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취업뽀개기-NCS,공기업,인턴,취업,공모전,대학생,토익,이력서
카페 가입하기
 
 
 
 

지난주 BEST회원

다음
 

지난주 BEST회원

 
 
카페 게시글
증권 [자산운용] IB, 자산운용 진출을 위한 대학원 진학(경제석사 vs 금융공학석사)
Most likely 추천 0 조회 1,117 10.03.20 18:56 댓글 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03.20 23:24

    첫댓글 IB 현직자 인데 우리 회사의 경우 알기로는 IB 입사 시 석사인 경우 거의 없습니다. 나이가 어리다면 상관없지만 나이가 28 이상인 경우에는 괜히 석사하면서 나이 늦어지면 더 입사하기 어려우니 영어권 대학원 가는 거 아니면 빨리 입사하는 게 나을 겁니다. 지금 국내 석사한다고 해서 IB 올 가능성 높아 지진 않고 운용 분야도 운용사 간 제 친구들 보면 석사 있는 거보다 영어 잘하고 나이 어린게 최고 입니다. 석사 하고 싶으면 윗분 말대로 우선 금융분야 입성한다음에 재봐야 합니다.

  • 작성자 10.03.21 05:26

    조언들 감사드립니다. 어드미션 받은 학교들은 미국 학교들이고 석사 졸업하면 한국나이로 27~28살정도 될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28살에 졸업하면 불이익이 있나요? 영어는 미국 대학 경험이 1년 좀 넘게 있지만 아직 잘하진 못하는거 같습니다. 석사가서 더 노력할 생각입니다 ㅠ

  • 10.05.31 16:43

    경제학안에 있는 전공중에 있는 것이 금융공학입니다. 그런데 경제학 + 공학을 합친것으로 경제학을 더 강조하는 경제학 석사학위안의 금융공학과 공학을 더 강조하는 OR금융공학으로 나눌수 있는데 OR는 QUANT의 방향으로 가겠군요. 금융공학이 어려운 이유는 기본적으로 경제학은 다 커버해야하고 거기에 수학이나 통계학을 더 잘해야 한다는 것이 부담될 수 있겠네요. 아무튼 둘다 관련 경험/경력을 중요시해서 박사과정에 진학할려면 보통 관련 경력을 취업해서 경험하라고들 합니다. 석사까지는 국내 경제대학원이 수준이나 질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바로 해외 박사과정 진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융권 자산운용, IB 진출을 위해서는

  • 10.05.31 16:45

    당연히 경제학을 하셔야 하는데 그 중 전공을 금융공학을 하시겠다면 OR금융공학을 하시는 것이 낫습니다...제대로 발휘하실려면 관련 취업을 해서 경험이 쌓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