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 행사와 음식
상원(上元), 음력 1월 15일, 정월 대보름, 오기일(烏忌日)
한국의 전통 명절. 음력 1월 15일이며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무형유산 정책이 전문 기·예능을 보유한 전승자 중심에서 온 국민이 함께 전승해온 공동체의 생활관습으로 확대됨에 따라, 2023년 가족과 지역 공동체의 생활관습으로 향유·전승되어온 명절인 대보름도 설날과 함께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음력 1월 15일은 대보름, 음력 1월 14일은 작은 보름으로 불린다. 농사력(農事曆)으로 볼 때 이 시기는 대보름에 이르기까지 걸립(乞粒)을 다니면서 마을 전체가 축제의 분위기에 휩싸이다가 농사철로 접어드는 때이며, 마을공동의 신격(神格)에 대한 대동의례·대동회의·대동놀이 등이 집중된 때이기도 하다.
작은 보름에는 수숫대의 껍질과 속대를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잘라서 물감으로 채색한 뒤 벼·보리·밀·옥수수·콩·목화 등의 이삭 모양을 만들어 짚단에 꽂아 긴 장대 끝에 묶어서 집 옆에 세우거나 마구간 앞 거름더미에 꽂아놓는다.
이것은 낟가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그해 오곡이 낟가리처럼 풍성하게 여물어줄 것을 바라면서 즐기는 행사였다. 이 행사는 그 유래가 매우 오래 되었으며 내농작(內農作)이라는 궁중의식으로 채용되기까지 했다. 음력 1월 15일 대보름에는 집집마다 약밥을 만들어 먹었으며 저녁에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달맞이를 했다.
이날 밤 들판에 나가서 그해의 새싹이 잘 자라고 전답의 해충이 소멸되도록 쥐불을 놓았다. 아이들은 연띄우기·바람개비·꼬꼬대·실싸움·돈치기 등을 즐겼으며, 어른들은 다리밟기·편싸움·횃불싸움·줄다리기·동채싸움·놋다리밟기 등을 했다.
이와 같이 대보름날 밤에는 온 마을이, 때로는 마을과 마을이 대결하는 경기를 조직하여 집단적으로 즐겼다.
(출처 : 다음백과 대보름)
쥐불놀이 :
들불놀이 :
풍물단 길놀이 :
대구 반야월 안심 풍물단 길놀이 | 원대 풍물단 길놀이 |
줄다리기 :
정월 대보름 달맞이 :
정월대보름에 먹는 영양만점 오곡밥
오곡에는 풍부한 비타민, 식이섬유, 미네랄 등 필수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오곡밥을 먹고 환절기를 건강하게 보내라는 조상들의 지혜이다.
오곡밥은 약밥에서 유래된 것이다.
약밥에는 잣, 밤, 대추와 같은 귀한재료가 들어갔으나 이런 재료를 구하기 어려운 평민들이
쌀,콩 등 다섯가지 곡식을넣어서 밥을 지어먹었다고 하여 "오곡밥"으로 불렸다.
오곡밥에는 주로 찹쌀,멥쌀, 팥, 차조, 찰수수, 검정콩, 찰기장, 보리 등이 많이 사용된다.
그 중에도 콩, 팥, 수수, 조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재료이다.
[출처] 정월대보름과 오곡밥|작성자 스킨포레
여기서 잠깐!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볏가릿대※
볏가릿대에 매달아 두는 사물도
각각 의미하는 바가 있다고 합니다!
오곡 주머니: 모든 곡식에 풍년이 들길
팔랑개비: 좋은 바람이 불고, 비구름이 오길
여근과 남근: 마을에 풍요와 다산이 깃들길
빗자루와 볏섬: 쌀을 빗자루로 쓸어 담을 수
있도록 풍년이 들길
도롱이: 가뭄이 들지 않고 비가 많이 오길
[출처] 2020년 정월대보름 행사, 볏가릿대 세우기!|작성자 한국민속촌
음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