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한지(우리말 더빙)..80회작 - 등장인물 소개
제 목:초한전기(楚汉传奇)
영어제목: Legend of Chu and Han
기타제목: 초한(楚汉)
출품시간: 2011년 8월 25일
출품공사: 박납영업집단(博纳影业集团), 희세기영시(希世纪影视)
제작지역: 중국
연출감독: 고희희(高希希)
극본작가: 왕해림(汪海林), 염강(阎刚)
주 연: 진도명(陈道明), 하윤동(何润东), 단혁굉(段奕宏), 진람(秦岚), 이의효(李依晓), 양립신(杨立新)
전체회수: 80회
장 르: 사극, 고전극
방송시간: 2012년 12월 28일
크랭크인: 2011년 08월 25일
촬영완료: 2012년 05월 05일
초한지 주요 지도 및 출연배우 링크
楚汉传奇 초한지 chendaoming 천다오밍 진도명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한나라
유방(刘邦) 역 진도명(陈道明) - 한조 개국황제, 한고조, 자는 계(季)
자는 계(季)이고, 묘호(廟號)는 원래 태조(太祖)인데
사마천(司馬遷)이 《사기(史記)》에서 고조(高祖)라 칭한 뒤로 이것이 통칭이 되었다.
지금의 장쑤성[江蘇省] 펑현[豊縣]에 해당하는 패(沛) 땅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가업을 돌보지 않고 유협(遊俠)의 무리와 어울렸다.
장년에 이르러 하급관리인 사수정장(泗水亭長)이 되었으며,
당시 여산(驪山)의 황제릉(皇帝陵) 조영 공사에 부역하는 인부의 호송책임을 맡았다.
호송 도중에 도망자가 속출하여 임무수행이 어려워지자,
나머지 인부를 해산시키고 자신도 도망하여 산중에 은거하였다.
진(秦)나라 말기에 이르러 진승(陳勝)·오광(吳廣)이 반란을 일으키자 각지에서 군웅이 봉기하였으며,
유방도 향리의 지도자와 청년층의 추대를 받아 진나라 타도의 기치를 높이 들고
군사를 일으켜 패공(沛公)이라 칭하였다(BC 209).
이듬해 북상하여 항량(項梁) ·항우(項羽)의 군대과 만나 연합세력을 구축하였다.
그뒤 항우의 군대가 동쪽에서 진군(秦軍)의 주력부대와 결전을 벌이는 사이,
그는 남쪽으로 관중(關中)을 향해 진격을 계속하여 항우보다 앞서 수도 셴양[咸陽]을 함락시키고,
진왕(秦王) 자영(子嬰)의 항복을 받았다.
또 진나라의 가혹한 법률을 폐지하고 법삼장(法三章)을 약속하여 인심을 수습하였다.
약 1개월 늦게 셴양에 도착한 항우가 유방을 살해할 목적으로
이른바 '홍문(鴻門)의 회(會)'에 불려가 목숨의 위협을 받았지만
부하인 장량(張良)과 번쾌(樊噲)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하였다.
진나라가 멸망하자 항우는 서초패왕(西楚覇王)이라 칭하였고,
BC 206년 유방은 항우로부터 한왕(漢王)에 봉해졌다.
그뒤 4년간에 걸친 항우와의 쟁패전에서 소하(蕭何)·조참(曹參)·장량(張良)·한신(韓信) 등
유능한 신하와 장수들의 보좌를 받아 마침내 해하(垓下)의 결전에서 항우를 대파하고
중국 통일의 대업을 이루었다.
BC 202년 유방은 황제에 오르고 수도를 장안[長安]으로 정하였다.
한나라 개국에 공이 큰 장수와 부하를 제후왕(諸侯王)과 열후(列侯)로 각지에 봉(封)하였으나,
오래지 않아 이들은 모두 제거되거나 쇠망하고 왕실일족(王室一族) 출신으로 대체되어,
제후왕은 한실일족(漢室一族) 출신자에 한정된다는 불문율이 성립하였다.
유방은 서민 출신이었으나 성격이 대담하고 치밀하며 포용력이 있어,
부하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데 능숙하였으므로 최후의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여치(吕雉) 역 진람(秦岚) - 유방의 부인, 미래의 “여후”
성 여(呂). 자 아후(娥姁). 이름 치(雉). 산양[山陽] 출생.
무명의 유방과 결혼하여 평정사업(平定事業)을 도왔고,
유방이 죽은 뒤 아들 혜제(惠帝)를 즉위시키고 실권은 자신이 잡았다.
혜제가 23세의 나이로 죽자, 혜제의 후궁에서 출생한 여러 왕자들을 차례로 등극시키면서
황제를 대행, 여씨 일족을 고위고관에 등용시켜 사실상의 여씨정권을 수립하였다.
또 유방의 총비(寵妃) 척부인(戚夫人)의 수족을 자르고 변소에 가두는 등 횡포를 자행하였다.
특히, 유씨(劉氏)만을 후왕(侯王)으로 책봉하라는 유방의 유훈(遺訓)을 어기고
동생 여산(呂産), 여록(呂祿)을 후왕으로 책봉하였는데
이것이 유씨 옹호파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그녀가 죽자 곧 여씨 주멸(誅滅)사건이 일어났다.
이것이 여씨의 난(실제는 미수에 그쳤다)이며,
여씨 정권은 붕괴하고 고조의 차남 유항(劉恒)이 즉위하여 문제(文帝)가 되었다.
한신(韩信) 역 단혁굉(段奕宏) - “한초삼걸” 중 하나, 한초삼대명장
출생일과 그의 집안에 관한 내력은 분명하지 않으며 진(秦)나라 때 사람이다.
회음현(淮陰縣:江蘇省)에서 출생하였다.
사마천이 쓴 《사기》에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 기록에 의하면
어려서 매우 가난했으며 항상 칼을 차고 다녔다고 기록하고 있다.
끼니조차 제대로 먹을 수 있는 형편이 되지 못해 남창(南昌) 정장(亭長)의 집에서
밥을 얻어먹다 쫓겨나 강가에서 표씨 여인에게서 밥을 얻어먹었다.
사람들은 한신을 거렁뱅이에 무능력한 인물로 취급했다.
진나라 말 나라의 국운이 기울면서 난세가 되자
항우(項羽)가 그의 숙부인 항량(項梁)과 함께 군사를 일으켰는데 한신은 이에 가담하였다.
하지만 한신이 미천한 신분이라는 이유로 요직에 중용되지 못했고 한직으로 전전했다.
한신이 불우하던 젊은 시절에 시비를 걸어오는 시정(市井) 무뢰배의 가랑이 밑을
태연히 기어나갔다는 일화 때문에 자신의 재능보다 무시되기도 하였다.
이 일화로 과하지욕(誇下之辱)이라는 고사가 생겨 날 정도로 한신과 관련된 유명한 일화다.
이런 이유뿐만 아니라 항우의 성품이 거만하여 자신의 재능을 알아보지 못하자
결국 항우를 떠나 유방(劉邦)의 진영에 가담하였다.
하지만 유방의 휘하에서도 인정을 받지 못하다가
군법을 어긴 죄로 목숨이 경각에 달했는데 하우영이 한신의 탄식을 듣고 살려주었다.
하우영은 한신의 재능을 알아보고 승상 소하(蕭何)에게 추천하였고
소하는 한신의 재능을 인정하였다.
소하는 유방과 함께 군사를 일으킨 사람으로 절대적인 신임을 받고 있는 인물이었다.
소하는 한신이 한나라 진영에서 달아나자 그를 다시 데려와 유방에게 천거하였고
파격적으로 삼군 총사령관인 대장군에 임명하였다.
한신은 해하(垓下)의 싸움에 이르기까지 유방의 군사를 지휘하여
한(韓), 위(魏) 등 제국(諸國)의 군세를 격파하였다.
특히 조(趙)나라와의 싸움에서 한신의 재능이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한신은 불과 2만의 군사로 배수진을 치고 그 10배인 조나라를 제압했으며
조나라의 명장이자 전략가인 이좌거를 부하로 얻게된다.
한신의 기세가 날로 커지자 항우와 유방의 싸움에서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게 되었다.
한신은 이어 제(齊)나라를 공격하여 함락시켰는데
이때 외교술로 전투없이 공략하려던 유방의 뜻과 달리 무력으로 제나라를 굴복시켰다.
한신은 군사면에서 크게 공을 세우자 유방에게 제나라 왕(齊王) 자리를 요구했다.
유방은 항우와의 싸움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할 수 없이 한신을 제나라 왕으로 임명했고
후일 이 일로 한신과 유방이 등을 돌리는 요인이 되었다.
유방이 항우와의 싸움에서 승리하고 한(漢)나라의 황제로 등극하자
한신의 병권을 빼앗고 초(楚)나라 왕으로 임명하였다.
초나라 왕은 병권이 없고 제왕으로 명분만 있는 자리였다.
한신은 고향인 초나라 왕으로 금의환향하면서
예전 자신이 불우한 시절에 밥을 먹여준 표씨 여인에게 천금으로 은혜를 갚았는데
이를 두고 일반천금(一飯千金)이라는 고사가 생겼다.
그리고 자신을 가랭이 밑으로 기어가게 한 무뢰배에게는
치안을 담당하는 중위(中尉)로 임명하였다.
이 일로 한신은 초나라에서 덕망이 높고 고매한 인품을 가진 왕으로 칭송되었다.
그러나 한제국(漢帝國)의 권력이 확립되자 유방과 참모들의 견제를 받았다.
유방이 황제로서 제후국을 순회하며 초나라를 방문하자
한신은 자신에게 위협이 될 것으로 짐작하였다.
한신은 유방을 안심시키고자
자신에게 의탁해온 종리매(鐘離昧)의 목을 베어 유방에게 바쳤다.
종리매는 항우 휘하에 활약했던 유명한 장수로 유방의 진영을 괴롭혔던 인물이었다.
그는 항우가 죽자 친구 한신에게 의탁하여 초나라에 머물고 있었다.
하지만 이일은 오히려 한신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여 민심을 잃었고
유방은 한신을 모반죄로 체포하여 장안(長安)으로 압송하였다.
이때 한신은 유방을 원망하며 토사구팽(兎死狗烹)이라는 말을 남겼다.
BC 201년 장안으로 압송되어 그의 신분은 회음후(淮陰侯)로 격하되었다.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였던 한신은 BC 196년 진희(陳豨)가 일으킨 반란에 가담하였다가
탄로나자 유방의 부인 여후(呂后)와 승상 소하의 부하에게 생포되어 참살당하였다.
소하(萧何) 역 양립신(杨立新) - “한초삼걸” 중 하나, 명재상
장쑤성[江蘇省] 패군(沛郡) 풍현(豊縣) 출생.
한신(韓信) ·장량(張良) ·조참(曹參)과 함께 고조의 개국공신이다.
진(秦)나라의 하급관리로 있으면서,
일찍이 고조 유방이 무위무관(無位無官)일 때부터 접촉을 가졌다.
유방이 진나라 토벌의 군사를 일으키자
종족 수십 명을 거느리고 객원으로서 따르며 모신(謀臣)으로 활약하였다.
진나라 수도 함양(咸陽)에 입성하자
진나라 승상부(丞相府)의 도적문서(圖籍文書)를 입수하여
한(漢)나라 왕조 경영의 기초를 다졌다.
한나라 유방과 초(楚)나라 항우(項羽)의 싸움에서는 관중(關中)에 머물러 있으면서
고조를 위하여 양식과 군병의 보급을 확보했으므로,
고조가 즉위할 때에 논공행상(論功行賞)에서 으뜸가는 공신이라 하여 찬후(酇侯)로 봉해지고
식읍(食邑) 7,000호를 하사받았으며, 그 일족 수십 명도 각각 식읍을 받았다.
뒤에 한신 등의 반란을 평정하고 최고의 상국(相國)에 제수되었다.
재상 시절 진나라의 법률을 취사(取捨)하여 《구장률(九章律)》을 편찬하였다.
장량(张良) 역 곽청(霍青) - “한초삼걸” 중 하나, 저명한 모사
자 자방(子房). 시호 문성공(文成公).
한나라 명문 출신으로,
BC 218년 박랑사(博浪沙:河南省 博浪縣)에서 시황제(始皇帝)를 습격했으나 실패,
하비(下邳:江蘇省 下邳縣)에 은신하고 있을 때 황석공(黃石公)으로부터
《태공병법서(太公兵法書)》를 물려받았다고 한다.
진승(陳勝)·오광(吳廣)의 난이 일어났을 때 유방의 진영에 속하였으며,
후일 항우(項羽)와 유방이 만난 '홍문의 회(會)'에서는 유방의 위기를 구하였다.
선견지명이 있는 책사(策士)로서 한나라의 서울을 진(秦)나라의 고지(故地)인
관중(關中)으로 정하고자 한 유경(劉敬)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소하(蕭何)와 함께 책략에 뛰어나 한나라 창업에 힘썼다.
그 공으로 유후(留侯)에 책봉되었다.
번쾌(樊哙) 역 강개(康凯) - 유방의 맹장, 도호(屠户) 출신
백정 출신 맹장이며 '홍문의 연'에서 유방을 구해냈음
노관(卢绾) 역 왕계세(王继世) - 유방이 아끼는 신하, 평민시절 친구
많은 공을 세웠으나 고조12년에 흉노로 망명함
조참(曹参) 역 서효건(徐晓健) - 유방의 부장.
고조가 죽은 후 소하의 추천으로 상국이 되어 혜제를 보필함
하후영(夏侯婴) 역 임붕(林鹏) - 유방의 부장,
하후연(夏侯渊)의 선조
주발(周勃) 역 장승호(张承好) - 유방의 부장,
후에 태위로 봉해짐. 후에 여씨일가를 죽이고 한나라를 유씨에게 돌려줌
영포(英布) 역 호동(胡东) - 한초삼대명장. 죄수 출신.
원래 항우의 수하였으나 배신하고 유방의 신하가 됨
팽월(彭越) 역 류경범(刘景范) - 양왕(梁王), 한초삼대명장
옹치(雍齿) 역 우용(尤勇) - 유방의 신하.
유방을 배신했다가 돌아옴
조무상(曹无伤) 역 강영파(姜永波) - 유방의 부장.
유방을 배신하고 항우에게 유방을 모함하는 편지를 써서
'홍문의 연'이 열리게 만듦.
역이기(郦食其) 역 석유견(石维坚) - 유방의 참모.
제나라에 외교차 갔다가 제를 침공한 한신 때문에 제왕 손에 죽음.
관영(灌婴) 역 로용(卢勇) - 유방의 장수.
후에 주발, 진평과 함께 여씨일가를 척살하고 문제(文帝)를 옹립하고 승상이 됨
괴철(蒯彻) 역 희성공(姬成功) - 한신의 세객.
한신에게 '천하삼분지계'를 권했으나 거절당하자 한신을 떠남.
기신(纪信) 역 팽국빈(彭国斌) - 유방의 장수
진평(陈平) 역 장금원(张金元) - 유방의 모사
미생(尾生) 역 왕박(王朴)
망탕산 형제였으나 실수로 민간인을 죽여 자살함
여마동(吕马童) - 항우의 장수였으나
항우가 고향으로 돌아가라 하자 유방에게 투항함
왕릉(王陵) 역 필해봉(毕海峰) - 패현의 부호.
유방의 가족을 보호하여 촉으로 데려감. 후에 한나라의 승상이 됨.
수하(随何) 역 양우등(杨雨橙) - 유방의 모사
주가(周苛) 역 정경원(郑景元) - 유방의 장수
유방의 가족들
유태공(刘太公) 역 유자풍(刘子枫) - 유방의 아버지
여태공(吕太公) 역 정천용(郑天庸) - 여치의 아버지
유대가(刘大哥) 역 양군(杨军) - 유방의 큰형
유대수(刘大嫂) 역 이약빙(李若冰) - 유방의 큰 형수님
겁이 많고 소심함
유이가(刘二哥) 역 로국기(路国奇) - 유방의 둘째 형
유이수(刘二嫂) 역 전령(田玲) - 유방의 작은 형수님
탐욕스럽고 무치함
조씨(曹氏) 역 우명가(于明加) - 유방이 여치와 혼인하기 전 부인.
유방의 장자인 제도혜왕 유비의 어머니
척부인(戚夫人) 역 탕연(汤燕) - 유방의 총희. 조왕 여의의 어머니.
후에 여후의 손에 비참하게 죽음.
박희(薄姬) 역 서양(徐扬) - 유방의 후궁, 효문제 유항의 어머니.
원래 위왕의 아내였음
여수(吕媭) 역 허만추(许晚秋) - 번쾌의 부인, 여치의 동생
여택(吕泽) 역 임명생(任明生) - 여치의 오라비
유여의(刘如意) 역 정위(郑伟) - 유방과 척희의 아들
유영(刘盈) 역 동춘명(董春明) - 한효혜제
유방의 차남이자 적자. 유방과 여치의 아들
유악(刘乐) 역 양지문(杨志文) - 노원공주
유방의 장녀. 유방과 여치의 딸
유비(刘肥) 역 장서백(张瑞柏) - 제도혜왕. 유방의 장자.
유방과 조씨의 아들
유양(刘襄) 역 양사신(杨司晨) - 유비(刘肥)의 아들
유방쪽 기타인물
계도(季桃) 역 유소소(刘筱筱) - 한신의 약혼녀
려연(骊鸢) 역 묘락의(苗洛依) - 인신매매상으로부터 한신이 구해준 여인.
역이기(郦食其)의 동생. 한신의 홍안지기.
약강(若姜) 역 공역용(巩亦瑢) - 우희의 결의자매이며
항우가 영포와 혼인시킴. 항우에게 원한을 가지고 있음.
심식기(审食其) 역 오강(吴刚) - 상관인 옹치를 배신하고
여치 등 유방의 식솔들을 구함. 여치의 심복이 됨.
숙손통(叔孙通) 역 유엄후(刘广厚) - 진나라 출신 한나라 학자.
한이 통일한 후 법과 제도의 기틀을 만들었음.
소한(小娴) 역 곽가동(郭柯彤) - 하후영의 아내
아매(娥妹) 역 왕자동(王紫潼) - 한신의 시녀
초나라
항우(项羽) 역 하윤동(何润东) - 서초패왕, 제일용장, 이름 항적(项籍)
이름은 적(籍), 우(羽)는 자이다. 임회군 하상현(臨淮郡 下相縣, 현재는 江蘇省) 출생.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항우에 관한 기록이 전한다.
항우의 할아버지는 항연(項燕)이라는 사람으로 초나라 대장군을 지내 인물이며,
진나라와 전투에서 패해 자결하였다.
항우가 태어난 시기는 전국시대였으며
그가 장성하였을 때는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하고 이후 나라가 혼란스러울 때였다.
귀족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어려서 부모를 잃고 삼촌 항량(項梁)에게 맡겨져 가난하게 자랐다.
젊은 시절 키가 8척에 이르렀고 큰솥을 들어올릴 정도로 힘이 장사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문자는 제 이름을 쓸 줄 알면 충분하고,
검술이란 1인을 상대할 뿐인 하찮은 것'이라 하여
공부를 하지않았는데 오로지 병법에는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 항우는 이미 검술과 전투에 능했으며 각종 병장기를 잘 다루었다고 전한다.
삼촌 항량이 살인을 저질러 가족 모두가 회계(會稽, 현재의 소주蘇州)로 달아나 그곳에 정착하였다.
마침 회계군으로 행차하는 진나라 시황제의 성대한 행렬을 보고
'내가 저 녀석을 물리치고 황제 자리를 대신해 줄 테다'라고 호언하였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진나라에 반발하여 전국에서 무장봉기가 일어나고 있었는데
그중 BC 209년 진승(陳勝)·오광(吳廣)의 난으로 진나라가 큰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이때 항우도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회계군 태수를 참살하고
인수(印綬)를 빼앗은 것을 비롯하여 진나라 병사를 휘하에 모아 세력을 형성하였다.
항량과 항우가 거병했다는 소문이 퍼지자 도처에서 호걸들이 모여들었다.
진승과 오광이 내부 반란자에게 피살되자 더욱 세력이 확장되었고
책사 범증(范增)의 건의로 초나라 왕족 웅심(熊心:초나라 회왕의 손자)을 추대하여
봉기의 명분과 민심을 얻게되었다.
항량이 진나라와 전투에서 사망하고
진나라 장수 장한의 공격으로 진승, 오광 등이 차례로 죽자 위기에 몰리게 되었다.
초나라 송의가 최고 사령관을 맡아 지휘하였지만
진군하지 않자 항우는 송의를 죽이고 전면에 나서게 되었다.
항우는 거록의 전투에서 앞장서 진나라 장한의 군사를 격파하고,
진나라 정예병을 패퇴시켰다.
항우는 거록의 전투에서 대대적인 승리를 거두며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보여주며
가장 강력하고 유력한 인물로 떠오르게 되었다.
항우는 연전연승을 거두며 동쪽 성문인 함곡관[函谷關]을 넘어
관중(關中, 현재 산시성 위수)으로 쳐들어갔다.
항우는 진나라 시황제의 무덤을 파괴하며
황궁을 약탈하였고 이것으로 진나라는 멸망하였다.
하지만 항우에 앞서 관중에 들어와 있던 유방(劉邦) 군사의 저항을 받았지만
함곡관에서 이를 물리치고 관중으로 진격했다.
하지만 홍문(鴻門)에서 유방을 만나 그의 사죄를 받고
오히려 그의 계략에 속아 놓아주고 말았다.
항우는 유방을 가소롭게 여기고
진나라 왕 자영(子拏)을 죽이고 도성 함양(咸陽)을 불사른 뒤에
팽성(彭城:徐州)에 도읍하여 스스로 서초(西楚)의 패왕(覇王)이라 칭하였다.
그리고 진나라 멸망을 위해 함께 싸운 장수들의 공로에 따라
분봉하여 18명의 제후를 임명하였다.
이때 유방에게 한중땅을 주고 한왕(漢王)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항우를 따라 전투에서 공훈을 세우고도
봉토를 받지 못한 장수들의 반란이 일어나게 되었다.
항우의 실패 원인은 자신의 최대 정적이었던 유방을 가소롭게 생각하였고
휘하의 제후들에게 봉토를 나누어주면서 공정하게 처리하지 못했다.
이때문에 항우 진영에서 이탈하는 부하들이 생겨나고
이들을 통솔하지 못하여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항우는 유방과 중국 천하를 두고 경쟁하였는데
팽성전투에서 고작 5만 명의 군사로 56만 명의 유방 군사를 무찔렀다.
하지만 수하의 장수들이 항우의 노여움을 두려워한 나머지
한왕 유방에게 투항하는 일이 생겼고
유방은 주변 세력을 연합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이때문에 항우는 점점 고립되기 시작했다.
적과의 전투에서 단 한번도 패하지 않았지만 그의 마지막 전투인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과 명장 한신(韓信)에게 포위되어 자살하였다.
이때 그가 사랑했던 여인 우희(虞姬)와 헤어지는 모습을 두고
패왕별희(覇王別姬)라는 고사가 전해진다.
항우를 두고 후대의 사람들은 항우는 병법에 뛰어나고 힘이 장사였지만
정치적으로는 미숙한 인물로 평가하였다.
우희(虞姬) 역 이의효(李依晓) - 일명 우미인. 항우의 총희
진나라 말기 항우가 한나라 고조의 군사에게 해하(垓下: 安徽省 靈璧縣)에서 포위되어
‘사면초가(四面楚歌)’의 막다른 상황에 다다르자, 최후의 주연을 베풀었다.
이때 시름에 찬 항우에게 ‘대왕의 의기가 다하였으니
천첩이 어찌 살기를 바라겠읍니까’라고 답하고는 자진(自盡)하였다고 한다.
후대 송나라 증공(曾鞏)은 ‘우미인의 피가 변하여
우미인초(虞美人草: 개양귀비)가 되었다’는 시를 남겼다.
범증(范增) 역 손해영(孙海英) - 항우의 모사, “아부(亚父)”로 받들어짐
중국 초나라 항우(項羽)의 모사.
기묘한 계교에 능하여 항우로 하여금 제후의 패자가 되도록 도왔다.
그는 항우에게 한의 패공(沛公 : 고조 高祖)을 죽일 것을 권했으나
오히려 의심을 받고 파면되었으므로
항우를 버리고 팽성(彭城)으로 가서 거기서 사망했다.
후에 항우는 고조에게 패했고,
고조는 그것이 항우가 범증의 말에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회고하였다.
항우의 신하들
용저/용차(龙且) 역 범우림(范雨林) - 항우 휘하 5대 명장 중 하나
계포(季布) 역 이연(李渊) - 항우 휘하 5대 명장 중 하나
종리매(钟离昧) 역 엽붕(叶鹏) - 항우 휘하 5대 명장 중 하나.
한신이 항가군에 있을 때 한신과 친구였음
우자기(虞子期) 역 양재탁(杨梓铎) - 항우의 부장, 우희의 오라비.
항우 휘하 5대 명장 중 하나
환초(桓楚) 역 양광(洋光)- 항우의 장수
사마흔(司马欣) 역 오효동(吴晓东) - 진나라 출신 항우의 장수.
후에 장한, 동예와 함께 진나라 지역을 분봉받아 새왕(塞王)이 됨.
항적(项狄) 역 구운학(邱云鹤) - 항우의 애장,
우희의 아버지를 죽인 원수, 후에 자결함
한생(韩生) 역 지동(池东) - 항우의 모사.
관중을 수도로 삼으라 간했다가 거절당하자
'초나라인은 원숭이다'고 비웃어 노한 항우 손에 죽음
항우의 가족들
항량(项梁) 역 축연평(祝延平) - 항우의 숙부.
용장이었으나 적을 얕보았다가 장한의 손에 죽음.
항백(项伯) 역 허모모(许毛毛) - 항우의 숙부,
유방을 많이 도와줌
항장(项庄) 역 채의달(蔡宜达) - 항우의 동생.
'홍문의 연'에서 칼춤을 추며 유방을 죽이려했다가 항백의 방해로 실패함
항우쪽 기타 인물
초회왕(楚怀王) 역 희신목(姬晨牧)
항우가 세운 초나라의 의제
항우의 손에 왕이 되었다가 항우의 손에 죽음.
송의(宋义) 역 염패(阎沛) - 초회왕의 신하.
거록성 전투 때 진격하지 않고 시간만 끌어 항우의 손에 죽음
송양(宋襄) 역 상열(尚悦) - 초나라 대장군 송의의 아들
진나라
진시황(秦始皇) 역 우화위(于和伟) - 중국의 첫 번째 황제,
진나라 1대 황제, 이름 영정(嬴政)
진이세 호해(秦二世胡亥) 역 우빈(于滨) - 진나라 2대 황제
조고, 이사와 결탁해 왕에 오른 후 허수아비 왕이 되어 지냄.
조고(赵高) 역 허문엄(许文广) - 진나라 환관.
황제보다 더한 권력을 누리며 진나라의 멸망에 일조함. 유공주 손에 죽음.
이사(李斯) 역 이건신(李建新) - 진나라 승상.
진나라의 법을 만든 인물로 충신이었으나 조고에게 넘어가 호해를 왕으로 세움
장한(章邯) 역 조위우(曹卫宇) - 진나라 마지막 명장
항우의 강력한 적이었으나 조고에게 심한 견제를 받아 항우에게 투항함
신희공주(晨曦公主) 역 소사금고왜(小斯琴高娃)
진시황의 장자 부소의 딸. 장한의 아내. 조고를 죽이려다 실패하고 자결함.
숭신(崇信) 역 장신화(张新华) - 조고의 수하.
조고를 배신하고 일인자가 되려다 실패하고 죽음.
부소(扶苏) 역 엽항명(叶项明) - 진시황의 큰아들.
조고가 조작한 진시황의 유언에 따라 자결함.
자영(子婴) 역 왕화룡(王华龙) - 진나라 3대 황제,
유방에게 투항하나 항우 손에 죽음
유공주(幼公主) 역 왕명(王茗) - 자영의 딸.
강단이 있는 성격. 조고를 유인하여 죽이는데 앞장섬
공자고(公子高) 역 라명(罗鸣) - 진시황의 여섯째 아들.
스스로 진시황의 무덤에 생매장됨
이사의 막내아들(李斯幼子) 역 손이진(孙尔辰)
은통(殷通) 역 왕위국(王卫国) - 회계군수.
항량과 함께 진에 모반을 꾀하려다 오히려 항우의 손에 죽음
패현현령(沛县县令) 역 이연승(李燕升)
순우월(淳于越) 역 왕혁(王奕) - 진나라 박사.
이사와 대립함
염락(阎乐) 역 진욱광(陈昱光) - 조고의 사위.
호해를 죽임.
왕리(王离) 역 송래운(宋来运) - 진나라 장수
조취란(赵吹鸾) 역 이의형(李依馨) - 진이세의 후궁
진류현령(陈留县令) 역 동명(懂明)
흑의인(黑衣人) 역 범명(范明)
기타 소국
위표(魏豹) 역 서금강(徐锦江) - 위왕 위구의 동생. 위왕에 오름.
항우에게 군사를 빌려 위 영토를 회복했으나 항우를 배신함
조왕(赵王)
거록성 전투 때 항우의 도움으로 진의 포위에서 벗어남.
후에 대나라 왕이 됐다가 다시 조왕이 됐으나 한신 손에 멸망당함
장이(张耳) 역 장희전(张喜前) - 조나라 승상.
항우에게 조나라 땅을 받고 왕이 되었다가 진여가 공격해오자 유방에게 달아남
진여(陈馀) 역 서봉년(徐丰年) - 조나라 장수.
거록성 전투에 공이 없어 항우에게 세 현만 분봉받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킴
이좌거/이좌차(李左车) 역 석연경(石燕京) - 조나라 장군 출신
전횡(田横) 역 국문학(国文学) - 제왕(齊王), 한신의 참모
창해군(沧海君) 역 용무(龙武)
장량과 진시황을 죽이려 한 용사
그 외
유부인(刘夫人) 역 류경계(柳景溪) - 유방의 어머니
임오(任敖) 역 양서(杨瑞) - 패현의 옥리. 후에 엄아후에 봉해짐
이량(李良) 역 구유위(咎有为) - 조나라 장군
남양군수(南阳守) 역 주의영(周毅英)
소을(小乙) 역 왕성남(汪胜男) - 계도의 친구
첫댓글 학창시절에 초한지 날새가며 읽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 드라마 기대됩니다,
앞으로 2주 동안은 심심치 않게 생겼습니다,
청솔님 감사합니다,
즐감하겠습니다,
네 그러셨군요
저도 지금 다시 보는 중입니다
재미있네요
즐감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