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을 쌓은 집안에는 남은 경사가 있다, 경수당(慶壽堂)
부모나 형제 없이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점차 늘어나면서 우리 주변에는 많은 변화가 생겨났습니다. 혼술, 혼밥, 나홀로 여행
과 같은 용어들이 생겨나면서, 누군가와 함께 했던 것들이 요즘은 혼자만 해도 낯설지 않은 세상이 된 것입니다.
조선시대는 어떠했을까요? 조선시대 선인들의 공동체는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함께 노력했던 가족이나 촌락에서부터 시작
되었습니다. 농업 생산을 위한 협동을 강화하고, 구성원들 간의 화합을 증진하기 위해 공동체적 규범이 발달했습니다. 성인
남자들이 협력하여 농사했던 두레가 있었으며, 동(洞)이나 리(里) 중심으로 공동행사의 계(契)가 있었습니다. 또한, 집 내부
건물에 약장을 놓고 동네 사람들이 약을 무료로 가져가도록 하며 선행을 베풀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조선시대는 공동체의
가치가 협동을 강화하고 화합을 증진하는 모습을 보이며 친밀성, 단합 등을 보여줬습니다.
분명한 것은 오늘날은 과거보다 공동체라는 단어가 조금 낯설게 느껴진다는 사실입니다. 공동체 정신의 기본은 공공의 이익
을 추구하고 사회적 위치에 맞게 역할을 해야 합니다. 이번 호는 조선시대 공동체정신과 연관된 편액을 조명하고 선인의 일
화를 통해 우리에게 교훈으로 삼고자 합니다.
영덕군 영해면 원구마을에 있는 ‘경수당(慶壽堂)’은 박세순(朴世淳, 1539~1612)의 당호입니다. ‘경수’는 집안에서 쌓은 업적
이 선하면 경사가 자손에게 미친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실천하고자 박세순은 임진왜란 때 군량미가 떨어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군 등에게 곡식 800석을 내주었다고 합니다.
나라와 백성을 위해 재물을 아끼지 않았던 ‘노블레스 오블리제’를 실천한 박세순의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무재(武才)의 인재가 넘쳐나다,
무안박씨 영해파
경수당 종택 전경(출처: 한국국학진흥원_유교넷)
경수당 종택(慶壽堂宗宅)은 임진왜란 때 선무원종공신 2등의 공훈을 받은 박세순이 건립한 가옥입니다. 박세순은 1570년
(선조 3년)인 32세 때 99칸 규모로 경수당을 처음 건립하였습니다. 1668년(현종 9년)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후손 박문약이
1713년(숙종 39)에 현재 규모로 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박세순의 집안이 영해에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그의 할아버지인 박지몽(朴之夢, 1445~1555) 때부터입니다. 그는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왕이 되는 사태가 벌어지자 경기도 여주로 피신했습니다. 그리고 얼마 뒤에는 큰아버지가 영해 현령
(寧海縣令)으로 부임하자 큰아버지를 따라 영해에 옮겨와 살게 되었습니다. 그가 이렇게 거주지를 옮겨 다니게 된 것은
갑자사화(甲子士禍)를 적극적으로 주도한 외사촌인 임사홍(任士洪, 1445~1506)이 자신과 함께 일하기를 권유했기 때문
이었습니다. 그는 임사홍이 사화로 권력을 잡고 세도를 부리는 것이 마땅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위태롭게 여겨져 나중
에 화가 자신에게 미칠 것을 예감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영해에 도착한 그는 영해박씨(盈海朴氏)로 함길도 도사(咸吉道都事)를 지낸 박종문의 딸과 결혼하여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박지몽의 선조 가운데는 무장출신이 많았습니다. 지금으로 보면 예비역 대장군인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을 지낸 박윤위를
비롯해 그의 아들인 박유, 그리고 손자인 박성기가 모두 무장들이었습니다.
이러한 가계의 내력으로 박세순 또한 학문보다는 무예를 익히는 환경에 더 노출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의 조카인
박의장(朴毅長, 1555~1615)과 박홍장 또한 무장이었으며, 특히 박의장은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워 경상좌도의 육군을 지휘
하는 책임을 맡은 병마절도사를 지냈습니다.
‘노블리스 오블리제’에 앞장서다
경수당 종택 전경(출처: 한국국학진흥원_유교넷)
박세순은 어려서부터 학문을 익히는데 출중하여 아버지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으며 자랐습니다. 그러나 그는 학문에 힘쓰기
보다는 무예에 더 많은 관심을 두었습니다. 이는 무예로써 세상에 이름을 알린 사촌 형들의 영향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박세순은 재물을 다루는 능력도 탁월했습니다. 그는 아버지와 분가할 때 받은 재산을 기반으로 재물을 불려 나갔습
니다. 그래서 30세 이전에 이미 영해, 경주, 안강 등에 많은 토지를 소유하여 만석꾼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박세순의 집안은 이웃들로부터 많은 칭송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 이유는 그의 집안이 재물을 모으는 데만 급급한 것이 아니
라 가난하고 불쌍한 사람들을 돕는데도 재물을 아끼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자 이 소문을 전해들은 퇴계 이황은
1543년(중종 38) 곁사돈의 관계에 있던 그의 아버지 박영기(朴榮基)에게 ‘경수당(慶壽堂)’이라는 편액을 손수 써서 보내 주
었습니다. 그로부터 27년이 지난 1570년(선조3) 서른 살이 갓 지난 박세순은 자신이 모은 재산으로 고향인 원구리에 99칸의
웅장한 저택을 지었습니다. 그러자 그의 아버지는 퇴계선생이 손수 쓴 현판을 아들의 집 대청 가운데 걸어주고 그 뜻을 가
슴 깊이 새기기를 당부했습니다.
‘경수당’을 지은 지 22년 뒤인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났습니다. 당시 박세순은 후방의 군수물자를 조달하는
군자감 정(軍資監正)의 직을 맡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의 조카인 박의장은 경주 부윤(慶州府尹)으로 명나라 군대와 힘을
합쳐 경주, 울산 등에서 왜적과 치열한 전투를 전개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들리는 소식에 의하면 박의장이 군량미가 떨어
져 큰 곤경에 처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자 박세순은 곡식 800석을 내어 700석은 군량미로 쓰고, 나머지 100석은 난민을
구제하는데 쓰도록 했습니다.
그 후 1599년(선조 32) 무과에 급제하여 내섬시봉사(內贍寺奉事)가 되었으며, 1605년(선조 38)에는 임진왜란에서 세운 전공
으로 선무원종공신 2등의 포상을 받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는 오위장(五衛將)의 벼슬을 거쳐 용양위부호군에 제수되었으
나 부임하지 않고 고향에서 지내다 1612년(광해 4) 향년 73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집안에서 쌓은 업적이 선하면
경사가 자손에게 미친다
경수당 편액이 걸린 건물(출처: 한국국학진흥원_한국의 편액)
경수당(慶壽堂) / 78.55x169.5 / 해서(楷書) / 무안박씨 영해파 경수당 종택(출처: 한국국학진흥원_한국의 편액)
경수당은 박세순이 1570년(선조 3)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에 건립한 종택의 당호 편액입니다. 밀암(密菴) 이재
(李栽, 1657~1730)의 「경수당중수기(慶壽堂重修記)」에 따르면 『주역』, 「곤괘(坤卦)」 문언(文言)에 “선을 쌓은 집안에는
반드시 남은 경사가 있다.[積善之家 必有餘慶]” 고 했는데, 이는 집안에서 쌓은 업적이 선하면 경사가 자손에게 미친다는
의미입니다.
퇴계 이황의 친필로 알려진 경수당 편액은 박세순의 둘째형 박세현(朴世賢, 1521~1593)의 인연으로 시작됩니다. 그는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무과에 급제한 뒤 선전관·김해 부사를 거쳐 경상좌도 수군절도사를 역임하였습니다. 이후 퇴계 이황의 질녀
와 혼인했는데, 이 인연으로 퇴계가 무안박씨(務安朴氏) 가문에 ‘경수당’이라는 당호를 친필로 써서 보내 주었습니다. 이것이
후일 넷째 아우 박세순의 집에 걸리게 된 것입니다. 1668년(현종 9) 화재 때 온 집이 다 탔으나 ‘경수당’ 편액만 한 아이의 기
지로 온전히 보존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나라와 백성이 어려울 때 자신의 재산을 기부하여 도움을 줬던 박세순은 개인 이익보다 사회적 위치에서 공공의 이익을 추
구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입니다.
경수당 박세순은 30세 이전에 영해와 경주, 안강 등에 많은 토지를 소유한 만석꾼으로 가난하고 불쌍한 백성들을 도왔으며,
특히 임진왜란 때 군량미가 떨어져 곤욕을 겪고 있는 관군 등에게 곡식 800석을 내주었습니다.
오늘날 황금만능주의의 팽배로 개인주의 등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경수당’ 편액과 박세순의
일화가 우리에게 큰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개인의 이익이 아닌 공공의 이득을 위해 배려하는 정신, 잊혀져가는 공동체정신
에서 꼭 필요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정 리
김광현 (한국국학진흥원)
자 문
권진호 (한국국학진흥원)
참 고
유교넷(http://www.ugyo.net)
전통과 기록(http://portal.ugyo.net)
스토리테마파크(http://story.ugyo.net)
한국의 편액(http://pyeonaek.ugyo.net)
다음검색
저작자 표시 컨텐츠변경 비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