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장풀[학명: Leonurus macranthus Maxim.]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식물에서 송장 썩는 듯한 냄새가 난다고 하여 송장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개속단, 대화익모초(大花益母草), 개방앳잎, 개방아, 주리풀, 산익모초, 참채, 잠채, Largeflower-mother-wort 라고도 한다. 관상용, 식용, 약용, 밀원식물이다. 꽃말은 열정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1m 정도로 줄기는 곧추 서고 둔하게 네모지며 전체에 갈색 누운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마주나고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커다란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잎은 깊게 패어져 있다. 윗부분의 잎은 흔히 갈라지고 아랫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3~6개씩 달리고 연한 분홍색, 또는 거의 흰색, 수 송이씩 잎겨드랑이에 붙고, 화관은 통상 입술 모양, 상순 꽃잎은 투구 모양, 뒷면에 흰털이 있다. 꽃받침은 종 모양, 끝에 5개의 뾰족한 가시가 있다. 열매는 소견과, 길이 2.5mm 가량, 3개의 능선이 있고, 반들반들하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생약명(生藥銘)은 대화익모초(大花益母草)이다. 한방에서 이뇨제, 강정제와 뇌졸중 치료제로 사용한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시원스럽지 못할 때에 뭉근하게 달여서 복용하며, 그밖에 신체가 허약할 경우 또는 음경의 발기상태가 시원치 않을 때, 중풍치료에 이를 다스리기 위해 사용한다고 한다. 말린 약재 한 줌을 큰 대접 하나 정도가 되는 물로 서서히 달여서 복용한다고 한다. 정확하지 않으니 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어린순을 삶아 나물로 먹는다. (참고자료: 원색한국식물도감(이영노.교학사), 한국의 자원식물(김태정.서울대학교출판부), 네이버·다음 지식백과/ 글과 사진: 이영일 생명과학 사진작가) [이영일∙고앵자/ 채널A 정책사회부 스마트리포터 yil2078@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