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옥 교수의 위 책 견해
1. 35년이란 짧은 시간에 운강 조성 미스테리
-남.북방, 전세계 예술인이 다 몰려들었고 그 중 상당수가 고구려인
북위왕조는 재정적 지원
-고구려와 전진은 상호교류
-운강조성 예술가집단은 운강사업이 쇠퇴하며 용문석굴조성으로 이동
고구려 백제 신라로 다시 흩어져 각 지역의 불사 조성사업에 주도적 참여
운강19굴과 석굴암 비교
운강은 사암
석굴암은 화강암
양자는 심층구조는 공유하나
석굴암은 기하학 구도의 완성미 세련
내려감은 눈 터질듯한 미소 머금은 입술의 정갈한 표현이
無上의 순정純淨한 초연함을 드러냄
견해2.
북위의 운강조성사업은 동아시아문명세계에 혁명적인 변화, 문명의 3대 요소 중 아름다움의 창조적 상향의 폭발적 에포크를 가져옴 단시간에 이뤄져 충격과 반향이 컷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반가좌사유상의 출현이다.
반가좌사유상은 인도 중앙아시아에도 양식이 있지만
운강에서 태어나 동아시아 전반의 흐름을 주도한 새로운 양식으로 정형화됨
반가좌사유상은 고민하는 태자상으로
인간의 모습
여래상은 해탈인의 모습
반가좌사유상은 19세기에 로댕의 생각하는 사나이로 재창조됨
반가사유상은 정형화되며 미륵사상과 결합
운강 제8굴 동벽감상은
미륵상생사상 표현
우리의 반가사유의 미륵얼굴의 조형이라 할수있음
미륵상생사상은 미륵이 교각하고 설법하는 도솔천에 왕생하려는 열망 표현
미륵상생사상은 미륵하생사상과 반드시 결합하는데
미륵하생의 혁명적 사회변화를 신앙하는 젊은 무사들의 단체가 화랑이고
화랑의 이데아적 모습이 반가사유의 싯달타 태자와 결합하는 묘한 예술적 흐름을 형성하게 됨
견해3
일본인 후찌가미 사다스케淵上貞助가 1912년에 수집해 총독부에 기증한 국보제78호 반가사유상은
고구려작품임
보관 의상 팔찌 선의 흐름이 신라 것과 매우 다름
미소는 있으나 얼굴 윤곽 눈의 찢어짐이 매우 호쾌하여 북방무사적 기질이 나타남
결정적인 것은 미륵의 이미지가 훨씬 더 강하게 부각되어 있고 운강 용문의 북위 예술의 영향을 더 직접적으로 느끼게 함
고구려예술의 장쾌한 모습을 나타내는 모습으로 재평가해야 할것임
견해4
일본국보제1호 광륭사 반가사유상은
신라왕이 성덕태자가 훌륭한 정치를 한다고 생각하여 선물한 것 일본 목각은 예외없이 쿠노스키楠라는 장목樟木인데 반가상은 아카마쯔赤松계열
일본서기에 성덕태자가 도래인 진하승秦河勝에게 불상을 주었다는 기록과 성덕태자31년에 신라가 태자에게 불상을 선물했고 그것을 광륭사에 안치했다는 기록 있음
서양의 모나리자
동양의 이 반가사유상
칼 야스퍼스 :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세속의 기운이 한 티끌조차 남아있지 않은 성스러움의 극치
북위로부터 고구려를 거치면서 그 순화된 싯달타의 고뇌하는 순결한 모습이 인류사의 가장 위대한 예술로 승화되어 나타난 것임
견해5
고구려에서 신라 경주로 가는 2루트
조령루트: 한강하류 여주 충주 조령 문경 함창 상주 선산 경주
죽령루트: 충주 단양 죽령 영주 봉화 안동 의성 군위 대구 경주
반가좌상은 2루트에 모두 나타남 석탑 석굴 마애불이 2루트에 있음
백제
서해 건너 부여 가기 전에 서산에 승려들이 정착
서산마애불은 협시보살이 문수 보현의 삼존이라 보기 어렵다
향우의 반가사유상은
상반신 나형裸形 세요細腰 하상下裳
기타 특징은 사유상의 구조적 특징을 공유
세계불교사에 유래가 없는 불교의 우리식 이해를 보여준다.
견해7
운강 제5굴 누각상층 동측감실 좌불은 고구려 신라의 반가좌사유상의 조형을 이루는 걸작으로 운강전체 대표하는 가장 정묘한 작품
오가와 세이요오小川晴暘의 광륭사 반가사유상 사진
북위 운강 제5굴 감실좌상에서 광륭사 반가사유상을 연결하는 인류사 최정상의 두 작품을 연결하는 것은
고구려패러다임이었음
운강도록의 張작(火+卓) 집필 논고
<운강 조성의 배경, 동기, 영향>
1. 업도불교 중심 인물인 불도징, 도안을 계승하는 법과法果의 '황제는 현재의 부처라'라는 사상
2.북위 도무제-태무제의 정복민 이주정책으로 양주 凉州이민吏民 3만호가 수도 평성平城으로 이주. 3천명의 승려 포함
하서河西불교의 정체가 이동해와 운강 조성의 주력이 됨
평성은 북중국 정치 군사 경제 문화 중심지가 되어
각지의 귀족관료 유교 도교 성직자 승려 장인 예술가 상인 조세 금은재화가 집결해 불교신앙중심지가 됨
3. 불교와 도교의 경쟁으로 일어난 태무제의 참혹한 폐불을 겪으며
나무처럼 썩지않고 흙처럼 붕괴하지 않고 쇠처럼 녹여지지 않고 영구적인 돌에다 수십척 높이에 수백수천의 불상 조성해 보는 자에게 감동을 불러 일으키게 함
4. 인도 바라나시의 녹야원을 북위의 수도 북쪽에 조성하여 동방의 녹야원을 조성함
5.북위 수도 평성이 실크로드의 동단이 되면서 중앙아시아 상인 인도승려胡商梵僧가 운집함
인도석굴조성문화가 신강新疆 경유해 하서河西 關롱(관중 농서)에서 평성으로 전파됨
양주凉州 고승이 서역풍 불교조상예술 전파
뒤이어 인도 스리랑카 서역 승려가 불경 불상 화본畵本을 가지고 상인 사신을 따라 옴
문성제 때 담요曇曜의 건의로 전국의 불상을 평성에 집결
끝으로 서주의 승장僧匠이 북상해 운강 불사 주도
운강은 고승과 예장藝匠이 공동 설계한
신강新疆 동쪽 최초 대형석굴
동으로
요녕 의현義縣만불당석굴
남으로
낙양 용문석굴
서로
감숙 경천涇川 남 석굴사
병령사
돈황막고굴에 영향
운강은 담요부터 당나라 초의 도선道宣 요예 遙禮까지 200년 간 중국 불교 문화의 중심이었음
다음엔 운강의 양식에 대한 장작의 논고 내용을 요약하겠습니다.
운강도록
<운강의 양식 변화>
1. 양주凉州 승장의 서역 남북 양로 문화 혼합된 서역 양식으로 설계에 중국 각지의 예술가가 참여하여 조성
단순한 인도 중앙아시아 신강 모방 재현이 아니다.
2.초기
문성제 담요5굴
중기 헌문제 풍馮태후 효문제 황실조성 대형
말기 낙양천도후 민간 추가 조성
전기 서역식
후기 중국식
3. 담요5굴 운강 전형 대표 서역 양식의 전파로 조성 정상급
가사의 모직은 중앙아시아 파미르 산간 유목지역 국가의 복장 특징
18굴 10대 제자는 서역인종
4. 전성기 466년헌문제 즉위부터 494년 효쿤제 낙양천도까지
1.2, 5.6, 7.8, 9.10 쌍굴 4조
11.12.13 3굴 1조
방형方形중심탑주塔柱굴
전후전당식殿堂式굴
조각 내용 형식 복잡
초기의 궁륭 천장이
평녹조정平木藻井천장으로
상하중重층
좌우분단 좌우대칭
양식이 나타남
석가
미륵
석가다보2불
유마문수문답
교각보살
호법천신
본생경
비천
비구
역사
금강
기악천
공양천
출자出資공양인물
동물
화문花紋도안
7.8굴 운강 첫 쌍굴
천장에 연화 비천
7굴문공포에 3두4비
8굴문공포에 3두 8비 마혜라천
5두 6비 구마라천
인도밀교 영향
9.10굴 중국전통의
굴外 전정前庭
웅사雄獅 대상大象의 낭주廊柱는 고古인도 희랍 로마 건축양식
5.6굴
5굴 17.4미터 최대불상
6굴 탑묘廟굴 석가일생부조벽화
12굴 낭주식 전당殿堂굴
동서악기 기악천 고대음악사자료
5.중기
호풍이 주도 양식이고 중국풍 대두
신강 니소泥塑상이 모델이 됨
초기에 비해 건장 미려하고 자유분방하나 강건한 개성은 상실
불의
우견편단 통견에서
포의박대褒衣博帶(포복) 출현
보살상에
보관 외에 화花관 등장
숄이나 펄럭이는 의상이 나타남
486년 효문제 한화정책 복服제개혁 반영
서역풍이 중국인풍으로 바뀜
서역 불교 불상 영향의
양凉주 주도 지위가
481년 효문제의 서徐주 학승 초빙으로 동요됨
6굴 최초로 포의박대이나 서역인모습
11.12.13굴 외벽 감실은 완전 중국인모습
6.말기
494년 효문제 낙양천도후
민간 주도 중소굴 조성
유형복잡 양식다변
굴내부 방형方整
탑굴 4벽3감 重감
불의 일률적으로 포의박대
얼굴 말랐고 목이 가늘고 어깨 좁음
운강도록
<중국불교사에서 북위 평성시대 불교의 공헌>
1. 남방불교 혜원의
사문불경왕자론沙門不敬王者론과 달리 불교가 통치자에 협력한다는 사상
2.승관僧官제도 탄생
도무제 법과法果를 도인통道人統으로 임명
문성제 담요曇曜를 사문통沙門統으로 임명하고
도유나都維那 감복조監福曺를 둠
주진州鎭 기군畿郡에
승통僧統 유나
사원에
유나 상좌上座 사주寺主(3강綱)
설치
효문제 때 모반사건으로
승적 관리
감복조를 소현昭玄으로 바꾸고 관리를 배정
태화17년 제정한 는 국가 시행 승려법전으로
법률적으로 승려제도 탄생하고
승려가 국가 승인의 사회 집단이 되고
국가 법률에 복종케함
승려는
밖으로
국가법률에 따르고
안으로
계율을 지키는
승려제도 탄생으로
독립적인 권리를 가지게 됨
3. 탁발 보시에 의존하다
독자적 사원 경제 형성
양주의 3만호 1천명 승려 집단 포로 평성으로 이주시킴
운강 조성의 승려 공장工匠 식량 제공 공사 재정 위해
곡식 60섬을 세금으로 승조에 내는 정복민
승기호僧祇戶와
잡역 노동 노비인 불도호佛圖戶 제도는
당대唐代의
사원 도관의 천민인 부곡과 노비의 원류로
중국지주장원경제의 특수형태의 하나
4. 승단정치의 핵심 형성
참선수행의 양凉주파 승려에 대하여
강경講經의 학승인 서徐주파 승려가 태화 연간에 초빙되어 상위를 차지하고 압력
선승과 강승의 대립
5. 문성제 462년부터
효문제 486년까지
담요가 북대北臺 석굴사에 승려 집결시켜
역경 사업
특히 부법장인연경
付法藏因緣傳은
중국불교조사전등祖師傳燈사상의 선구가 됨
당대 이후 불학 종파 의 입조전종立祖傳宗의 연원이 됨
6. 화엄경이 성행되기 시작
윈강 조성은 중국불교사상체계의 완비를 반영함
법화 유마 금광명 무량수 미륵 등 대승경전 이해와 운강 조성은 연관됨
특히 화엄경이 집중적으로 읽히고 연구되어
당대 이후 화엄종과 화엄학의 기초가 닦임
7. 四分律이 강의 됨
후진 장안에서 번역
북위 평성에서 사분율 연구 일어남
북제를 거쳐
당대에 사분율 성행
일본 천태종 제2세 좌주 엔닌스님은 해상왕 장보고의 배를 타고 신라인의 도움을 받아
당의 수도 장안에 가면서 2달을 오대산에 머물렀다.
스님의 구법순례행기를 일본 장보고 답사하며 읽어보고
오대산 순례를 염원한 지 10여 년만에 오대산을 다녀왔다.
현공사에 서하객도 답사했다.
17세기 명나라 서하객 여행기, 그는 오대산, 현공사, 대리, 여강 등 전 중국을 평생동안 여행하고
방대한 여행기를 남겼다.
야오동(窯洞)
칠석 情人절
베이징 부근의 봉수대
꽈리 맛이 달콤
평요고성 관청에서 기념품으로 80위안 주고 사 온 징니연澄泥硯
당나라 이후 4대 벼루는
단연(端硯竹爐詩屋-단계연, 대나무 화로, 시가 있는 집-추사 서예 작품), 징니연, 흡연, 조하연
징니연은 흙과 아교를 배합하여 구워내는 흙벼루
삼국시대 흙벼루를 썼다.
오대산 화훼산장에 묵으며 본 대련을 모방하여 오대산 순례 기념으로 서예 입문 5개월의 초보지만 써 본 것임.
조관영산선경: 아침에 신령스러운 오대산의 신선경을 보고
모사능엄불경: 저녁에 능엄경 불경을 베끼네.
현석 이호신 화백의 운제산 오어사 여름풍경 그림
이호신 화가는 대영박물관에 작품이 소장될 정도로 이름난 분
첫댓글 좋은 자료 고맙습니다. 그런데 사진으로 찍은 책을 보기가 좀 거북하네요.
스캔할 수 있는 복합기가 필요하군요.
산서성 고건축 이해를 위해서는 아래 책들이 좋은 참고가 될 것입니다.
1. 김홍식, 조유전 <중국산서성 고건축 기행>(고즈윈)
2. 마세장, <중국 불교석굴>(다알미디어)
3. 이윤화, <중국 고전건축의 원리> (시공사)
4. 이현국, <중국고탑의 조형과 예술> (황매희)
읽어 보시면 100%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책값도 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