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리랑카 국기
ⓒ amorfati.art/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팔크 해협을 사이에 두고 인도 반도의 남동 해안과 마주보고 있다. 수도는 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이다. 섬의 형태는 대체적으로 서양 배 모양이며 북위 5∼10°(남북길이 약 437km), 동경 79∼82°(동서길이 약 225km)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지도를 확대/축소하려면 Ctrl을 누른 채 스크롤하세요.
단축키
지도 데이터 ©2022 Google
100 km
풀스크린확대축소
스리랑카
자연환경
스리랑카는 지형상 중부 고지와 남서부, 동부, 북부 저지의 4개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평균고도 1,500m 이상인 중부 고지가 섬의 중심을 이룬다. 이 지역은 높은 산과 고원들, 좁은 협곡들, 깊은 하곡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 부근에 스리랑카에서 가장 높은 피두루탈라갈라 산(2,524m)이 솟아 있다.
남서부지역 역시 산악지대로 중부 고지의 라크와나 산맥 줄기가 이어져 내려온다. 동부지역은 잔구들이 곳곳에 산재하는 파랑상의 평원이다. 북부 저지지역은 평평하고 넓은 비옥한 평야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개의 작은 하천들이 흐르고 간간이 능선들이 나타난다.
스리랑카에서 가장 큰 강은 중부 고지 북쪽을 향해 동류하는 마하웰리 강이다. 적도 기후지대로 연평균기온이 27∼28℃에 이르며 대부분 지역에서 상대습도가 매우 높다. 그러나 인도 대륙이 가까이 있고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이라는 입지조건으로 인해 강우가 고르지 않은(적도 몬순 기후) 수정 적도기후의 특징을 나타내며, 연평균강우량은 북부와 동부 건조지대의 1,000㎜ 이하에서 남서부 습지대의 5,000㎜ 이상까지 다양하게 분포한다.
자연식생은 북동부지역의 건성 혼합 상록수림(흑단과 마호가니)에서 북서부와 남동부 지역의 가시덤불, 동부의 사바나와 같은 초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야생동물로는 사슴·표범·곰·멧돼지·코끼리와 온갖 종류의 원숭이가 있다. 광물자원으로는 철광석·티탄광석·흑연·고령토·귀석 등이 있다. 남서부의 라트나푸라 시 근처 자갈 크기의 퇴적물로 이루어진 충적층에서는 상당량의 사파이어·루비·토파즈·석류석·월장석·지르콘이 발견되기도 했다.
세인트클레어스(st.clairs)폭포
Beautifulcwaterfall landscape in Sri Lanka
ⓒ shutterlk/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민
낮은 출생률을 기록하고 있어 남아시아에서 인구성장률이 낮은 나라에 속한다. 그러나 인구밀도는 매우 높아 이로 인해 발생되는 사회적·경제적 문제들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는 유입 이민과 유출 이민의 균형을 유지하는 한편 출산율을 낮추기 위한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으로서는 유아사망률과 전체사망률이 낮은 편이다. 평균수명은 남자 68세, 여자 73세로 남아시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정부에서는 산모와 유아사망률을 낮추는 데 중점을 두고 의료제도 개선에 힘쓰고 있다. 가장 큰 인종집단은 싱할라족으로 인구의 약 70%를 차지한다.
그밖에도 타밀족과 이슬람교도들(일부는 아랍 선원들의 후손이며 때때로 무어족으로 잘못 불리기도 함)이 거주한다. 싱할라어와 타밀어가 공용어이며 영어도 널리 쓰인다. 국민 가운데 2/3가 불교도이며, 인구의 1/6 정도를 차지하는 타밀족은 대체로 힌두교를 신봉한다. 그밖에 이슬람교도와 그리스도교도들이 있다.
스리랑카 인구 가운데 약 1/5이 도시 거주자로 이 수치는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대도시권은 빠르게 발전하는 반면 농촌의 발전은 흡족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1980년대초 수도 콜롬보의 인구는 99만 1,000명이었으며, 자프나는 11만 8,000명, 캔디는 7만 9,000명이었다. 2022년 추계인구는 2,155만 3,541명이며, 전체 인구의 18%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버스안에 있는 스리랑카의 사람들
ⓒ Sergii Rudiuk/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제
스리랑카는 개발도상국 수준의 혼합경제(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체로 농업·서비스업·경공업에 바탕을 두고 발전해왔다. 1971년 이후 수많은 산업체가 국유화되었으며 국제통화기금·아시아개발은행·미국·일본 등으로부터 막대한 경제개발지원을 받고 있다. 네덜란드·독일·중국도 원조를 제공해왔다.
새로운 일자리들이 생겨도 인구의 성장속도를 따르지 못하여 실업이 만연해 있다. 국민총생산(GNP)이 인구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1인당 GNP는 세계 수준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농업은 GNP의 약 1/5을 차지하며 노동력의 2/5를 고용한다. 농산물은 대개 농장에서 재배하는 환금작물과 소농들이 재배하는 주식작물이 절반씩을 차지하고 있다. 토지개혁을 통해 많은 토지가 분배되어 지금은 소농들이 상당한 양의 고무와 차를 생산한다. 국토의 1/3이 경작지이며, 정부의 생산성 제고 노력이 마하웰리 강 유역의 관개사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000년 전부터 관개용 수조(水槽)와 운하를 건설해온 전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개 가능지역 가운데 미개발상태로 있는 땅이 많은 편이다.
주식작물인 쌀의 수확량이 국내수요에 미치지 못해 비료 사용량을 늘림으로써 농지 생산성을 높여왔다. 쌀 생산은 주로 영세적인 자급농업으로 이루어지며, 2ha 이상 되는 논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중부 고지에서 재배되는 차가 주요수출품이며, 보다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고무와 코코넛도 중요한 외화획득원이 되고 있다.
매우 다양한 종류의 귀석이 충적층의 자갈들로부터 걸러져 수출된다. 상당한 양의 운모와 흑연도 수출되는데, 흑연은 1971년 이후로 국영흑연회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제조업은 GNP의 약 1/5을 차지하며 노동력의 1/10을 고용한다. 주요제품은 직물·도자기·식물성기름·비료·시멘트·석유제품 등이다. 대규모 산업체는 현재 대부분이 국유로 남아 있으며, 민간 부문에서는 주로 소비재와 공작기계·건축자재 같은 약간의 자본재를 생산한다.
콜롬보 북쪽에는 각종 면세 혜택을 부여하여 외국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설치한 투자촉진지구가 있다. 전력생산은 거의 전적으로 수력에 의존하는데, 섬의 발전 능력은 1980년대에 몇 개의 수력발전소가 완공됨으로써 크게 증대되었다. 서비스업은 GNP 가운데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노동력의 1/3을 고용한다. 1979년 스리랑카를 남아시아의 국제 금융 중심지로 끌어올리기 위한 정부 노력의 일환으로 외국은행들의 '해외'지점 개설이 허용되었다.
스리랑카는 1970년대 중반 이래 고질적인 무역 역조를 겪고 있으며, 1981년에는 적자가 GNP의 1/4을 넘어섰다. 해외에서 일하는 국민들의 송금이 주요 외환 수입원이다. 국영회사에서 수입을 관리하며 개인회사에서 대부분의 수출을 맡고 있다.
스리랑카의 주요 수입대상국인 일본·미국·독일·영국 등이 동시에 중요한 수출시장이기도 하다.
스리랑카의 동전 루피(Rupee)
ⓒ Sementer/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치와 사회
스리랑카는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1978년에 공포된 헌법을 통해 이전보다 더 많은 행정권을 부여받게 된 대통령은 직접선거로 선출되며, 임기 6년 동안 국가와 정부의 수반으로서 군 총사령관 역할을 하는 동시에 자신이 임명한 내각의 도움을 받아 국가를 통치한다. 입법권은 225명의 의원으로 이루어진 단원제 의회에 있고, 의원은 직접선거로 선출된다.
의원의 임기는 6년이다. 대통령은 언제든지 의회를 소집하거나 해산할 수 있으며 의회에는 소급법을 제정하고 헌법을 개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주요 정당은 국민연합당, 타밀 해방전선연합, 스리랑카 자유당이다. 사법제도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대법원·항소법원·고등법원 및 여러 하급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리랑카는 사회복지제도를 통해 일시적인 노동장애 및 실업상태, 노령, 장애, 영구적인 노동장애에 대한 보조금과 유족 연금을 한정된 계층의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의료혜택은 정부시설의 경우 무료로 규정하고 있으나 시설과 인력 부족 때문에 일부 계층에 제한되어 있다. 결핵·영양실조·필라리아가 여전히 심각한 질병으로 남아 있는 반면, 말라리아·천연두·콜레라·페스트 등의 전염병은 완전 퇴치되었다.
콜롬보 시와 그 주변에서 주택 부족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정부에서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 건설, 위생시설 확대, 빈민가 철거에 중점을 두고 주택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 89%, 여성 80%로, 대부분의 남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높은 편이다. 교육은 모든 학교에서 무료로 제공되며 5∼13세는 의무교육기간으로 규정되어 있다. 중등교육·기술교육·직업교육·고등교육도 받을 수 있다. 헌법에서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는 반면 정부는 테러 방지법에 따라 직접검열을 할 수 있다. 신문은 싱할라어·타밀어·영어로 발간된다. 스리랑카 방송국에서는 전국적으로 상업적인 교육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텔레비전은 1979년의 시험기를 거쳐 1982년에 방송을 시작했다.
스리랑카의 국회의사당
문화
스리랑카에는 BC 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풍부한 문화유산이 있다. 예술적 전통은 주로 불교와 힌두교의 종교예술 및 무용극에 집중되어 있다. 민속무용극에는 가면무용극 '콜람'(타밀어로 '의상'이라는 뜻), 춤을 통해 정령들에게 병이나 불행으로부터 구해 줄 것을 비는 악마의 춤, 신화적·역사적·자연적인 주제를 다루는 가장 중요한 민속춤인 칸디아 무용 등 3가지 주요형태가 있다.
전통적인 조각·그림·건축의 본보기는 고대 예술품 유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거대한 불상·사원(특히 칸디아 주변에 있는 사원들)·탱화가 여기에 포함된다. 아직까지 남아 있는 다른 전통 예술로는 상아조각·금속세공·칠기제작·바구니세공을 꼽을 수 있다.
스리랑카 천장 장식(ceiling decoration)
ⓒ claudio zaccherini/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사
스리랑카에 처음 정착한 사람들은 아시아 남부지역에서 이주해온 원시 오스트랄로이드 종족에 속한 원주민들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BC 5세기 무렵 인도 북부 지역에서 들어와 싱할라족으로 발전한 인도유럽어족에 흡수되었다. 타밀족은 그후 기원 초기부터 1200년경에 이르는 기간에 드라비다족이 지배적이던 인도에서 이주해온 이주민인 것으로 보인다.
BC 3세기에 불교가 들어왔으며 중요한 정치적·종교적 중심지로 아누라다푸라 시가 세워졌다. 불교가 퍼져나가면서 아누라다푸라 왕국이 실론(스리랑카의 옛 이름)을 지배하게 되었다(BC 200경∼AD 1000경). 싱할라족은 993∼1070년 촐라족(인도 남부지역에서 온 침략자들)에게 실론에 대한 지배권을 빼앗겼으나 폴론나루바 시대(1070∼1200경)에 다시 지배권을 확립했다. 1200∼1505년에는 스리랑카 남서부지역까지 싱할라족의 지배가 확대되는 한편 인도 남부지역의 한 왕조가 실론 북부지역을 지배하면서 14세기에 타밀 왕국을 세웠다.
13, 14, 15세기에 각각 인도·중국·말라야의 침략이 있었다. 1505년 포르투갈 함대가 실론에 도착해 1518년에 요새를 세우고 교역허가권을 얻어냈다. 이들은 왕국들 사이에 일어나는 모든 불화를 이용해서 현지 왕들과 여러 가지 동맹을 맺었으며, 가능한 한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사람을 왕위에 앉히고자 했다. 1619년 적극적인 침략과 행동을 통해 포르투갈인들이 섬의 대부분을 지배하게 되었다. 캔디 왕국은 포르투갈인들을 내쫓기 위해 네덜란드인들을 끌어들였다. 이로 인해 실론은 영국으로 지배권이 넘어가기 전(1796)까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1802년에 영국 직할식민지가 되었다.
1830년부터는 잎마름병으로 농장이 황폐해질 때까지 커피 산업의 눈부신 성장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했다. 1880년대에 차 재배실험에 성공한 후 곧 차가 농장재배작물이 되었다.
20세기초 실론 민족주의가 종교·사회·교육 부문에서 일기 시작했다. 1919년 실론 국민의회를 통해 싱할라족과 타밀족이 연합했으며, 영국은 이들의 민족주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1920년 잇따라 여러 가지 헌법을 공포하고 1948년에는 주권국으로서의 지위를 식민지 스리랑카에 돌려주었다. 국민연합당(UNP)이 1956년까지 정권을 잡고 있다가 싱할라족의 주체성을 지키기 위해 애쓴 스리랑카 자유당(SLFP)에게 패배했다.
타밀족은 이 시기의 싱할라 민족주의에 대해 격렬하게 반대했으며, 1965년에는 UNP가 다시 정권을 잡기도 했다. 그러나 1970년 SLFP는 여러 마르크스주의 정파들과 연합함으로써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SLFP 정권은 1970년대초에서 중반까지 여러 가지 경제·사회 개혁을 일으키기 시작했으며, 1972년 헌법을 통해 실론을 스리랑카 공화국으로 선포했다. 1977년 UNP가 다시 정권을 잡았으며 헌법을 완전히 개혁하여 대통령제를 수립했다.
스리랑카 공화국은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총리이자 UNP 지도자인 J.R. 자야와르데네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싱할라족과 타밀족 사이에서 되풀이되어온 민족간 긴장이 폭발해 1981년 폭동이 일어났으며, 타밀족 지도자들은 타밀족 영토의 분리를 주장하기 시작했다. 타밀족 공동체의 여러 분파들은 스리랑카의 북부와 동부 지역에 타밀족 자치국가를 세우기 위해 게릴라전을 벌이고 있는데, 이 폭력사태는 1990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콜롬보(colombo). 스리랑카의 행정적 수도
ⓒ Carlos Amarill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스리랑카와 한국과의 관계
스리랑카와 대한민국의 국기
ⓒ argu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외교
스리랑카는 1972년 10월 주스리랑카 통상대표부를 개설하고, 이듬해 1973년 11월 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북한과는 1970년 7월 수교에 합의하고 상주대사관을 설치했으나, 1971년 4월 스리랑카 정부 전복기도 및 배후조종혐의로 대사관이 폐쇄되고 공관원들이 추방되었다가 1975년 국교가 재개되었다. 1979년 스리랑카에 스리랑카-한국 친선 협회가 설립된 이래, 1980년대에는 스리랑카-한국 의원 친선 협회가 결성되었고, 스리랑카-한국 경제 협력 위원회도 이 시기에 설립되었다.
정상외교는 1984년에는 자예와르데네(Jayewardene) 대통령 방한을 시작으로 1996년 찬드리카 반다라나이케 쿠마라퉁가 (Chandrika Bandaranaike Kumaratunga) 대통령, 2012년 마힌다 라자팍세(Mahinda Rajapaksa) 대통령 등이 방한했으며 한국에서도 2000년대에 이해찬 총리와 박희태 국회의장, 정홍원 총리,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스리랑카를 방문해왔다. 스리랑카는 1995년 한국이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에 진출할 수 있도록 입후보를 포기하기도 했으며, 한국은 2004년 스리랑카에 발생했던 쓰나미 피해 복구 및 재건사업을 적극 지원하면서 양국 관계는 격상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쌓아왔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스리랑카와 한국의 교역 규모는 2011년 4억 달러로 최고 규모를 달성 한 이래 최근에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대스리랑카 주요 수출품으로는 광물성연료, 직물, 기계류, 철강제품, 종이 등이며, 주요 수입품은 의류, 식물성 섬유 및 직물제품, 고무제품, 화학품, 동식물성 지방제품 등이다. 2016년 기준 한국의 대스리랑카 수출액은 2억 7,551만 달러이며 수입액은 8,854만 달러이다. 양국 간에는 이중과세 방지협정(1986), 투자보장협정(1980), 무역협정(1984) 등이 체결되어 있다.
문화 교류·교민 현황
2017년 스리랑카와 한국은 수교 40주년을 맞이하여 기념행사를 비롯하여 스리랑카 필름 페스트, 스리랑카의 전통 차 문화를 소개하는 푸드 페스티벌 등의 문화 홍보행사를 펼쳐왔다. 또한 양국은 불교 문화 교류를 바탕으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데 협의했다. 2016년 기준 스리랑카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는 840명이며,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스리랑카 국적의 등록외국인은 2017년 기준 2만 5,257명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첫댓글 북한 정은이 잘 보고 있냐?
북한 주민들은 총뿌리 무서워 들고 일어나지 못함.
그래도 각오하고.. 절반 죽더라도... 일어나야.. 빨리!!!
인구는 스리랑카(실론. 섬나라)하고 비슷함.
실론티....차밭이 매우 환상적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