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일일 경제 뉴스
- 1.21(목) -
분 류 |
핵심 내용 |
비 고 |
국내 동향 |
1. 국토자원부, 부동산 등기 임시 실시세칙 발표(북경청년보, 1.21)
ㅇ 1.20(수) 국토자원부는 <부동산 등기 잠행 조례 실시세칙(이하 ‘실시세칙’)>을 발표, 각급 부동산 등기기관이 부동산 등기 자료 관리제도와 정보 보호제도를 운영하도록 규정, 많은 시민이 우려하던 부동산 등기 정보* 유출 방지 조항을 마련
- 부동산 거래, 상속, 소송 등을 위해 부동산 등기 정보 조회를 희망할 경우, ‘이해관계 증명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하며, 관련 국가기관이 부동산 등기 정보를 조회할 경우 협조 자료, 직원 증명서 등을 제출
* 부동산 등기 자료 포함 내용 - 부동산 등기부 등 부동산 등기 결과 - 부동산 등기 초기 제출 자료(등기 신청서, 신청인 신원 자료, 부동산 권리 출처, 등기 사유, 부동산 권리 조사 결과) - 부동산 등기 기관의 심사 자료
ㅇ 또한 처음 부동산 등기 절차를 진행시 부동산 주변 도로, 녹지, 기타 공공시설, 공용시설 등도 ‘부동산 소유권자 공유시설’로 함께 등록하도록 규정, 차후 부동산 소유권 양도·거래 시 부동산 주변시설 관련 권리도 양도·거래할 수 있도록 규정
ㅇ 이 외에도, 부동산 등기, 부동산 저당권 등기 및 부동산 상실 신고 시 부동산 등록기관은 신청인, 위탁 대리인 등의 신원자료 및 신청 자료 심사뿐만 아니라 실자조사를 통해 부동산 위치, 건축 현황, 부동산 존재 여부 등을 확인할 계획
2. 상무부, 정례브리핑에서 지난해 대외무역 통계에 대한 설명 (인민일보, ‘16.1.21)
ㅇ 상무부 선단양 대변인은 1.20(수) 개최된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지난해 대외무역 사상 흔치 않은 어려운 시기를 지나왔으며, 금년 1월 대외무역 역시 전년동기대비 소폭 감소할 가능성 있다고 언급
※ 중국해관총서 통계에 따르면, ‘15년 중국 대외무역 총액은 3조 9,587억불(수출 2조 2,766억불, 수입 1조 6,821억불, 무역수지흑자 5,945억불)로 전년대비 8.0% 하락함. - 작년 중국 대외무역 규모 감소는 △가공무역 수출입 축소, △전통적인 노동집약형 제품의 수출 하락,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가에 대한 수출 하락, △민영기업을 제외한 여타 유형의 기업(국유기업, 외자기업, 주식제기업 등)의 실적 부진 때문
ㅇ 한편, 지난해 12월 수출·수입의 동시 대폭 증가 원인 관련, 통계수치의 오류가 아니라 일부 기업이 연말 전에 서둘러 수출입 물량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해명
ㅇ 선단양 대변인은 중국정부가 지난해부터 시행하고 있는 대외무역 촉진정책이 연초 이후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수출구조도 양호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으므로 금년 대외무역 상황은 비관적이지 않다고 강조
3. 홍콩 달러 가치·주식시장 하락세, 역외 투기자본 개입 가능성 부각 (매일경제신문, 1.21)
ㅇ 1.20(수) 달러 대 홍콩 달러 환율은 1달러 당 7.8242 홍콩 달러로 지난 8년간 최저치를, 홍콩 주가지수인 항생지수(恒生指數)는 18,834 포인트로 지난 3년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통화 가치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
ㅇ 이에 대해, 1.20(수) 홍콩금융관리국(香港金管局) 천더린(陳德霖) 총재는 일부 투자자가 홍콩 달러를 헤지(Hedge) 수단으로 이용하거나 혹은 홍콩 달러에 투기하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발표
ㅇ 홍콩 달러 가치 하락 관련, 싱예증권(興業證券) 측은 달러 가치 상승 요인 외에도 중국 중앙은행이 발표한 역외 은행의 중국 본토 위안화 예금에 대한 지급준비금 징수 관련 조치로, 위안화 투기 자본이 홍콩 달러로 옮겨갔기 때문이라고 분석
- 1.17(일) 중앙은행은 역외 은행의 중국 본토 내 예치 위안화 예금에 대해 중국 본토 은행과 동일한 수준의 지급준비금을 징수할 계획임을 발표
- 이에 따라 역외 위안화 현물 규모가 감소, 환차익을 노리는 투기자본의 위안화 투기 심리가 줄어들면서 위안화 환율은 안정을 찾았으나, 홍콩 달러에 대한 투기가 증가, 가치가 대폭 하락했다고 분석
ㅇ 홍콩진리펑(香港金利豊) 증권 황더지(黃德幾) 연구부 이사는 홍콩 주식시장과 환율시장은 상호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다며, 최근 홍콩 달러 가치 하락으로 해외 투자기관이 홍콩 주식시장을 저평가함에 따라 홍콩 주가도 하락한 것으로 분석
ㅇ 또한 동인은 홍콩은 전 세계에 개방되어 있는 시장인 만큼, 국제헤지펀드들이 투기 기회를 보고 홍콩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98년 외환위기 재현 방지를 위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 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