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동안
성원하여 주신 모든 일가님들 감사합니다.
새해에는
더 많이 행복하시고 건강하시며 하시는 일들이 모두
이루어지기를 기원합니다.
인터넷 종친회 운영자
김을태 드림
연하장(年賀狀)이란?
새해를 축하하는 글이나 그림이 담긴 편지.
<근하신년(謹賀新年)> 또는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라고
간단히 적는 경우가 가장 많다. 15세기 독일에서 아기 예수의
모습과 신년을 축복하는 글이 담긴 카드를 동판인쇄한 것이
연하장의 시초였으나 널리 유행되지 못했으며, 18세기 말에 명함에
그림을 넣는 풍습이 생겨났는데, 독일·오스트리아·프랑스
등지에서는 새해를 맞아 친지들에게 보내는 인사장으로 이것을
이용했다. 19세기 후반부터 영국·미국에서 크리스마스카드를
주고받으면서 크리스마스 축하에 새해인사를 겸하는 문구가
인쇄되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연하장의 전신이 되었다. 한국에는
새해에 상대방을 직접 찾아가 인사를 드리지 못하는 경우
아랫사람을 시켜 문안서찰을 보내는 풍속이 있었다. 조선시대의
세함(歲銜)은 그 풍속의 하나였다. 한편 상대방 집에서는
세함상이라 하여 부재중에 세배온 사람이 세함을 두고 가는 상자를
마련해 두거나, 손님이 자기의 이름을 적을 수 있도록
세장(歲帳)과 벼루·붓 따위를 준비해 놓았다. 중류 이상 집안의
부인들은 문밖 출입이 자유롭지 않아 초사흗날이 지나면서 여종을
곱게 차려입혀 일가친척이나 인사드려야 할 어른들을 찾아 뵙도록
했는데, 이 계집 하인을 문안비(問安婢)라고 하였다. 문안비들이
들고 다니는 단자(單子)에는 소재(蘇才;소동파의 재주를 갖추라는
뜻)·곽복(郭福;곽자의처럼 부자가 되라는
뜻)·희자(姬子;왕희처럼 자녀복을 누리라는
뜻)·팽수(彭壽;팽조처럼 3000년의 장수를 누리라는 뜻) 같은 글
가운데 상대방이 원하리라 짐작되는 것을 골라 적었다. 한편
문안비를 맞는 집에서는 세뱃돈과 세배상을 차려 대접했으며,
자기집의 문안비를 답례로 보내기도 했다. 이런 풍속은 조선 말기
이후 우편제도가 생겨나면서 차츰 사라졌으며 대신 새해
축하인사를 위한 연하우편 및 연하전보가 등장하게 되었다.
연하우편은 연하장을 우체국에서 연말에 받아두었다가 다음해 1월
1일자의 소인을 찍어 그날 첫째번으로 배달하는 제도이고,
연하전보는 새해를 축하하여 보내는 특별취급전보이다. 연하장을
주고받는 풍속이 유행하면서 오늘날에는 축하문구와 그림이
인쇄되거나 그려진 연하엽서를 보내기도 한다.
첫댓글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