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생각해볼까요.. 짝수 제곱수에 루트가 씌워져 있으면 그냥 루트를 벗기면 되요. 왜냐하면 (-3)의 제곱이나, (+3)의 제곱이나 그 결과는 (+9)로써 같죠. 그러나 홀수 제곱수 같은 경우에는 달라져요. (-3)의 세제곱은 (-27)이고 (+3)의 세제곱은 (+27)이죠. 홀수 제곱 같은경우에는 그 결과가 정확히 달라져요. 즉, 짝수 제곱일 때는 그 결과가 항상 양(+)인 반면에 홀수 제곱인 경우에는 그 결과가 양(+) 또는 음(-)이죠/
참고로, 우리가 흔히 쓰는 루트는 단순한 제곱근입니다. 즉, 루트 안에 있는 숫자가 두제곱일 때 루트가 벗겨지죠. 이 때는 벗겨질때 그 결과가 저절로 양(+)이 되죠. 하지만 세제곱근 같은 경우에는 루트안에 세제곱이 되어야 루트를 벗겨 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루트안의 수가 세제곱 했을때 음(-)이면 루트를 벗겨 낼 때 그 결과가 음(-)이고, 루트안의 수가 세제곱 했을때 양(+)이면 루트를 벗겨 낼 때 그 결과가 양 (+)이겠죠.
첫댓글 음.. 그니깐 제곱근 x면 +근만 써야되고요 x의 제곱근은 +-다 써야 되요 여기서 루트는 제곱근이랑 같은 말입니다
쉽게 생각해볼까요.. 짝수 제곱수에 루트가 씌워져 있으면 그냥 루트를 벗기면 되요. 왜냐하면 (-3)의 제곱이나, (+3)의 제곱이나 그 결과는 (+9)로써 같죠. 그러나 홀수 제곱수 같은 경우에는 달라져요. (-3)의 세제곱은 (-27)이고 (+3)의 세제곱은 (+27)이죠. 홀수 제곱 같은경우에는 그 결과가 정확히 달라져요. 즉, 짝수 제곱일 때는 그 결과가 항상 양(+)인 반면에 홀수 제곱인 경우에는 그 결과가 양(+) 또는 음(-)이죠/
답변 ㄳ합니다 그럼 √25는 그냥 5로 쓰면 되겠네요 ^^
참고로, 우리가 흔히 쓰는 루트는 단순한 제곱근입니다. 즉, 루트 안에 있는 숫자가 두제곱일 때 루트가 벗겨지죠. 이 때는 벗겨질때 그 결과가 저절로 양(+)이 되죠. 하지만 세제곱근 같은 경우에는 루트안에 세제곱이 되어야 루트를 벗겨 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루트안의 수가 세제곱 했을때 음(-)이면 루트를 벗겨 낼 때 그 결과가 음(-)이고, 루트안의 수가 세제곱 했을때 양(+)이면 루트를 벗겨 낼 때 그 결과가 양 (+)이겠죠.
결국 "짝수 제곱근이냐, 홀수 제곱근이냐"가 관건이네요. 짝수 제곱근이라면 그 결과가 항상 양 (+)인 반면에, 홀수 제곱근이면 그결과가 양 (+)또는 음(-)이겠네요.
쉽게 애기할께요.근호 안에 있는 수가 확실히 알때 ,즉 위 예와같이 양수일때는 그냥 양수로 모를때 위에 있는것처럼 미지수 포함할때는 양수인지 음수인지 모르니까 양부호 다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