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구대우(講究對偶)
마주보는 짝을 애써 찾다
講 : 구할 강(言/10)
究 : 궁구할 구(穴/2)
對 : 마주할 대(寸/11)
偶 : 짝 우(亻/9)
지난 2021년 12월 2일 같은 날을 대칭절(對稱節)이라고 한다. 연월일을 아라비아숫자로 나열했을 때 왼쪽에서 읽으나 오른쪽에서 읽으나 꼭 같은 날을 말한다. '20211202'이 된다. 이런 날이 보통 10년에 한 번씩 들다가, 2290년 9월 22일 이후에는 700년 동안 들지 않는다고 한다.
우리 주변에는 대칭으로 된 것이 매우 많다. 대칭이 되면 안정된 느낌을 주고 장중(莊重)한 느낌을 준다. 사람의 몸이 좌우 대칭이다. 동물의 몸뚱이, 나무나 풀들도 대부분 좌우대칭인 것이 많다.
하늘과 땅, 음과 양, 해와 달, 남자와 여자, 어른과 아이, 물과 불, 봄과 가을, 산과 강, 높다와 낮다, 길다와 짧다 등등, 이루 다 들 수가 없다.
자연적인 좌우대칭도 많지만, 사람들이 만드는 것 가운데 좌우대칭으로 된 것이 많다. 우선 건물이 대부분 좌우대칭이고, 옷도 좌우대칭이고, 물건들도 대부분 좌우대칭이다.
다 같은 동양 사람들이지만, 중국 사람들이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훨씬 더 대칭을 강구한다. 우리는 축의금이나 부조를 할 때 의도적으로 홀수로 한다. 그러나 중국 사람들은 의도적으로 짝수로 한다. 선물을 할 때도 반드시 짝수로 한다. 서예 작품 등도 대련(對聯)이라 해서 짝으로 건다.
중국의 북경시(北京市)는 도시구조가 좌우가 정확한 대칭이다. 북경시는 원래 명(明)나라 북경성(北京城)이 확장된 것인데, 북경성의 중축선은, 자금성(紫禁城)의 대문 중앙을 지난다. 이 선이 자금성, 북경성의 중축선이고, 오늘날 북경시의 중축선이다. 2008년에 건설한 올림픽 주경기장도 이 중축선 위에 정확하게 맞추어져 있다.
좌우대칭을 강구하는 습관이 모든 문화에 배어들어 있어, 중국의 문학에서도 대칭을 강조한다. 한시(漢詩)나 문장에서 서로 대칭되게 짓는 구절을 대우(對偶), 대장(對仗) 또는 대구(對句)라고 일컫는다.
한시뿐만 아니라, 문장 가운데서도 변려문(騈儷文)이라는 것은 구절마다 대구가 되게 지어야 한다. 일반 산문이나 생활용어에도 대구가 워낙 많다.
한시나 한문의 묘미가 대구 짓는 데 있다. 어떤 시인은 한 구절은 지었는데, 그 짝을 짓지 못 해, 만나는 친구마다 붙들고, 좋은 대구 찾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다가 찾는 수도 있지만, 평생을 찾다가 결국 못 찾고 세상을 마치는 경우도 있다.
혼자 오랫동안 애써 대구를 찾아 맞추게 되면, 자부심도 생기고 기분이 좋다. 서로 대칭적인 것 가운데는 대립적인 것도 많다. 착한 것과 나쁜 것, 아군과 적군, 여당과 야당, 건설과 파괴, 출생과 사망 등등.
대립적인 것이 많으면, 결국 힘이나 자원을 허비하게 된다. 돈이 제일 많이 드는 전쟁은 이긴 나라에도 엄청난 손해를 가져온다. 가까운 사람과의 대립이 제일 큰 낭비라고 한다.
그래서 대립 대신 대대적(對待的)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다. 산과 강, 남자와 여자, 밥과 반찬, 선생과 학생, 상점과 고객 등등이다.
사람은 혼자 힘으로 살 수가 없다. 다투는 대립관계보다 서로가 서로를 도우는 대대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모두에게 더 좋을 것이다.
▶️ 講(외울 강, 얽을 구)은 讲(강, 구)는 간자(簡字)이다.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言; 말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冓(구; 짜맞추는 일, 강)로 이루어졌다. 말을 짜맞추기도 하고 비교도 해보는 일, 사화하다(私和--: 원수였던 사이가 원한을 풀고 서로 화평하다), 알아듣게 이야기하는 일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講자는 ‘익히다’나 ‘배우다’, ‘풀이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講자는 言(말씀 언)자와 冓(짜다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冓자는 물고기 두 마리가 서로 입을 맞대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조우하다’나 ‘만나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講자는 이렇게 ‘조우하다’라는 뜻을 가진 冓자에 言자를 더한 것으로 ‘서로 만나(冓) 이야기(言)를 한다’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니까 講자에서 말하는 ‘익히다’나 ‘배우다’라는 것은 누군가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가며 배워 익혀나간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講(강, 구)는 (1)배운 글이나 들은 말을 선생(先生)이나 시관 또는 웃어른 앞에서 외어 들리는 일. 글 강(講) (2)강의(講義) 등의 뜻으로 ①외우다, 외다, 암송하다(暗誦--) ②배우다 ③익히다, 연구하다(硏究--) ④설명하다(說明--) ⑤풀이하다 ⑥이야기하다 ⑦계획하다(計劃) ⑧꾀하다, 모의하다(謀議--) ⑨화해하다(和解--) ⑩화의하다 ⑪강의(講義) ⑫강론(講論) ⓐ얽다(구) ⓑ연결하다(구) ⓒ한결같게 하다(구) ⓓ명확하다(明確--)(구)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익힐 련(練), 익힐 습(習), 익힐 이(肄) 등이다. 용례로는 좋은 방법을 조사하여 궁리함을 강구(講究), 글이나 학설의 뜻을 설명하여 가르침을 강의(講義), 사물의 뜻을 부연하여 논술함 또는 청중에게 이야기를 함을 강연(講演), 강의나 설교를 하기 위하여 올라서게 만든 자리를 강단(講壇), 강의나 의식을 하는데 쓰는 큰 방을 강당(講堂), 교전국끼리 싸움을 그만두고 서로 화해함을 강화(講和), 글을 강의나 토론하며 읽음 또는 책을 읽고 그 뜻을 밝힘을 강독(講讀), 학문을 닦고 연구함을 강학(講學), 학문이나 기술을 갈고 닦음을 강마(講磨), 글을 읽는 소리를 강성(講聲), 강습이나 강의를 받음을 수강(受講), 강의를 쉼을 휴강(休講), 학문을 권하며 공부에 힘쓰게 함을 이르는 말을 권학강문(勸學講文), 입으로 말하고 손으로 그린다는 뜻으로 열과 정성을 다하여 교육한다는 말을 구강지화(口講指畫) 등에 쓰인다.
▶️ 究(궁구할 구)는 ❶형성문자로 䆒는 속자이다. 뜻을 나타내는 구멍 혈(穴; 구멍)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九(구; 한자리 수의 끝이고 또 굽다의 뜻)로 이루어졌다. 굽는 길을 더듬어 구멍의 속 깊이 이르다→사물이 궁극(窮極)에 이르다의 뜻이 있다. ❷회의문자로 究자는 '연구하다'나 '탐구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究자는 穴(구멍 혈)자와 九(아홉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九자는 구부린 팔을 그린 것이다. 그러니 究자는 동굴 속을 더듬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 할 수 있다. 갑골문에서는 이렇게 동굴 속을 더듬는 모습으로 그려져 '깊다'라는 뜻을 표현했었다. 후에 금문에서는 여기에 횃불을 든 모습이 그려졌는데, 어두운 동굴 속 깊이 들어간다는 표현이었다. 소전에서는 횃불은 사라지고 대신 팔뚝을 그린 九자가 동굴을 더듬는 모습을 표현하게 되었다. 究자는 이렇게 깊고 어두운 곳을 손으로 더듬으며 찾아간다는 의미에서 '연구하다'나 '헤아리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참고로 이러한 변천 과정에서 두 글자가 파생됐다. 하나는 여기에 水(물 수)자가 더해진 深(깊을 심)자이고 다른 하나는 手(손 수)자를 더한 探(찾을 탐)자이다. 금문에서 횃불을 들고 들어가는 모습에서 木(나무 목)자만 남은 것이다. 그래서 究(구)는 ①연구하다(硏究--) ②궁구하다(窮究--: 파고들어 깊게 연구하다) ③다하다, 끝나다 ④헤아리다, 꾀하다 ⑤미워하다 ⑥추궁하다(追窮--: 잘못한 일에 대하여 엄하게 따져서 밝히다) ⑦분명하다(分明--: 모습이나 소리 따위가 흐릿함이 없이 똑똑하고 뚜렷하다) ⑧두루 미치다 ⑨상세(詳細)하고 빠짐이 없다 ⑩통하다(通--: 막힘이 없이 들고 나다) ⑪끝, 극(極) ⑫서로 미워하는 모양 ⑬합수머리(合水--: 두 갈래 이상의 물이 한데 모이는 곳의 가장자리) ⑭마침내, 드디어 따위의 뜻이 있다. 유의어로는 硏(갈 연/벼루 연, 관 이름 형)이다. 용례로는 궁극 또는 사리의 마지막을 구경(究竟), 사리를 궁리하여 밝힘을 구명(究明), 사물의 이치를 구명함을 구리(究理), 속속들이 살피어 밝힘을 구핵(究覈), 끝까지 연구함 또는 깊이 생각함을 구고(究考), 연구하고 사색함을 구색(究索), 극도에 달함으로 막바지를 구극(究極), 샅샅이 조사하여 밝힘을 구찰(究察), 캐어 물음으로 추구해 물음을 구문(究問), 끝까지 따져 힐책함을 구힐(究詰), 깊이 조사하여 밝힘 또는 조사하고 생각하여 진리를 알아 냄을 연구(硏究), 좋은 방법을 조사하여 궁리함을 강구(講究), 진리나 학문이나 원리 등을 파고들어 깊이 연구하는 것을 탐구(探究), 속속들이 깊이 연구함을 궁구(窮究), 조사하여 구명함을 사구(査究), 학문을 연구함 또는 학문에만 열중하여 세상일을 모르는 사람을 학구(學究), 참고하여 연구함 또는 참선하여 진리를 연구함을 참구(參究), 깊이 연구하여 밝혀 냄을 천구(闡究), 근원을 구명함을 원구(源究), 정밀히 연구함을 정구(精究), 깊이 연구함을 심구(深究), 찾아서 밝힘을 심구(尋究), 어떤 사물의 이치를 캐어서 논함을 논구(論究), 자세히 살펴 연구함을 고구(考究), 비교하여 연구함을 비구(比究), 근본을 캐어 들어 연구함을 추구(追究), 사물의 이치를 따져 가며 연구함을 토구(討究), 자세히 연구함을 심구(審究), 널리 연구함을 박구(博究), 학문 같은 것을 연구함을 공구(攻究), 이치로 미루어 생각하여 끝까지 규명해 냄을 추구(推究), 어떤 사물을 과학적으로 분석 관찰하는 일 또는 어떤 일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고 사리를 따지어 보는 일을 이르는 말을 연지구지(硏之究之), 서로 비교하여 같고 다름이나 그 계통 등을 찾아내는 연구함을 이르는 말을 비교연구(比較硏究), 남의 마음을 속속들이 헤아림을 이르는 말을 구궐심장(究厥心腸), 사람이 죽으면 그 육신은 땅에 묻히어 흙이 되고 벌레가 먹으면 똥이 되는 등 신체의 종말이 깨끗하지가 못함을 이르는 말을 구경부정(究竟不淨), 구경 위에서 일어나는 온갖 지혜를 이르는 말을 구경현관(究竟現觀), 학문의 깊은 뜻을 연구함을 이르는 말을 구기당오(究其堂奧), 내용이 복잡하여 진상을 밝힐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을 불가구힐(不可究詰) 등에 쓰인다.
▶️ 對(대할 대)는 ❶회의문자로 対(대)의 본자(本字), 对(대)는 통자(通字), 对(대)는 간자(簡字)이다. 부수(部首)를 제외한 글자 종기둥에 사람이 손(寸)을 대고 서 있다는 뜻이 합(合)하여 대하다, 마주보다를 뜻한다. 부수를 제외한 글자는 타악기(打樂器)를 받치는 도구를 나타낸다. 이 도구는 좌우(左右) 두 개로 한 쌍이 되어 있고 또 이 도구에 악기(樂器)를 걸고 사람이 마주 앉음, 對(대)는 쌍으로 하는 일, 또 마주 앉다, 대답하는 일을 말한다. ❷회의문자로 對자는 '대하다'나 '마주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對자는 丵(풀무성할 착)자와 寸(마디 촌)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丵자는 뜻과는 관계없이 촛대로 응용되었다. 對자의 갑골문을 보면 여러 개의 초가 꽂힌 긴 촛대를 들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누군가를 마주하기 위해 불을 밝힌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對자는 불을 밝혀 누군가를 마주한다는 의미에서 '대하다'나 '마주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對(대)는 (1)서로 비슷하거나 같은 짝이나 상대 (2)어떤 명사(名詞) 앞에 쓰여 ~에 대한 ~에 대항하는의 뜻을 나타내는 말. 사물들이 서로 상대, 대립, 대비됨을 나타내는 말 (3)장기에서 쌍방이 말 하나씩을 맞바꾸어 따먹는 일 (4)대구(對句) (5)경의(經義) 같은 것을 시험(試驗)으로 문대(問對)하는데 쓰이는 그 대답 (6)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대하다, 마주하다 ②대답하다 ③대조(對照)하다, 맞추어 보다 ④상대, 맞수 ⑤짝, 배우자(配偶者) ⑥대구(對句) ⑦벌(옷을 세는 단위) ⑧쌍(두 짝으로 이루어 진 것의 단위) ⑨문체(文體)의 이름 ⑩대(對)하여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대답할 유(兪), 대답 답(答), 허락할 락(諾)이다. 용례로는 어떤 사건 또는 시국에 대한 방책을 대책(對策), 사람이 어떤 행위를 할 때, 그 목적이 되는 사물이나 상대가 되는 사람을 대상(對象), 마주 대함이나 상대함을 대응(對應), 어떠한 일에 대응할 준비를 함 또는 그러한 준비를 대비(對備), 마주 대하여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이야기하는 것 또는 그 이야기를 대화(對話), 어떠한 일에 대응하는 조치를 대처(對峙), 마주 대하여 섬이나 둘이 서로 버팀을 대립(對立), 사람이 상대의 물음이나 요구 또는 부르는 말에 응하여 어떤 말을 하는 것 또는 그 말을 대답(對答), 양자가 맞서서 우열 등을 결정함을 대결(對決), 서로 맞서서 버티어 겨룸을 대항(對抗), 외부 또는 외국에 대함을 대외(對外), 서로 맞대어 비교함을 대비(對比), 어떠한 일에 대처할 안을 대안(對案), 마주 대하여 말함을 대언(對言), 마주 대하여 말함 또는 그 말을 대담(對談), 두 사물이 맞서 있는 상태를 반대(反對), 서로 마주 보고 있음 또는 그 대상을 상대(相對), 상대하여 견줄 만한 다른 것이 없음을 절대(絶對), 마주 대하여 버팀이나 적으로 여김을 적대(敵對), 응접하여 대면함을 접대(接對), 상대하여 응답함을 응대(應對), 소를 마주 대하고 거문고를 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은 아무리 도리를 가르쳐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대우탄금(對牛彈琴), 증세에 맞게 약을 써야 한다는 뜻으로 문제의 핵심을 바로 보고 대처해야 함을 이르는 말을 대증하약(對症下藥), 손님을 접대하는 도리를 일컫는 말을 대객지도(對客之道), 군명을 받들어 그 뜻을 널리 인간 백성에게 드높임을 일컫는 말을 대양휴명(對揚休命), 강 건너 불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자기에게는 아무 관계도 없다는 듯이 관심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대안지화(對岸之火),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를 대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학식이나 업적이 크게 진보한 것을 말함을 일컫는 말을 괄목상대(刮目相對), 응대하는 말이 매우 유창하거나 사물의 처리가 매우 신속함을 일컫는 말을 응대여류(應對如流), 밤비 소리를 들으면서 침상을 나란히 놓고 눕는 다는 뜻으로 형세나 친구 사이가 좋음을 이르는 말을 야우대상(夜雨對牀), 좋지 못한 얼굴빛으로 서로 대함을 일컫는 말을 악안상대(惡顔相對), 묻는 대로 지체 없이 대답함을 이르는 말을 응구첩대(應口輒對) 등에 쓰인다.
▶️ 偶(짝 우)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만나게 하다, 맞도록 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禺(옹, 우)로 이루어졌다. 사람이 줄을 짓다의 뜻이다. ❷형성문자로 偶자는 '짝'이나 '배필'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偶자는 사람의 배필을 뜻하기 위해 人(사람 인)자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禺(원숭이 우)자는 발음역할만 할 뿐 뜻은 전달하지 않는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偶자를 나무나 흙으로 빚은 조각상이라 풀이하고 있다. 이것이 어떻게 배필을 뜻하게 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偶자에 '허수아비'라는 뜻이 있는 것을 보면 예전에는 사람의 모습을 본뜬 것을 偶라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偶자에서 말하는 '배필'이라는 것도 사실은 나와 닮은 반쪽을 뜻하려 했던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그래서 偶(우)는 ①짝 ②배필(配匹) ③허수아비 ④짝수 ⑤짝짓다 ⑥대(對)하다 ⑦마침 ⑧우연(偶然)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짝 항(伉), 짝 반(伴), 짝 려(侶), 짝 려(儷), 짝 필(匹), 짝 구(逑)이다. 용례로는 뜻밖에 저절로 되는 일을 우연(偶然), 일이 우연히 일어남을 우발(偶發), 우연히 성립함을 우성(偶成), 목석이나 쇠붙이로 만든 신불이나 사람의 형상을 우상(偶像), 둘로 나누어 지는 수를 우수(偶數), 짝수로 된 날을 우일(偶日), 얼른 떠오르는 생각을 시가로 읊음을 우음(偶吟), 우 사람이 서로 대하여 이야기함을 우화(偶話), 마주 대함을 우대(偶對), 두 사람이 마주 상대하여 이야기함을 우어(偶語), 우연히 일어나는 생각을 우감(偶感), 우연한 성질을 우성(偶性), 우연히 갖추어 있음을 우유(偶有), 우연히 만듦 또는 그 물건을 우작(偶作), 사물의 근본이 되는 원인이 아니고 그 사물의 발생을 조성하는 원인을 우인(偶因), 부부가 될 짝을 배우(配偶), 둘이 서로 짝을 지음 또는 둘을 서로 짝 짓게 함을 대우(對偶), 좋은 배필을 가우(佳偶), 좋은 아내나 남편을 양우(良偶), 짝을 고름으로 배필을 고름을 택우(擇偶), 힘이 엇비슷하여 서로 맞섬을 적우(敵偶), 신하가 남몰래 모반할 꾀를 속삭임을 이르는 말을 사중우어(沙中偶語), 한평생을 같이 지내는 아름다운 배필을 이르는 말을 백년가우(百年佳偶), 나무 인형에 옷을 두른 것이라는 뜻으로 아무 능력이나 소용이 없는 사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목우인의(木偶人衣)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