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중국 남성용 화장품 시장동향(2014.3) | ||||
---|---|---|---|---|---|
게시일 | 2016-03-16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김주선(정저우무역관) |
품목 | 기타 | ||||
품목코드 | 330499 | ||||
작성일자: 2014.3.17 작성자: 정저우 무역관 오승희(osh3086@naver.com)
1. 수요동향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중국은 미국 다음가는 세계 제2의 고급화장품 시장임. - 2013년 6월까지 중국 화장품 수출입 총액이 7억9400만 달러에 도달, 6개월간 수입총액은 20억5100만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6.47%증가, 수출 총액은 12억5700만 달러로 7.85% 증가.
(단위: 1000달러, %) 자료원: KITA(한국무역협회)
□ 시장전망
○ 수요 증대 예상 요인 - 중국 화장품의 매출액은 6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되고 있는 추세이며 연평균 10%의 성장률 유지 - 중국소비자들의 소비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남성들의 미에 대한 추구도 높아짐. - 중국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연예인들이 홍보하는 화장품 인지도가 높음.
○ 수요 감소 예상 요인 - 중국 정부는 자국 화장품 생산자를 보호하기 위해 화장품 수입 절차를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음. - 수입 화장품은 위생허가증을 발급받는 것이 어려움. 지정한 화장품 검사기관에서 동물시험까지 거치며 제품의 안전성을 실험하고 성분함량 분석을 검진한 후 심사가 완료됨. 필요한 서류를 충분히 준비하고 제출하여도 4~6개월 후 발급이 가능함.
2. 수입현황
□ 연도별 수입규모
○ HS Code 3304에 속하는 기초화장품으로 분류되는 33049900의 경우, 2013년 6월까지 중국 화장품 수출입 총액은 7억9400만 달러, 6개월간 수입총액은 20억5100만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6.47%증가, 수출 총액은 12억5700만 달러로 7.85% 증가함.
자료원: 무역협회 KITA
□ 국가별 경쟁동향
○ 현재 중국 내 화장품 생산기업은 약 4000개로 그 중 1800여 개 기업이 광동성에 집중되어 있음.
○ 그러나 중국 로컬 화장품 기업의 시장 점유율은 20%에도 못 미치며, 외자기업과 합자기업이 거의 80%를 차지하고 있음
○ 중국 소비자들은 해외 유명 브랜드의 품질에 대한 신뢰가 강함.
○ 현지 브랜드는 비록 브랜드 인지도와 신제품 개발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저렴한 가격과 품질을 모두 갖추었지만, 대도시 시장은 이미 글로벌 브랜드들이 대부분 장악하고 있어 현지브랜드는 여전히 2선, 3선 시장에 집중 분포해 있음
○ 현재 중국 남성 화장품 시장에서는 L’Oreal, NIVEA, Mentholatum, Biore, Biotherm, UNO, Clinique, Vichy 등 해외 브랜드가 중고가 시장에서 과점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고 현지브랜드는 저가시장에서 서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한국수입통계 포함)
자료원: 무역협회 KIT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