여 1/10,000 도엽코드끝에 2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01,02,---,99,00)
도곽의 크기 : 18' × 18'
예)367152308
1/500
1/1,000 도엽을 4등분하여 1/1,000 도엽코드끝에 1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1,2,3,4)
도곽의 크기 : 9' × 9'
예)3671523984
수치지도 도엽번호 보는법(그림포함)
길잡이 / 활용팁 / 226번, 글쓴이:아다곤, 제목:국립지리원 지형도보기에서 경위도 알아내기
참조하세요
참고)
현재 국립지리원 지형도보기에서 정보보기로 표기되는 도엽번호는 엄밀히 말씀드리면 수치지도의 도엽번호입니다.
첫댓글 아다곤님이 작성한 활용팀 226번에서 작성한 표를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는데, 위의 말로서 설명하니 처음 보시는분은 난해하네요? 국립지리원 지도 25000:1의 레이어에서 보는것은 활용팀226번의 가장작은 사각형(가로세로7'30" 사각형)에서 다시 9등분한 사각형(가로세로 2'30")중의 하나의 사각형 입니다.제말이 맞죠?
네 맞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