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053
통계청 발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8%로 둔화
사과 56.8%, 배 41.2% 등 과일류 폭등세 이어져
물가상승세 둔화 견인해 온 국제유가도 상승 전환
물가안정세 지속 외치던 당국도 불확실성 내비쳐
최 부총리 "2~3월 물가 3% 안팎 재상승 가능성"
소비자물가 동향 (2024년 1월) 자료 : 통계청
정부는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떨어지며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설 명절을 앞두고 제수용 과일값이 최고 60% 가까이 치솟는 등 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비상 상황이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15(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8%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7월 2.4% 이후 6개월 만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 자체도 석 달째 이어졌다. 지난해 10월 3.8%까지 올랐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월 3.3%, 12월 3.2%에 이어 지난달까지 낮아졌다.
품목별로 물가 상승세 둔화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석유류다. 석유류는 1년 전보다 5.0%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1%p 떨어뜨렸다. 반면 농산물은 15.4% 오르면서 상승률을 0.59%p 끌어올렸다. 전달(15.7%)에 이어 두 달 연속 15%대 상승이다.
소비자물가지수 주요 등락률 추이 (2024년 1월) 자료 : 통계청
외식 물가는 전년 동월보다 4.3% 상승해 0.60%p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상승 폭은 2021년 11월(4.1%) 이후 가장 낮았다. 가공식품 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3.2% 상승했지만, 전달보다는 0.4% 내렸다. 주세 기준판매 비율 제도 도입으로 소주·맥주 유통 가격이 내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에 그쳤다. 상승 폭으로는 2021년 11월 2.4% 이후 26개월 만에 최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5% 올랐다. 이 지수도 2021년 12월 2.2% 상승한 이후 25개월 만에 최저치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3.4% 상승했다. 작년 10월 4.5%를 시작으로 11월 3.9%, 12월 3.7%를 기록하며 둔화하는 흐름이다.
기획재정부는 "석유류와 개인 서비스, 가공식품 등의 가격상승률이 둔화하면서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지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소비자물가 추이 (2024년 1월)
하지만 정부의 이같은 진단은 실생활에서 느끼는 체감 물가와는 너무 판이하다. 지난해 가을부터 시작된 과일 가격 폭등 추세는 가라앉을 기미조차 없다. 오히려 설 명절을 앞두고 더욱 기승을 부리는 추세다.
이날 통계청 발표로도 지난달 사과값은 전년 동월 대비 56.8%나 올랐다. 지난해 가을 작황 부진으로 사과값은 9월 56.3%, 10월 74.7%까지 치솟았다가 11월 56.8%, 12월 54.4%에 이어 지난달에도 내릴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 사과뿐만 아니다. 지난달 배 41.2%, 감 39.7%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과일 중 상대적으로 덜 올랐다는 밤도 7.3%가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8%)의 2.6배나 된다.
일부 과일 종류만 이처럼 폭등한 게 아니다.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4.4% 올랐다. 신선 과실은 28.5% 올라 2011년 1월(31.9%) 이후 13년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선 채소와 신선 어개도 각각 8.9%, 2.0% 올랐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난해 사과 배 등의 작황이 좋지 않았던 것과 귤 등에 대한 높은 수요가 맞물리면서 과실 물가가 수개월째 높게 유지되고 있다"며 "향후에도 기후 등 불확실한 요인들이 있다"고 전망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4.2.1. 연합뉴스
첫댓글 마트가서 장보는데 지이이인짜 넘 비싸ㅜㅜ
오이 2개 4천원 애호박 2500원 당근 1500원 사과가 한알에 3천원 귤도 미치게 비쌈 ㅋㅋㅋ..... 냉동식품만 잔뜩 사게되더라...(냉동식품도 비싸지만^^!)
살기가 힘들다고
븅ㅋㅋ
사과 4알에 만원이 말이됨? ㅋㅋㅋㅋㅋㅋㅋㅋ아니 언론이 앓는소리 안하고 조용한게 너무 웃겨
오이4개에 7천얼마예요...ㅁㅊ
언론을 어케 통제하면 이렇게까지 국민들 바보로 만들수가있음
애호박 2990원 대파 한단에 4970원...요리를 못하겠어......진짜 레토르트식품만 찾게돼...유통기한 기니까...
애호박 하나 2990원
이 겨울에 귤도 박스당 3만원이 넘는데 이제 다 죽자는거지
진짜 너무하다
주먹만한 감자 두개삿는데 3300원이더라 이게맞냐 물가가
진짜 개미쳤다고 신선품목 못먹어 시발아 윤석열아
물가 계산하는 품목들 바꾼거 아님??
어제 애호박 사러갓는데 하나에 3400원이더라 ; 우리지역 안그래도 물가 높다고 하는데 좀 ㅠ 며칠전에 2800원 보고도 놀랐는데 3400원이 말이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