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좋은 주말의 아침입니다. 교량(橋梁)교각 상부에는 교량받침 등이 있는데 이것이 교좌장치(橋座裝置)입니다. 이 시설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량의 기본적인 구조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교량은 상부구조, 하부구조와 부대시설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구조는 교대나 교각 위에 있는 구조물로써 상부구조의 형식에 따라 교량의 종류가 결정되고 하부구조는 상부구조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교대와 교각과 같은 구조물(構造物)입니다. 그리고 부대시설(附帶施設)은 교량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구성요소들을 말합니다.
오늘의 주제인 교좌장치(교량받침)은 교량의 안전(安全)과 기능성(機能性)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접점(接點)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장치로써 완충기능을 통해 상부구조의 하중이 하부구조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신축(伸縮)을 흡수하여 교량의 변위(變位)가 교각이나 교대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이러한 교좌장치는 탄성(彈性)을 이용하여 교량의 움직임을 관리하는 탄성받침, 교량의 하중을 분산(分散)시키는 포트받침, 회전 및 수평 이동을 허용(許容)하는 디스크받침, 다양한 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스페리컬 받침과 진동과 충격을 감소(減少)시키는 고감쇠 고무받침(HDBR) 등이 있고 설치 간 교량상판으로부터 우수, 염화칼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강재받침의 부식(腐蝕)과 구성재료의 내구성 저하를 예방하는 신축이음부 누수방지를 완벽하게 해줘야 하고 교좌받침과 콘크리트와의 이격거리(離隔距離)가 부족한 경우 콘크리트 가장자리가 파손(破損)되지 않도록 시공오차(施工誤差)를 최소화하고 설계온도를 고려한 시공으로 부속품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해야 합니다.
시공 후 이러한 교좌장치를 정기적인 유지관리에 많은 주의(注意)를 기울여야 합니다. 유지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교량의 안전성(安全性)과 내구성(耐久性) 등 설계수명이 확보되고 교량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에 도움을 주지만 반대로 소홀히 할 경우 철거시기를 앞당기게 됩니다.
1. 개요
① 일자 : 2024.2.17
② 장소 : 대전 동구지역
③ 내용 : 파손된 교량 교좌장치(橋座裝置)와 교통안전
2. 현장모습
▲ 누수(漏水)에 의한 받침쇠의 부식(腐蝕)과 교좌부 하부에 1mm 이상의 균열(龜裂)과 장방형 균열이 발생된 것은 이미 파손(破損)된 것으로써 구조물 안전에 심각한 결함(缺陷)이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