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용어, 특히 직무에 관해서는 너무나 생소한 단어들이 많습니다. 특히 군대를 전혀 모르는 여자들이 보기엔 다 비슷한 말같기도 하고 외계어 같기도 하니까요. 그중에서 여자 대학생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직무인 상근예비역과 보충역, 그리고 예비역에 대해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상근예비역. 줄여서 '상근'이라고 불리는 상근예비역은 현역판정 대상자 중 선발순위단계를 거쳐서 무작위로 선출됩니다. 정말 운이 좋아야 된다고..;; 상근예비역은 막사와 기타 보급품이 필요없게끔 출퇴근이 가능, 미미하지만 국방비 절약 효과가 있는 제도입니다. 상근이면서 예비역에도 포함된 애매모호한.. 여자들은 이해하기 힘든 직급이기도 해요. 군소요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위주로 선발되기 때문에 무작위 선발이라고 해서 누구나 다 갈 수 있는건 아니랍니다. 즉 본인이 사는 동네가 상근예비역 선발 지역에 포함되었을 경우에 해당되는 얘기죠.^^
현역 복무기간을 다 마치지 아니하고 예비역에 편입되는 상근예비역은 예비역이 아니랍니다. 우리가 잘아는 한가인 남편, '연정훈'씨도 상근예비역 출신이라고 하네요~!
보충역. 보충역은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공익근무요원이 대표적입니다. 요즘엔 다시 명칭이 바뀌어 '사회복무요원'으로 불리고 있죠. 아! 사회복무요원은 국방부가 아닌 병무청 소속인거 다들 아시죠?^^ 보충역의 범위는 너무 광범위 해서 일일이 나열하기 힘들정도에요. 위에서 말했던 사회복무요원을 포함해 징병검사를 받아 현역복무를 할 수 있다고 판정된 사람 중에서 병력 수급 사정에 의해 현역병 입영대상으로 결정되지 아니한 사람 + 징병전담의사, 국제협력의사, 공익법무관, 전문연구요원, 산업기능요원 등이 보충역에 해당됩니다.
보통 신체등위 4~6급 정도가 보충역 우선 편입 대상자라고 합니다. 국가유공자의 경우 신병교육기간4주를 포함, 6개월 간 복무후 소집해제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예비역!! 대망의 예비역입니다. 사전상으로, 현역을 마친 자가 복무하게 되는 병역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군복무를 마친 사람이라면전역과 동시에 예비역에 편입, 다시 병무청 관리하에 들어옵니다. 예비역 기간은 전역 후 8년간 지속되며 이후에는 민방위군에 편입돼 만 40세까지 의무를 다하게 되는거죠. 흔히 예비군이라고도 부르는데 그 이유가 전쟁이나면 모두 정식 군인 모드로 돌입하기 때문이에요. 예비군은 크게 세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예비군과 향토예비군, 그리고 학생예비군! 예비군은 동원지정자고, 5~8년차 예비군을 동원미지정자로 분류하죠. 동원지정자는 소속된 군부대에 입소해 숙식을 하며 2박3일간(28시간)훈련을 받습니다. 보통 동원지정자는 1~4년차 예비군 중에서 현역제대자 위주로 선발합니다. 동원미지정자의 경우 거주 지역에서 향방작계 훈련을 2박3일간 출퇴근하며 받게됩니다. 또 학생예비군은 대학에서 학업을 지속하는 대학생들이 속하게 되는 거랍니다.
자, 이제 각각의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셨나요? 군대를 잘 모른다고 어려워하지 말고, 조금씩 용어를 알아가면 나름 쏠쏠한 재미를 느낀답니다.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모든 군인들! 화이팅!! <취재: 청춘예찬 정아람 대학생기자>
|
출처: 청춘예찬 원문보기 글쓴이: 굳건이
첫댓글 몇가지 쪼금 보충이 필요할듯~^^
설명 잘해주셨네요 보충 설명 하실분 은 안계신지요.?
설명 잘 들었습니다..전 개인적으로 보충역이 제일 부럽던데요,,,
제가 근무하는 평생학습관 옆 건물의 보건소에 큰아들 친구가 공익근무하고 있답니다...
우리 과에도 아들같은 공익근무요원들이 두명 있구요,,,가끔씩은 우리아들들도 이런곳에서 군 복무를 했으면 하고
기대했던 적이 있었는데 지금은 아닙니다...그 아들들도 나름 고민이 많다고 이야길 합니다..
예비역들 중에서도 꼭 동원 지정자는 아닙니다
상근예비역 선발기준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