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선왕도고는 율무와 맥아초, 백편두초, 검인, 시상을 가루로 만들어 설탕, 맵쌀가루와 잘 섞고 물에 내려 떡을 찐다. 이 찐 떡을 설기처럼 그냥 잘라 먹어도 좋고 오래 저장해서 먹으려면 햇볕에 말려 가루로 빻아 냉동고에 두었다가 아침식사 대용으로 죽을 쑤어도 좋고 미수가루로 물이나 우유에 타서 마셔도 좋다. ‘동의보감’ 19세기 가정요리 백과서인 ‘규합총서’에 구선왕도고의 효능으로 ‘정신을 기르고원기를 부양하며, 비위를 건강하게 하고 음식을 증진시키며 폐병을 보하고 기육을 낫게하며 습열을 없앤다’고 설명하고 있다.
1.연육, 백복령, 산약초, 율무, 맥아초, 검인, 백편두, 시상을 가루로 만들어 쌀가루와 약재를 혼합한 비율이 10대 1이 되도록 한데 섞는다.
2.물과 설탕을 반반씩 섞어 끓인 설탕시럽을 가루에 넣어가면서 손으로 잘 비벼서 체에 내린 후 떡을 찐다. 말랑말랑할 때 먹어도 한약재의 향기 때문에 별미이고 잘 말려 가루로 만들어 꿀물에 타 먹으면 갈증이 풀린다.
구선왕도고는 율무와 맥아초, 백편두초, 검인, 시상을 가루로 만들어 설탕, 맵쌀가루와 잘 섞고 물에 내려 떡을 찐다. 이 찐 떡을 설기처럼 그냥 잘라 먹어도 좋고 오래 저장해서 먹으려면 햇볕에 말려 가루로 빻아 냉동고에 두었다가 아침식사 대용으로 죽을 쑤어도 좋고 미수가루로 물이나 우유에 타서 마셔도 좋다. ‘동의보감’ 19세기 가정요리 백과서인 ‘규합총서’에 구선왕도고의 효능으로 ‘정신을 기르고원기를 부양하며, 비위를 건강하게 하고 음식을 증진시키며 폐병을 보하고 기육을 낫게하며 습열을 없앤다’고 설명하고 있다.
구선왕도고는 율무와 맥아초, 백편두초, 검인, 시상을 가루로 만들어 설탕, 맵쌀가루와 잘 섞고 물에 내려 떡을 찐다. 이 찐 떡을 설기처럼 그냥 잘라 먹어도 좋고 오래 저장해서 먹으려면 햇볕에 말려 가루로 빻아 냉동고에 두었다가 아침식사 대용으로 죽을 쑤어도 좋고 미수가루로 물이나 우유에 타서 마셔도 좋다. ‘동의보감’ 19세기 가정요리 백과서인 ‘규합총서’에 구선왕도고의 효능으로 ‘정신을 기르고원기를 부양하며, 비위를 건강하게 하고 음식을 증진시키며 폐병을 보하고 기육을 낫게하며 습열을 없앤다’고 설명하고 있다.
1.연육, 백복령, 산약초, 율무, 맥아초, 검인, 백편두, 시상을 가루로 만들어 쌀가루와 약재를 혼합한 비율이 10대 1이 되도록 한데 섞는다.
2.물과 설탕을 반반씩 섞어 끓인 설탕시럽을 가루에 넣어가면서 손으로 잘 비벼서 체에 내린 후 떡을 찐다. 말랑말랑할 때 먹어도 한약재의 향기 때문에 별미이고 잘 말려 가루로 만들어 꿀물에 타 먹으면 갈증이 풀린다.
구선왕도고는 율무와 맥아초, 백편두초, 검인, 시상을 가루로 만들어 설탕, 맵쌀가루와 잘 섞고 물에 내려 떡을 찐다. 이 찐 떡을 설기처럼 그냥 잘라 먹어도 좋고 오래 저장해서 먹으려면 햇볕에 말려 가루로 빻아 냉동고에 두었다가 아침식사 대용으로 죽을 쑤어도 좋고 미수가루로 물이나 우유에 타서 마셔도 좋다. ‘동의보감’ 19세기 가정요리 백과서인 ‘규합총서’에 구선왕도고의 효능으로 ‘정신을 기르고원기를 부양하며, 비위를 건강하게 하고 음식을 증진시키며 폐병을 보하고 기육을 낫게하며 습열을 없앤다’고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