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가스 농도가 높지 않은 것은?
이문제의 답이 (식물체가 무성한 곳이 높다) 입니다.
식물체가 무성하다면 군락상태일것이고, 차폐가 되어서 광합성보다 호흡이 더 많을텐데
그러면 산소보다 이산화탄소가 더 많아서 탄산가스의 농도도 높지않나요?
그리고 질소 기아 현상을 유발하는 탄질비는 C/N율이 30:1이상일때인가요?
10:1 이상일때인가요?
첫댓글 탄산가스 농도는 정확한 문제가 먼지 모르겠지만요...토마토 님이 생각하신것과 반대로 생각하시면 식물체가 무성한곳히 광합성량이 더많아서 이산화탄소의 소모가 많아서 농도가 낮을수 있습니다..이산환탄소에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계절과 바람상태 지면과의 높이에 따라서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책한번 찾아보세요.. 질소기아현상은 30:1 이 맞는것 같습니다...
감사해요 ~~^^
차폐가 되어서 광합성보다 호흡이 더 많을텐데 <-- 이렇게 되면 식물들이 다 죽을겁니다.. ^^ 질소기아현상은 30:1<-- 이건 어떤책에 나오나요?? 저는 처음본거라서.. ㅎㅎ..
질소기아현상은 재배학 기출 문제에 나오더라구요...그런데 재배학 책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구요 토양학 책 찾아보시면 나올겁니다..30:1 15:1 10:1 하면서요 30:1에서는 질소 함량이 적어서 토양미생물들이 단백질 합성으로(자기 증식용 같습니다) 질소를 소비한다구 합니다..그래서 작물이 사용할 질소가 부족해진다구 합니다.
첫댓글 탄산가스 농도는 정확한 문제가 먼지 모르겠지만요...토마토 님이 생각하신것과 반대로 생각하시면 식물체가 무성한곳히 광합성량이 더많아서 이산화탄소의 소모가 많아서 농도가 낮을수 있습니다..이산환탄소에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계절과 바람상태 지면과의 높이에 따라서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책한번 찾아보세요.. 질소기아현상은 30:1 이 맞는것 같습니다...
감사해요 ~~^^
차폐가 되어서 광합성보다 호흡이 더 많을텐데 <-- 이렇게 되면 식물들이 다 죽을겁니다.. ^^ 질소기아현상은 30:1<-- 이건 어떤책에 나오나요?? 저는 처음본거라서.. ㅎㅎ..
질소기아현상은 재배학 기출 문제에 나오더라구요...그런데 재배학 책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구요 토양학 책 찾아보시면 나올겁니다..30:1 15:1 10:1 하면서요 30:1에서는 질소 함량이 적어서 토양미생물들이 단백질 합성으로(자기 증식용 같습니다) 질소를 소비한다구 합니다..그래서 작물이 사용할 질소가 부족해진다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