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파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
1. 동파사고의 진행과정 |
가. 증발기 냉수코일 내부의 냉수동결로 동관이 파단되어 냉수가 본체로유입되어 본체가 변형. |
나. 증발기 냉수 동관이 0 ℃ 이하로 결빙됨. |
다. 증발기 내부 압력이 4.58 mmHg abs 이하상태로 유지됨. |
(참조 : 내부압력이 4.58 mmHg abs 일때 증발온도는 0 ℃ 임. |
라. 상기압력 상태에서 동관에 떨어진 냉매의 증발로 동파 빌생. |
마. 냉매온도는 증발기 내부압력에 따른 포화온도를 나타냄으로 주의 |
2. 증발기 내부압력이 4.58 mmHg abs 이하로 내려가는 원인 |
가. 낮은 냉각수 입구온도 |
* 냉각수 입구온도 26℃ 이하 |
용액농도 62 wt% , 온도 48 ℃ 일때 6.5mmHg abs |
용액농도 58 wt% , 온도 40 ℃ 일때 6.5mmHg abs |
* 냉각탑 팬 제어온도 확인 필히 할 것 (냉각수 입구 28~32℃) |
냉방운전중 냉각수 입구온도가 28℃ 이상을 확인할 것 |
나. 진공펌프로 수동추기하는 경우 |
* 증발기 내부압력이 6.54mmHg abs 이하에서 불응축가스량 3cc/min 이하이면 진공펌프 |
정지할 것 |
*흡수기 마노메타 지시압력이 6mmHg abs 이상임을 확인. |
증발기 응축 냉매 입구관의 온도가 5℃ 이상임을 확인. |
다. 냉수flow량이 규정치보다 적거나 흐르지 않는 경우 |
*초기 시운전시 유량확인 및 입출구측에 압력 MARKING STICKER 부착 |
*냉수출구온도와 냉매온도가 2.5℃ 이상이면 반드시 원인파악후 조치하고 운전할 것 |
(냉수출구온도 10℃ 에서 적용) |
라. 냉방부하가 급속히 감소하는 경우 |
*공조기 2-WAY 밸브의 CLOSE로 차압밸브가 OPEN되어 관수량이 급속히 감소되어 냉매, |
냉수온도가 급강하함. |
*외기온도가 낮은 경우 반드시 입출구압력 확인할 것 |
공조기 냉수밸브가 CLOSE되면 입출구 압력이 변화됨으로 냉매 냉수출구온도 변화를 주의할 것 |
3. 냉매과냉 동작시 조치방법 |
가. 냉매펌프 정지, 용액펌프 정지 상태 |
나. 냉수펌프 통수확인 |
다. 냉각수 펌프 정지 |
라. 냉매펌프 운전스위치를 정지 |
마. 고온재생기 온도 90℃ 이하, 열교환기 온도 76℃ 이하일때 용액펌프도 정지, 용액펌프는 |
간헐적으로 냉매온도확인 후 운전. 본체에서 STEAM HAMMERING 및 각 부위에서 정상이면 |
용액펌프 정지할 것 |
바. 냉매온도 7℃, 냉수출구온도 9℃이상시 재기동 및 원인파악 |
*가능한 공조기 전체를 운전하고 자동으로 밸브가 CLOSE되어 있으면 수동 OPEN 하여 |
냉수, 냉매온도를 상승시킬 것 |
*냉매과냉 조치후에 냉수출구온도가 과냉동작시보다 7℃이상 상승한 것을 확인하고 |
냉수펌프 정지 후 작업종료할 것 |
*운전중 긴급시에는 냉매 증기밸브를 천천히 OPEN하여 증발기 압력을 상승시킬수 있으나 |
압력차로 인한 충격이 없을 것 |
4. 동파발생시 응급조치 |
가. 동파발생판단 |
_본체 내부로 냉수가 유입되어 각 부위온도가 내려가고 |
_전체 SIGHT GLASS로 냉수가 차오르며(특히 저,고온재생기) |
_고온재생기 압력계가 0kg/cm2 이상이면 |
나. 응급대책 |
_냉수펌프 정지 |
_증발기 냉수 입출구 CLOSE |
_증발기 상하부 에어벤트 및 드레인 밸브를 열어 증발기 내부 냉수를 드레인 후 업체에 연락 |
정전시 대책 요령 |
1.냉방운전중 정전된 경우(단시간 정전, 30분 이내) |
_ 운전스위치 정지위치로한다. |
_ 정전 복귀 후 용액펌프만을 약30초간 수동으로 작동시킨다. |
_ 수동개도 설정용 볼륨을 저부하 상태로 조정한 다음 정상적으로 가동한다. |
_ 약 20분간 저부하상태로 운전하면서 기계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
_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수동 개도 설정용 볼륨을 정상상태로 조정한다. |
_ 이상이 있을 경우 업체에 연락한다. |
*정전이 장시간일 경우에는 업체에 연락한다. |
2. 난방운전중 정전된 경우 |
_ 운전스위치 정지위치로한다. |
_ 정전 복귀 후 1,2분이 경과한 후에 재기동한다. |
|
결정 발생시 대책 |
1. 결정의 발생 |
가. 정상운전시보다 냉동능력이 저하한다. |
나. 흡수기 액면이 보이지 않는다. |
다. 결정이 발생한 정도에 따라 상이하나 결정이 발생한 부위의 앞단은 용액온도가 상승하나 이후로는 |
점차 내려간다. |
라. 용액펌프의 수격현상 및 OVER LOAD RELAY가 작동한다. |
마. 심한 경우에는 고온재생기 온도, 압력이 상승하여 고압스위치가 작동한다. |
바. 용액펌프 토출측의 압력이 규정압력보다 떨어져 유량이 감소하고 배관소음이 발생한다. |
사. 용액펌프 정지후 SAMPLING 밸브에 연성계를 달아 대기압 정도까지 도달하면 펌프주변까지 |
결정이 발생한 것이다. |
진공압력을 지시하고 있어도 정상적으로 펌프가 회전하지 않으면 펌프주변에서 일부결정이 발생해 |
있고 축수메탈의 마모등으로 ROTOR와 STATOR간 간섭이 발생한 것이다. |
2. 결정발생원인 |
가. 냉각수온도의 급격한 저하 또는 고온 |
나. 기내진공도 상승 - 외부공기 누입 |
- 불응축 가스 생성 |
- 추기부족 |
다. 운전중 정전이나 비상정지후 희석운전없이 정지한 경우 |
라. 정지후 희석운전이 불충분한 경우 |
마. 연료의 공급량 과다 |
바. 용액펌프 이상 또는 용액순환량이 부족하여 용액농도 상승 |
사. 옥틸알콜의 부족 |
3. 결정해정 작업 |
일반적으로 결정을 해정하는 작업은 발생정도에 따라 저부하운전, 냉매투입, 토오치나 증기로 가열 |
하는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해정작업이 올바르지 못하면 용액관의 파공, 결정부위의 확대등의 |
중대한 사고가 발생할수 있다. |
가. 일반적인 방법 |
1) 용액농도를 희석하기 위해 증발기 냉매를 전량 흡수기로 BLOW DOWN하고 냉맾머프를 정지한다. |
2) 고온재생기의 냉매증기 출구측에 밸브가 부착된 것은 CLOSE한다. |
3) 냉각수펌프를 정지시킨다. |
4) 강제추기를 실시한다. |
5) 10분 간격으로 저부하운전을 반복하면서 고온재생기의 용액온도, 압력을 확인하고 입출구온도를 |
관찰한다. |
이때의 고온재생기의 상태는 300mmHg , 100℃이하를 유지시켜야 한다. |
6) 용액 펌프는 희용액관으로 고온의 농용액이 흐르는 것을 확인하여 펌프흡입측의 유량이 확보 |
되면 재기동한다. |
7) 상기작업을 계속 반복한다. |
*위의 작업을 반복해도 흡수기로 용액이 돌아오지 않으면 다음과같이 한다. |
1) 열교환기 농용액측으로 냉매를 천천히 투입한다. |
2) 토오치나 증기로써 고온재생기 출구측배관에서부터 열교환기까지 중,농용액계통을 가열한다. |
3) 추기기계통의 배관 결정상태도 확인한다. |
4) 10분간격으로 저부하운전을 반복하면서 기계의 상태를 살핀다. |
주의) 해정작업중에는 절대 고연소운전을 하지말 것 |
플랜지부의 가스켓 및 펌프내부보호를 위하여 직접 가열금지 |
이래 조건으로 만드시면 되겠네요
냉온수유니트 운전기록표 | ||||||
현 장 명 |
|
형 식 |
||||
제조번호 |
|
일 자 |
년 월 일 | |||
항 목 |
구 분 |
단 위 |
DATE 1 |
DATE 2 |
DATE 3 | |
냉동용량 |
USRT |
시간 |
||||
연료 |
입구압력 |
mmAq |
||||
소비량 |
N m3/h |
|||||
배기가스온도 |
℃ |
|||||
냉수(온수) |
입구온도 |
℃ |
||||
출구온도 |
℃ |
|||||
냉각수 |
입구온도 |
℃ |
||||
출구온도 |
℃ |
|||||
순환 용액 온도 |
고온재생기입구온도 |
℃ |
||||
고온재생기출구온도 |
℃ |
|||||
저온재생기입구온도 |
℃ |
|||||
저온재생기출구온도 |
℃ |
|||||
흡수기입구온도 |
℃ |
|||||
흡수기출구온도 |
℃ |
|||||
냉매탱크온도 |
℃ |
|||||
각 부 위 액 면 |
고온재생기액면 |
% |
||||
저온재생기액면 |
% |
|||||
흡수기액면 |
% |
|||||
냉매탱크액면 |
% |
|||||
전 원 전 압 |
V |
|||||
펌 프 |
용액펌프1 |
전 류 |
A |
|||
절연저항 |
MΩ |
|||||
용액펌프2 |
전 류 |
A |
||||
절연저항 |
MΩ |
|||||
냉매펌프 |
전 류 |
A |
||||
절연저항 |
MΩ |
|||||
송풍기 |
전 류 |
A |
||||
타 이 머 |
6 2 D T (희석) |
MIN |
||||
6 9 W C 1 T (냉온수단수) |
SEC |
|||||
6 2 T T (고온재생기레벨) |
SEC |
|||||
P V T (파이롯트) |
SEC |
|||||
3 3 P U T (추기) |
MIN |
|||||
보호회로 |
2 6 S H 1 (용액고온) |
|
/ | / | / | |
2 6 S H 2 (희석) |
|
/ | / | / | ||
2 6 S H 3 (배기가스고온) |
|
/ | / | / | ||
2 3 A S 1 (냉수발정) |
|
/ | / | / | ||
2 3 A S 2 (온수발정) |
|
/ | / | / | ||
2 6 R L (냉매과냉) |
|
/ | / | / | ||
6 3 S H 1 (고온재생기고압) |
|
/ | / | / | ||
6 9 W C (냉수단수) |
|
/ | / | / | ||
6 3 S H 3 (부하제한) |
|
/ | / | / | ||
3 3 S L (액면저하) |
|
|||||
기 록 자 : 인 담 당 자 : 인 | ||||||
(주) 한 영 공 조 엔 지 니 어 링 |
진공 펌프 관리 요령
* 고장진단법 *
증 상 |
검 사 할 사 항 |
조 치 |
모타는 회전하는 데 펌프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
|
·V벨트 장력 상태는 정상입니까? ·베어링이 파손되어 있지 않습니까? ·펌프내에 이물질이 들어가 부착되어 있지 않습니까? |
·V벨트 장력을 바로 잡아줍니다. ·베어링을 교환합니다. ·분해해서 수리합니다. |
소음이 나고 열이 갑자기 높아지는 경우(실온+40℃이상)
|
·오일이 부족하지 않습니까? ·오일이 변색되어 있지 않습니까? ·급유관이 막혀 있지 않습니까? ·배기밸브가 파손되어 배기밸브용 스프링이 구부러지지 않았습니까?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습니까? |
·오일을 보급합니다. ·오일을 교환합니다. ·급유관을 청소합니다. ·분해해서 수리합니다.
|
특히 베아링에서 소음이 나고 열이 나는 경우 |
·베아링이 파손되어 있지 않습니까? ·베아링부에 이물질이 들어가지는 안았습니까? |
·베어링부를 분해해 베아링을 교환합니다. ·분해해서 수리합니다. |
특히 풀리부에서 열이 나는 경우 배기 밸브 에서 소음이 나고 열이 나는 경우 |
·V벨트장력 및 평행도는 정상입까?
|
·V벨트의 장력을 바로 잡습니다.
|
진공도가 저하되는 경우
|
·오일이 부족하지 않습니까? ·장치중에 새는 곳은 있지 않습니까? ·오일에 수분이 들어 있지 않습니까? ·급유관이 막혀 있지 않습니까? ·배기밸브가 파손되지 않았습니까? ·베아링부는 새지 않습니까? |
·오일을 보급합니다. ·흡입구 진공밸브를 닫고 펌프의 진공도를 확인 하고 새는 곳을 수리합니다. ·오일을 교환합니다. ·급유관을 청소합니다. ·배기밸브를 교환합니다. ·베아링부를 분해해 오일 시일을 교환합니다. |
1. 시운전시 주의사항
(가) 가스바라스트 밸브를 닫습니다.
(나) 추기펌프의 고무호스의 한쪽을 풀어내고, 풀리를 화전방향(풀리쪽에서 보아 우회전)으로 2∼3회 손으로 돌린다.
실린더 내에는 기름이 충만되어 있으므로 처음 반회전∼1회전은 꽤 무거운 것 같이 느껴지나, 그후에는 가볍게 됩니다.
너무 무거워 돌리기 어렵거나, 상당히 잡음이 나는 경우는, 그 상태로 돌리지 말고, 당사에 연락하십시오.
다른 이상이 없으면 고무호스를 연결시킵니다.
(다) 모터쪽으로의 전기배선을 합니다.
(라) 전원을 접속시켜 모터를 돌려서 회전방향을 확인합니다.
회전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된대로 풀리쪽에서 보아 우회전(시계바늘과 같은 방향)입니다.
(마) V벨트를 특히 팽팽하지 않도록 주의해서 겁니다. 팽팽한 정도는 대체적인 느낌으로 V벨트의 중앙부를 손으로 밀어보아
1∼15㎝처지는 정도 또는 V벨트의 대략적인 중앙을 손가락으로 잡고 비틀어 보아서 90°정도 비틀수 있는 정도이다.
V벨트의 팽팽한 정도의 조정은 모터 및 모터용 슬라이드베이스로 행합니다.
(바) 벨트카바를 붙입니다.
(사) 운전시에 기름양이 오일게이지 중앙부 위치에 있는가를 확인합니다.
(아) 이상한 진동, 소음이 나고있지 않는가를 확인합니다.
2. 사용상 주의사항
(가) 오일게이지 중앙의 붉은점까지 유면이 올라가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만일 부족할때는 오일을 보급할 것, 또한 오일이
황색으로 변색되어 있거나, 희게 혼탁되어 있을 경우는 오일에 수분이 섞여있는 것이므로 오일 교환을 해야합니다.
(나) 오일에 수분등 응축성물질이 섞여 있거나, 오일을 뽑아 보아 심하게 변색되어 있으면 오일을 교환해야 합니다.
(다) 펌프오일은 당사지정의 오일과 동등이상품을 사용하여 주십시오.
(라) 때때로 V벨트의 인장정도를 체크하여 주십시오. 특히 V벨트가 새것일때는 늘어나는 정도가 심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마) 펌프이 표면온도는 사용상태에 따라 크게 변하지만, 베어링 부분에서 40℃∼60℃ 배기관 부분에서 90℃∼100℃정도로
되는때가 있습니다.
(바) 한냉지대에서는 진공배기를 행하기 전에 10분간 정도 무부하운전(워밍엎)을 하여 주십시요.
3. 오 일
(1) 오일교환
유면계 및 오일 배기구의 오일상태 확인으로 혼탁한 정도를 측정하여 (찌꺼기, 수분, 색상 등) 전량을 교환 하십시오.
일일점검 사항으로 가동전 오일의 량이 적당한가를 확인하고 부족할 경우는 보충 하십시오.
(2) 교환방법
전원 OFF한 후 1∼2ℓ 정도의 용기를 오일배기구 밑에 설치하고 오일배기구를 좌측으로 돌려 펌프내의 오일을 빼내는 동안
손으로 펌프를 수회 회전시켜 내부의 오일을 동시에 배출 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이때 흡입구를 깨끗한 오일을 공급
하면서 펌프를 공회전시키면 실린더내의 오물 방출에 효과적입니다.)
(3) 참고사항
기계동작 중 급유하지 마십시오. 펌프내 진공이 파괴되지 않았을 경우나 장기간 보관시 진공유가 펌프내에 흡입되어
유면이 규정이하고 떨어지는 상태에서는 보충할 필요가 없습니다.
4. 가스 바라스트법
(가) 가스바라스트법이란
오일회전 진공펌프로 수증기를 배기할 때 수증기의 압력이 일정치를 초과하면 수증기는 펌프내에서 응축하여 오일속에
혼입됩니다. 이때, 도달 압력이나 배기속도가 저하하여, 오일씨일이나 베어링 등을 손상시키고, 펌프고장의 원인이 될
경우가 있습니다. 펌프의 압축과정에서 수증기가 포화증기압에 도달하면 응축을 시작합니다.
이때, 그 압축과정에서 펌프속에 공기를 유입시켜주면 수증기의 분압이 포화증기압에 도달하기 전에 실린더내의 공기와
수증기는 함께 펌프밖으로 배출되는데 이것이 가스바라스트법입니다.
(나) 가스바라스트형으로서의 사용시의 주의
가스바라스트형은 응축성가스의 배기의 경우 실린더내에서 압축되어 1기압에 도달하 기전에 내부에서 약화하여 액체가
되므로, 배출된 오일중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실린더 정면에 밸브를 붙여 외기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실린더
내에 넣어 응축성가스와 혼합시켜 가스의 분압이 액화하는 한계압력(즉, 펌프온도에 있어서의 가스의 포화증기압) 보다
높지 않게 하여 배출하는 형식의 펌프입니다.
(다) 언제 가스바라스트 밸브를 열것인가?
(1) 수증기를 배기할 경우
앞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가스바라스트는 수증기를 배기할 때 그 수증기가 응축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펌프의 실린
더내에 공기를 도입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수증기를 배기할 경우는, 반드시 가스바라스트밸브를 연상태에서 실시하
여 주십시오. 또한 진공펌프 운전후 정지하기전에 본체의 밸브를 잠그고 가스발라스트 밸브를 열고 5분이상 운전후 정지
하십시오. 오일이 OIL SEPARATOR 로 역류될 수가 있습니다.
(2) 오일중에 물이 고였을 경우
가스바라스트로는 수증기를 처리할 능력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 한계를 넘어선 압력의 수증기를 흡입하면 펌프내의 물로
오염되어 동시에 오일중에 물이 혼합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흡입밸브를 닫고, 가스바라스트 밸브를 열어 1∼2시간
공회전(부무하운전)하여 주십시오. 이 방법으로 도달압력이 개선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1) 가스바라스트를 불필요한 때에 사용하면, 도달압력이나 배기속도가 다소 떨어져 펌프의 배기관과 온도가 높아질 뿐더러,
모터 자체의 부하도 커집니다. 따라서 필요이상의 사용은 피하도록 하여 주십시요.
첫댓글 자료 정말 고맙습니다
자료 정말 고맙습니다
자료 감사함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