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마산(92m) 운암산(134m) 큰 봉(132m) 매곡산(150m) 여물봉(144m) 한실봉(123m) 한솔등(134m) 한새봉(148m) 부용산(154m) 잘산봉(173m) /광주 북구
산행일자; 2023년 10월 14일 (토) .날씨; 맑음. 산행거리; 약 11.9km. 산행시간;3시간 05분(11;35~14;40)
교통편; 안내산 안악회 아리솔
비용; 40,000원(하산 후 현지식당 식사 제공 비용 포함)
산행코스;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봉운사-대마산 (92m) -운암산 (134m) -큰 봉 (132m) -매곡산 (150m) -여물봉 (144m) -한실봉 (123m) -한솔등 (134m) -한새봉 (148m) -부용산 (154m) -잘산봉 (173m) -일곡추어탕(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사레지오버스정류장 건너편)
■ 대마산(92m). 운암산(134m), 큰 봉(132m). 매곡산(150m). 여물봉(144m). 한실봉(123m). 한솔등(134m). 한새봉(148m). 부용산(154m). 잘 산봉(173m)은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에 소재한 장원지맥(삼각지맥)상의 산이다. 잘산봉(173m)은 국립지리원 지도상 그 이름이 나오는 산이고 나머지 산들은 무명봉인데 오록스맵 Korea지도에 그 이름이 나온다. 소이 장원지맥(삼각지맥) 상의 산이다.
■ 장원지맥은 호남정맥의 무등산 서석대에서 분기하여 중봉(910.3m)으로 내려 서고장원봉(387.5m), 노고지리산(257m), 삼각산(276.0m), 잘 봉산(172.9m), 운암산(133.9m), 대마산(92.4m)을 지나 유천동 유덕마을로 이어지고 유덕마을에서 직선거리로 3km를 더 가야 광주천이 영산강과 합류하는 곳에 이르게 되지만 마루금이 분명치 않아 신상경표에서는 이곳 유덕마을을 산줄기의 끝지점으로 정리한다. *하지만 지금 유덕마을은 옛 모습을 찾기는 복잡하게 얽혀있는 교각숲에 묻혀버려 어렵기에 유촌교에서 광주천을 따라 약 3km를 주행하여 광주천과 영산강이 만나는 그 현장을 목격하면서 유덕마을에서의 아쉬움을 달래는 산객들도 점 점 늘어나는 추세다
. 장원지맥은 신상경표 개정증보판 당시 30km 이상되는 146개 지맥 중에서 주행 변경이나 재 측정으로 지맥 반열에 합류한 11개 지맥(백하, 무성, 사금, 칠보, 철성, 청명, 오토, 봉화, 분적, 쇠치, 용천북) 이후 최근에 추가된 5개 지맥(와룡, 주읍, 장원, 만덕, 선은) 중 하나다.
■일곡동(日谷洞)은 광주광역시 북구에 소재한동이다. 원래 광주군(光州郡) 석제면(石堤面)에 속한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일동리의 일부를 합하여 본촌면(本村面) 일곡리가 되었다. 1957년 광주시에 편입되면서 일곡동이 되었고, 1986년 광주직할시 북구 일곡동, 1995년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이 되었다. 1997년 일부 지역이 삼각동(三角洞)에 편입되었다. 일곡동은 법정동으로 핼정동인서산동(瑞山洞)의 관할 하에 있었으나, 2003년 7월 서산동이 일곡동과 삼각동으로 분동 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노린 적골·만주동(晩珠洞)·서남쟁이·안 나실·진골 등의 골짜기, 일봉·잿봉 등의 야산, 일동 등의 옛 마을, 문등너메·소총거리·청저리 등의 들판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고광주숭일고등학교. 살레지오고등학교살레지오중학교. 일곡중학교. 일신중학교 등이 있다. 1992년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어 1994년에 착공되었으며 1996년에 준공되었다.
2023년 10월 14일(토).(06;35) 가양역에서 9호선 급행으로 (06;59) 신논현역 8번 출구 나와 (07;05) 아리솔마운틴 클럽 28인승 리무진 관광버스에 탑승합니다.
참여 인원이 적어 걱정했는데 예약 없이 참여하신 분들이 3명이나 나와 자리를 함께해 주시어 고맙습니다. 차는 단풍철도 아닌데 막혀 중간 정안 휴게소에서 약 10분(09;30~09;40) 휴게시간 갖습니다. (11;30) 호남고속도로 서광주 IC(구 광산 IC)를 빠져나와 (11;35) 산행들머리로 잡은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봉운사 옆 길가"에 도착 바로 산행 시작합니다.
0km 0분 [봉운사 옆](11;35)
산행들머리로 잡은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봉운사 옆 길가"다. 좁은 도로에 잠깐 설 수밖에 없다 보니 차뒤로 줄줄이 막혀있어 미안하다. 서둘러 가드레일 넘어 공터 밭 가장자리로 하여 급경사 길에 붙는다.
(11;35)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봉운사 옆 길가에 타고 온 산악회버스입니다.
(11;37) 묘지뒤 오름길입니다
0.2km 10분[대마산](92m)(11;45)
준. 희님의 표지판(장원지맥/대마산 92.4m) 걸려 있고 많은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걸린 정상이다. 낮은 첫 산인 대마산(92m)의 오름과 하산길이 제일 힘든 구간이다.
(11;45) 대마산(92m) 정상입니다. 준. 희님의 표지판(장원지맥/대마산 92.4m)이 걸려 있고 많은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걸려있습니다
(11;45) 대마산(92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1;45)대마산(92m)정상 삼각점(판독불가)입니다.
(11;45) 대마산(92m) 정상아래 묘지입니다.
(11;47 ) 산죽밭 하산길입니다
(11;53) 대나무숲을 간신히 빠져나갑니다
(11;56) 울타리 너머 마침 계단 대용 발판이 있어 이를 밟고 도로에 내려섭니다.
(11;59) "광주누가 요양병원" 우측길로 갑니다.
(12;04) 매트 깔린 산책길로 들어섭니다.
(12;10) 장원지맥 126.2m 봉입니다.
1.9km 38분[운암산](134m)(12;13)
운암산(134m) 정상은 정자와 장의자, 이정표(죽림동 배마을. 선녀정/동림동 푸른 주공아파트. 동림동 주민센터/서영대학교. 대자초교)와 준. 희님의 정상표지판(장원지맥운암산133.9m), 그리고 삼각점(광주 414/1985 재설) 있다. 운암산은 3거리에서 왕복하여야 한다.
(12;13) 운암산(134m) 정상 정자와 장의자입니다
(12;13)운암산(134m) 정상 "운암산 등산로안내판"입니다
(12;13)운암산(134m) 정상이정표( 죽림동 배마을. 선녀정/동림동 푸른 주공아파트. 동림동 주민센터/서영대학교. 대자초교)입니다
(12;13)운암산(134m) 정상 " 준. 희님의 정상표지판(장원지맥운맘산133.9m)"입니다.
(12;13)운암산(134m) 정상 " 준. 희님의 정상표지판(장원지맥운맘산133.9m)" 인증사진입니다.
(12;13)운암산(134m) 정상 삼각점(광주 414/1985 재설)입니다.
(12;16) 3거리로 돌아와 좌측으로 갑니다.
(12;22) 고목이 서있는 도로에 내려섭니다.
(12;31) 도회지 도로를 통과하여 고속도로를 육교도로로 통과합니다.
(12;38) 잠깐 숲길로 들어섭니다.
(12;38) 한국도로공사 입간판도 지납니다
4.1km 65분[큰 봉/매곡산 들머리](12;40)
(12;40) 매곡산 산책로 표시판 서있는 큰 봉/매곡산 들머리입니다.
(12;43) 2기의 돌탑과 이정표(큰 봉 0.2km/국립박물관 0.3km/사색숲 0.3km)입니다.
4.8km 73분[큰 봉](132m)(12;48~12;50)[2분]
(12;48) 큰 봉(132m) 정상 삼각점(판독불가)입니다.
(12;48) 큰 봉(132m) 정상에 부착한 표지기 입니다.선답자님들의표지기는 청소되었는지 보이지 않습니다.
(12;48) 큰봉(132m)정상에 부착한 표지기 인증사진입니다.
(12;48~12;50)[2분] 큰 봉(132m) 정상 표지목 겸 이정표(여물봉 1.2km/국립박물관 겸 0.5km)입니다.
(12;48~12;50)[2분] 큰 봉(132m) 정상 표지목 겸 이정표(여물봉 1.5km/국립박물관 겸 0.5km) 인증사진입니다.
(12;51) 이정표(여물봉 1.2km/큰 봉 0.3km)입니다.
(12;51) 부드러운 등로입니다
5.7km 85분[매곡산](150m)(13;00)
지도상 매곡산(150m) 정상인데 , 정상표지목 겸 이정표는 매화봉(149.6m)이다. 주민들이 매화봉(149.6m)라고 부르는 모양이다.
(13;00) 매곡산(150m) 정상입니다.
(13;00) 매곡산(150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13) 삼각점(판독불가)입니다.
6.4km 100분[여물봉](144m)(13;15)
여물봉(144m) 정상에는 준. 희님의 표지판(장원지맥 143.8m)이 걸려있다.
(13;15) 여물봉(144m)정상에는 준.희님의 표지판(장원지맥143.8m)이 걸려있습니다
(13;15) 여물봉(144m) 정상"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표지기 겁니다
(13;25) 도로에 내려섭니다
(13;25) 이정표(한새봉/국립광주박물관/매곡동등산 숲길)입니다.
(13;28) 산책로이용안내 표시판과 산책로 안내판입니다.
(13;28) 한실봉 오름길입니다
7.8km 122분[한실봉](123m)(13;37)
(13;37) 한실봉(123m) 정상입니다
(13;37) 한실봉(123m) 정상 일행들(좌로부터 거꾸리님,임춘수대장님,배창랑,배하사님)입니다.길이 좋으니 선두구릅과 함께하는 영광도 누립니다.
(13;37) 한실봉(123m)정상 준. 희님의 표지판(장원지맥 122.9m)입니다
(13;37) 한실봉(123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43) 무등산 조망입니다.
14;43 신우대밭길입니다
8.5km 130분 [삼각점봉](판독불가)(129m)
능선상 삼각점(판독불가) 봉(깃대봉?)(129m)이다.
(13;45) 삼각점봉(판독불가)(129m)입니다.
(13;39) 내리막길입니다
(13;41) 이정표(한새봉. 부용산/일동중학교/일곡마을)입니다.
(13;41) 이정표 뒤능선 오름길입니다
8.7km 135분[한솔등](134m)(13;50)
(13;50) 한솔등(134m) 정상입니다.
(13;50) 한솔등(134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9.1km 143분[한새봉](148m)(13;58)
준희님의 표지판(장원지맥 148.3m) 걸려있고 삼각점(광주 419) 있다.
(13;58) 한새봉(148m)정상에는 준희 님의 표지판(장원지맥 148.3m)이 걸려있습니다.
(13;58) 한새봉(148m)정상 삼각점(광주 419)입니다.
(13;58) 한새봉(148m) 정상 표지기입니다
(14;04) 부용산 오름길입니다
(14;09) 이정표(부용산/잘 봉산. 우치공원/한새봉 6 거리. 양산동)입니다
9.9km 155분 [부용산](154m)(14;10~14;11)[1분]
부용산 (154m) 정상은 운동기구 있고 철조망 울타리가 있다
(14;10) 부용산 (154m) 정상입니다.
(14;10~14;11) [1분] 부용산 (154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1.1km 172분[잘 산봉](173m)(14;27)
잘산봉(173m)정상에는 준.희님의 표지판(장원지맥 172.9m)매여있다.
(14;27) 잘산봉(173m)정상 준.희님의 표지판(장원지맥 172.9m)입니다.
(14;27) 잘산봉(173m)정상 입니다.
(14;27) 잘산봉(173m)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4;39)하산길이 끝납니다.
(14;40)죽계노씨비석입니다
(14;40) 산악회 버스입니다
(14;40)살레시오 버스정류장입니다. 산행종료 합니다.
11.9km 185분 [살레시오버스정류장](14;40~15;15)[35분]
산행종료합니다.마땅히 환복할 자리가 없어 버스안에서 수건에 물 뭏혀 머리부터 몸통 닦아내고 새옷으로 환복합니다.아리솔 산악회표 막걸리1병과 메고다닌 안주로로 함께한 누리님과 무사산행을 건배합니다.
후미들도 도착되고 식당도 예상보다도 약15분 빨리 브레이크타임을 끝내 주어 (13;15~16;30)[75분] 동안 추어탕에 테이블마다 취향대로 별도로 시킨 추어튀김안주(10,000원)등에 딸 결혼식 축하 이벤트로 배하사님이 쏜 막걸리와 맥주,소주등 건배하면서 즐거운 식사 즐기고 , 마트에서 구입 고향에 왔다고 아이스크림과 맥주패트병 2병을 지난번에도 광주왔을때 쏜 고병선 선배님의 사은품 구입후 (16;30) 일곡동을 출발 차내에서 잘 먹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고교시절 3년 밖에 살지 않은 광주이기에 선배님 잔치에 묻어 갑니다.ㅎ 염치없지만 감사히 잘먹었습니다.
차는 중간 "이서 휴게소"에서 약10분(17;30~17;40) 휴게시간 갖고 ,(20;20) 양재역 신분당선 출구앞에 도착합니다.(20;26)양재역에서 신분당선을 타고 신논현역에서(20;30~20;34/4분)9호선 급행 환승 (20;59)가양역 도착 (21;10) 귀가 합니다.
로커스트랙지도
오록스맵Korea트랙지도
산행기록표1
산행기록표2
e-동아트랙지도
실트랙
첫댓글 이번에는 광주광역시 북구쪽을 지나는 장원지맥상의 대마산, 운암산, 한새봉 등 산군이었군요.
야산으로 이루어진 길따라 비교적 여유로운 발걸음이 이어지신 듯 합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
이어지는 안전한 여정을 기대합니다.
에이원회장님.
모처럼 고향땅 산하 장원지맥길을 즐겼습니다.
여유롭고 한가한
산길이 좋았습니다.
늘건강하시고 안산즐산 이어가시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