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업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은 2월 11일 대전시에서 추진 중인 신교통수단(3칸 굴절버스) 도입 시범사업 현장을 방문하여 사업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정림동~버드내교 혼잡도로 개선 현장도 방문하여 사업 진행 상황을 확인했습니다.
3칸 굴절버스는 궤도나 선로가 필요 없어 초기 건설 비용과 기간이 경제적이며, 최대 270명까지 수용 가능하여 5칸 트램 차량(최대 305명)의 약 90% 수준의 수송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대전시는 도심 공공교통 서비스가 취약한 유성구 도안지구 일대에 3칸 굴절버스를 도입하여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고 도시철도 2호선 건설로 인한 교통 혼잡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강희업 위원장은 대전시의 시범사업 성공을 통해 신교통수단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고 대도시권 교통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대광위 차원에서 사업 추진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 무계도 차량 시스템 도입 및 기술 개발, 법령 개정 등 행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강희업 위원장은 정림동~버드내교 혼잡도로 개선 현장도 방문하여 사업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적기 개통과 안전사고 예방을 강조했습니다.
정림동~버드내교 도로 사업은 도심 상습 혼잡 구간 개선을 위해 제3차 대도시권 교통 혼잡도로 개선 사업으로 선정되어 2023년부터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강 위원장은 이 사업이 개통되면 도로 통행이 개선되어 지역 주민들의 출퇴근 및 통학 시간 단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또한, 겨울철 안전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3칸 굴절버스 도입과 혼잡도로 개선 사업을 통해 대도시권 교통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대전시의 시범사업 성공과 혼잡도로 개선 사업의 적기 개통을 통해 시민들의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