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唐續高僧傳第十三卷載(당속고승전제십삼권재) : <당속고승전(唐續高僧傳)> 제13권에 실려 있는 말이다.
新羅皇隆寺釋圓光(신라황륭사석원광) : 신라 황륭사(皇隆寺)의 중 원광(圓光)의
俗姓朴氏(속성박씨) : 속성(俗姓)은 박씨(朴氏)이다.
本住三韓卞韓辰韓馬韓(본주삼한변한진한마한) : 본래 삼한(三韓), 즉 변한(卞韓)·진한(辰韓)·마한(馬韓)에 살았으니,
光卽辰韓人也(광즉진한인야) : 원광은 곧 진한 사람이다.
家世海東(가세해동) : 대대로 해동(海東)에 살아
祖習綿遠(조습면원) : 조상의 풍습(風習)이 멀리 계승되었다.
而神器恢廓(이신기회확) : 그는 도량(道量)이 넓고 컸으며,
愛染篇章(애염편장) : 글을 즐겨 읽어
校獵玄儒(교렵현유) : 현유(玄儒)를 두루 공부하고
討讎子史(토수자사) : 자사(子史)도 연구하여
文華騰翥於韓服(문화등저어한복) : 글 잘한다는 이름을 삼한(三韓)에 떨쳤다.
博贍猶愧於中原(박섬유괴어중원) : 그러나 넓고 풍부한 지식은 오히려 중국 사람에게는 미치지 못하여
遂割略親朋(수할략친붕) : 드디어 친척과 벗들을 작별하고
發憤溟渤(발분명발) : 중국으로 가기로 작정하고,
年二十五(년이십오) : 나이 25세에 배를 타고
乘舶造于金陵(승박조우금릉) : 금릉(金陵)으로 가니,
有陳之世(유진지세) : 당시는 진(陳)나라 때로서
號稱文國(호칭문국) : 문명(文明)의 나라라는 이름이 있었다.
故得諮考先疑(고득자고선의) : 거기에서 전에 의심나던 일을 묻고
詢猷了義(순유료의) : 도(道)를 들어서 뜻을 알게 되었다.
初聽庄<莊>嚴旻公弟子講(초청장<장>엄민공제자강) : 처음에 그는 장엄(莊嚴) 민공(旻公)의 제자의 강의를 들었다.
素霑世典(소점세전) : 그는 본래 세상의 모든 전적(典籍)을 읽었기 때문에
謂理窮神(위리궁신) : 이치를 연구하는 데는 신(神)이라고 했는데
及聞釋宗(급문석종) : 불교(佛敎)의 뜻을 듣고 보니
反同腐芥(반동부개) : 지금까지 읽고 있던 것은 마치 썩은 지푸라기와 같았다.
虛尋名敎(허심명교) : 명교(名敎)를 헛되이 찾은 것이
實懼生涯(실구생애) : 생애(生涯)에 있어 실로 두려운 일이었다.
乃上啓陳主(내상계진주) : 이에 진(陳)나라 임금에게 글을 올려
請歸道法(청귀도법) : 도법(道法)에 돌아갈 것을 청하니
有勅許焉(유칙허언) : 칙령(勅令)을 내려 이를 허락했다.
旣爰初落采(기원초락채) : 이리하여 처음으로 중이 되어
卽禀具戒(즉품구계) : 이내 계(戒)를 갖추어 받고
遊歷講肆(유력강사) : 두루 강의하는 곳을 찾아서
具盡嘉謀(구진가모) : 좋은 도리를 다 배웠으며,
領牒微言(령첩미언) : 미묘(微妙)한 말을 터득하여
不謝光景(불사광경) :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않았다.
故得成實涅槃(고득성실열반) : 그런 까닭에 <성실(成實)>의 열반(涅槃)을 얻어
蘊括心府(온괄심부) : 마음 속에 간직해 두고
三藏釋論(삼장석론) : 삼장(三藏)과 석론(釋論)을
徧所披尋(편소피심) : 두루 연구해 찾았다.
末又投吳之虎<丘>山(말우투오지호<구>산) : 끝으로 또 오(吳)나라 호구산(虎丘山)에 올라가
念定相沿(념정상연) : 염정(念定)을 서로 따르고,
無忘(무망각관) : 각관(覺觀)을 잊지 않으니
息心之衆(식심지중) : 중의 무리들이
雲結林泉(운결림천) : 구름처럼 임천(林泉)에 모여들었다.
竝以綜涉四含(병이종섭사함) : 또 <사함(四含)>을 종합해 읽어
功流入定(공류입정) : 그 공효(功效)가 팔정(八定)에 흐르니
明善易擬(명선이의) : 명선(明善)을 쉽게 익혔고
筒直難虧(통직난휴) : 통직(筒直)에 어그러진 것이 없었다.
深副夙心(심부숙심) : 자기가 본래 가지고 있던 마음과 몹시도 맞았기 때문에
遂有終焉之慮(수유종언지려) : 드디어 이곳에서 일생을 마치려는 생각이 있었다.
於卽頓絶人事(어즉돈절인사) : 이에 밖의 인사(人事)를 아주 끊고
盤遊聖迹(반유성적) : 성인(聖人)의 자취를 두루 유람하며
攝想靑霄(섭상청소) : 생각을 청소(靑소)에 두고
緬謝終古(면사종고) : 길이 속세(俗世)를 하직했다.
時有信士(시유신사) : 이때 한 신사(信士)가 있어
宅居山下(택거산하) : 산 밑에 살고 있더니,
請光出講(청광출강) : 원광(圓光)에게 나와서 강의해 주기를 청했지만
固辭不許(고사불허) : 이를 굳이 사양하고 허락하지 않았다.
苦事邀延(고사요연) : 그러나 끝내 맞아가려 하므로 드디어
遂從其志(수종기지) : 그 뜻을 따라 처음에는
創通成論(창통성론) : <성실론(成實論)>을 말하고 끝에는
末講般若(말강반약) : <반야경(般若經)>을 강의했는데,
皆思解佼<俊>徹(개사해교<준>철) : 모두 해석이 뛰어나고 통철하며
嘉問飛移(가문비이) : 가문(嘉問)을 전해 옮겨서
兼䋴(겸유이현채) : 여러 가지 수사를 겸하여
織綜詞義(직종사의) : 아름다운 말과 뜻으로 엮어 나가니,
聽者欣欣(청자흔흔) : 듣는 자가 매우 기뻐하여
會其心府(회기심부) : 모든 것이 마음에 흡족했다.
從此因循舊章(종차인순구장) : 이로부터 예전의 법에 따라
開化成任(개화성임) : 남을 인도하고 교화(敎化)하는 것을 임무로 삼으니,
每法輪一動(매법륜일동) : 매양 법륜(法輪)이 한번 움직일 때마다
輒傾注江湖(첩경주강호) : 문득 세상 사람들을 불법(佛法)으로 기울어지게 했다.
雖是異域通傳(수시이역통전) : 이는 비록 다른 나라에서의 통전(通傳)이지만
而沐道頓除嫌郄(이목도돈제혐극) : 도에 젖어서 싫어하고 꺼리는 것이 없기 때문에,
故名望橫流(고명망횡류) : 명망(名望)이 널리 흘러서
播于嶺表(파우령표) : 중국 남방인 영표(嶺表)에까지 전파되니,
披榛負槖而至者(피진부탁이지자) : 가시밭을 헤치고 바랑을 지고 오는 자가
相接如鱗(상접여린) : 마치 고기 비늘처럼 잇달았다.
會隋后御宇(회수후어우) : 이때는 마침 수(隋)나라 문제(文帝)가 천하를 다스릴 때여서
威加南國(위가남국) : 그 위엄이 남쪽 나라에까지 미쳤다.
歷窮其數(력궁기수) : 진(陳)나라의 운수가 다해서
軍入楊都(군입양도) : 수(隋)나라 군사가 양도(揚都)에까지 들어가니
遂被亂兵(수피란병) : 원광은 드디어 난병(亂兵)에게 잡혀서
將加刑戮(장가형륙) : 장차 죽음을 당하게 되었다.
有大主將(유대주장) : 이때 수의 대장(大將)이
望見寺塔火燒(망견사탑화소) : 절과 탑이 불타는 것을 바라보고
走赴救之(주부구지) : 달려가 구하려 하였으니
了無火狀(료무화장) : 불타는 모습은 전혀 없고
但見光在塔前(단견광재탑전) : 다만 원광이 탑 앞에 결박되어
被縛將殺(피박장살) : 장차 죽음을 당하려 하고 있다.
旣怪其異(기괴기이) : 대장은 그 이상한 것을 보고 괴이하게 여겨
卽解而放之(즉해이방지) : 즉시 결박을 풀어 놓아 보냈으니,
斯臨危達感如此也(사림위달감여차야) : 그 위태로운 때를 당해서 영험을 나타냄이 이와 같았다.
光學通吳越(광학통오월) : 원광은 학문이 오월(吳越)을 통달했기 때문에
便欲觀化周秦(편욕관화주진) : 문득 중국 북쪽 지방인 주(周)와 진(秦)의 문화를 보고자 하여
開皇九年(개황구연) : 개황(開皇) 9년(589)에
來遊帝宇(래유제우) : 수나라 서울에 유학(遊學)했다.
値佛法初會(치불법초회) : 마침 불법의 초회(初會)를 당해서
攝論肇興(섭론조흥) : 섭론(攝論)이 비로소 일어나니
奉佩文言(봉패문언) : 문언(文言)을 받들어 간직하여
振績微緖(진적미서) : 미서(微緖)를 떨치고
又馳慧解(우치혜해) : 또 혜해(慧解)를 달려
宣譽京皐(선예경고) : 이름을 중국 서울에까지 드날렸다.
勣業旣成(적업기성) : 공업(功業)이 이미 이루어지자
道東須繼(도동수계) : 신라로 돌아가서 계속해야겠다고 생각했다.
本國遠聞(본국원문) : 본국(本國)인 신라에서는 멀리 이 소식을 듣고
上啓頻請(상계빈청) : 수나라 임금에게 자주 아뢰어 돌려보내 달라고 자주 청했다.
有勑厚加勞問放歸桑梓(유래후가노문방귀상재) : 수나라 임금은 칙명을 내려 그를 후하게 대접하여 고향으로 돌려보냈다.
光往還累紀(광왕환루기) : 원광이 여러 해 만에 돌아오니
老幼相欣(노유상흔) : 노소(老少)가 서로 기뻐하고
新羅王金氏面申虔敬(신라왕김씨면신건경) : 신라의 왕 김씨(金氏)는 그를 만나보고는 공경하면서
仰若聖人(앙약성인) : 성인(聖人)처럼 우러렀다.
光性在虛閑(광성재허한) : 원광은 성질이 한가롭고
情多汎愛(정다범애) : 다정박애(多情博愛)하였으며,
言常含笑(언상함소) : 말할 때는 항상 웃음을 머금고
慍結不形(온결불형) : 노여운 기색을 나타내지 않았다.
而牋表啓書(이전표계서) : 전표나 계서 등
往還國命(왕환국명) : 왕래하는 국명이
竝出自胸襟(병출자흉금) : 모두 그의 머리 속에서 나왔다.
一隅傾奉(일우경봉) : 온 나라가 받들어
皆委以治方(개위이치방) : 나라 다스리는 방법을 모두 그에게 맡기고
詢之道化(순지도화) : 도(道)로 교화(敎化)하는 일을 물으니,
事異錦衣(사이금의) : 처지는 비록 금의환향(錦衣還鄕)한 것과는 달랐지만
情同觀國(정동관국) : 실지로는 중국의 모든 것을 보고 온 것 같아서
乘機敷訓(승기부훈) : 기회를 보아 교훈을 펴서
垂範于今(수범우금) : 지금까지도 그 모범(模範)을 보였다.
年齒旣高(년치기고) : 나아가 이미 높아지자
乘輿入內(승여입내) : 수레를 타고 대궐에 출입했으며,
衣服藥食(의복약식) : 의복(衣服)과 약(藥)과 음식은
竝王手自營(병왕수자영) : 모두 왕이 손수 마련하여
不許佐助(불허좌조) : 좌우의 다른 사람이 돕는 것을 허락지 않고
用希專福(용희전복) : 왕이 혼자서 복을 받으려 했으니,
其感敬爲此類也(기감경위차류야) : 그 감복하고 공경한 모습이 대개 이와 같았다.
將終之前(장종지전) :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에
王親執慰(왕친집위) : 왕은 친히 그의 손을 잡고 위문하면서
囑累遺法兼濟民(촉루유법겸제민) : 법을 남겨 백성을 구제할 일을 물으니,
斯爲說(사위설) : 그는 상서로운 것을 말하여
徵祥被于海曲(징상피우해곡) : 그 공덕(功德)이 바다 구석에까지 미쳤다.
以彼建福五十八年(이피건복오십팔년) : 신라 건복(建福) 58년(640)에
少覺不悆(소각불여) : 그는 몸이 조금 불편한 것을 느끼더니
經于七日(경우칠일) : 7일을 지나
遺誡淸切(유계청절) : 간곡한 계(誡)를 남기고는
端坐終于所住皇隆寺中(단좌종우소주황륭사중) : 그가 있던 황륭사(皇隆寺) 안에 단정히 앉아서 세상을 마치니,
春秋九十有九(춘추구십유구) : 나이는 99세요,
卽唐貞觀四年也(즉당정관사년야) : 때는 당(唐)나라 정관(貞觀) 4년이었다
(宜云十四年(의운십사년) : (마땅히 14년이라야 옳을 것이다).)
當終之時(당종지시) : 임종(臨終)할 때
寺東北虛中(사동북허중) : 동북쪽 공중에서
音樂滿空(음악만공) : 음악소리가 들리고
異香充院(이향충원) : 이상한 향기가 절 안에 가득 차니
道俗悲慶(도속비경) : 모든 승려들과 속인(俗人)들은 슬퍼하면서도 한편 경사로 여기면서
知其靈感(지기령감) : 그의 영감(靈感)임을 알았다.
遂葬于郊外(수장우교외) : 드디어 교외(郊外)에 장사지내는데
國給羽儀葬具(국급우의장구) : 국가에서 우의(羽儀)와 장구(葬具)를 내려
同於王禮(동어왕례) : 임금의 장례와 같이 했다.
後有俗人兒胎死者(후유속인아태사자) : 그 뒤에 속인이 사태(死胎)를 낳은 일이 있었는데,
彼土諺云(피토언운) : 지방 속담에 말하기를,
當於有福人墓埋之(당어유복인묘매지) : "복 있는 사람의 무덤에 묻으면
種胤不絶(종윤불절) : 후손(後孫)이 끊어지지 않는다"고 하므로
乃私瘞於墳側(내사예어분측) : 남몰래 원광의 무덤 옆에 묻었다.
當日震此胎屍(당일진차태시) : 그러나 바로 그날 벼락이 사태를 쳐서
擲于塋外(척우영외) : 무덤 밖으로 내던졌다.
由此不懷敬者(유차불회경자) : 이런 일이 있었기 때문에 평소에 그를 존경하지 않던 자도
率崇仰焉(솔숭앙언) : 모두 우러러 숭배하게 되었다.
由弟子圓安(유제자원안) : 그의 제자 원안(圓安)은
神忘機穎(신망기영) : 정신이 지혜롭고 바탕이 총명하며,
性希歷覽(성희력람) : 천성이 두루 유람하는 것을 좋아하여
慕仰幽求(모앙유구) : 그윽한 곳에서 도(道)를 구하면서 스승을 우러러 사모했다.
遂北趣九都(수북취구도) : 그는 드디어 북쪽으로 구도(九都)에 가고
東觀不耐(동관불내) : 동쪽으로 불내(不耐)를 보고
又西燕魏(우서연위) : 또 서쪽으로 북쪽 중국인 연(燕)과 위(魏)에 가고,
後展帝京(후전제경) : 뒤에는 장안(長安)에까지 이르렀으니,
備通方俗(비통방속) : 이리하여 각 지방의 풍속에 자세히 통하고
尋諸經論(심제경론) : 여려 가지 경론을 구해서
跨轢大綱(과력대강) : 중요한 줄거리를 널리 익히고
洞淸纖旨(동청섬지) : 자세한 뜻도 밝게 알았다.
晩歸心學(만귀심학) : 그는 늦게 심학(心學)에 돌아갔는데
高軌光塵(고궤광진) : 세속 사람보다 자취가 높았다.
初住京寺(초주경사) : 처음 장안의 절에 있을 때
以道素有聞(이도소유문) : 도(道)가 높다는 소문이 나자
特進蕭瑀奏請(특진소우주청) : 특진(特進) 소우(蕭瑀)가 임금에게 청하여
住於藍田所造津梁寺(주어람전소조진량사) : 남전(藍田) 땅에 지은 진량사(津梁寺)에 살게 하고
四事供給(사사공급) : 사사(四事)의 공급이
無替六時矣(무체육시의) : 온종일 변함이 없었다.
安嘗叙光云(안상서광운) : 원안이 일찍이 원광의 일을 기록했는데 이렇게 말했다.
本國王染患(본국왕염환) : "본국(本國)의 임금이 병이 나서
醫治不損(의치불손) : 의원이 치료해도 차도가 없으므로
請光入宮(청광입궁) : 원광을 청해 궁중에 들여
別省安置(별성안치) : 별성(別省)에 모셔 있게 하면서
夜別二時爲說深法(야별이시위설심법) : 매일 밤 두 시간씩 깊은 법을 말하여
受戒懺悔(受戒懺悔 ) : 참회의 계(戒)를 받으니
王大信奉(왕대신봉) : 왕이 크게 신봉했다.
一時初夜(일시초야) : 어느 날 초저녁에
王見光首(왕견광수) : 왕이 원광의 머리를 보니
金色晃然(김색황연) : 금빛이 찬란하고
有象日輪(유상일륜) : 일륜(日輪)의 상(像)이
隨身而至(수신이지) : 그의 몸을 따라다니니
王后宮女同共觀之(왕후궁여동공관지) : 왕후(王后)와 궁녀(宮女)들도 모두 이것을 보았다.
由是重發勝心(유시중발승심) : 이로부터 거듭 승심(勝心)을 내어
克留疾所(극유질소) : 원광을 병실(病室)에 머물러 있게 했더니
不久遂差(불구수차) : 오래지 않아 병이 나았다.
光於辰韓馬韓之間(광어진한마한지간) : 원광은 진한(辰韓)과 마한(馬韓)에
盛通正法(성통정법) : 정법(正法)을 널리 펴고
每歲再講(매세재강) : 해마다 두 번씩 강론하여
匠成後學(장성후학) : 후학(後學)을 양성하고
䞋施之資(친시지자) : 보시(布施)로 받은 재물은
竝充營寺(병충영사) : 모두 절 짓는 데 쓰게 하니,
餘惟衣盋而已(여유의발이이) : 남은 것은 다만 가사(袈裟)와 바리때뿐이었다."
(載達函(재달함) : (달함에 실려있다))
又東京安逸戶長貞孝家(우동경안일호장정효가) : 또 동경(東京)의 안일호장(安逸戶長) 정효(貞孝)의 집에
在古本殊異傳(재고본수이전) : 있는 고본(古本) <수이전(殊異傳)>에
載圓光法師傳曰(재원광법사전왈) : 원광법사전(圓光法師傳)이 실려 있는데 이렇게 말했다.
法師俗姓薛氏(법사속성설씨) : 법사의 속성은 설씨(薛氏)로
王京人也(왕경인야) : 왕경(王京) 사람이다.
初爲僧學佛法(초위승학불법) : 처음에 승려가 되어 불법(佛法)을 배웠는데
年三十歲(년삼십세) : 나이 30세에
思靜居修道(사정거수도) : 한가히 지내면서도 도를 닦으려고 생각하여
獨居三岐山(독거삼기산) : 삼기산(三岐山)에 홀로 살았다
後四年有一比丘來(후사년유일비구래) : 그 후 4년, 이때 중 하나가 와서
所居不遠(소거불원) : 멀지 않은 곳에
別作蘭若(별작난야) : 따로 절을 짓고
居二年(거이년) : 2년 동안 살았다.
爲人强猛(위인강맹) : 그는 사람됨이 강하고 용맹스러우며
好修呪術(호수주술) : 주술(呪術)을 배우기도 좋아했다.
法師夜獨坐誦經(법사야독좌송경) : 법사가 밤에 홀로 앉아서 불경을 외는데
忽有神聲呼其名(홀유신성호기명) : 갑자기 신(神)이 나타나 그의 이름을 부르면서 말했다.
善哉善哉(선재선재) : "참 장하기도 하오.
汝之修行(여지수행) : 그대의 수행(修行)은
凡修者雖衆(범수자수중) : 대체로 수행하는 자가 아무리 많아도
如法者稀有(여법자희유) : 법대로 하는 이는 드물다오.
今見隣有比丘(금견린유비구) : 지금 이웃에 있는 승려를 보니
徑修呪術而無所得(경수주술이무소득) : 주술을 빨리 익히려 하지만 얻는 것이 없을 것이며,
喧聲惱他靜念(훤성뇌타정념) : 시끄러운 소리가 오히려 남의 정념(情念)을 괴롭히기만 하오.
住處礙我行路(주처애아행로) : 그가 살고 있는 곳은 내가 다니는 길을 방해하여
每有去來(매유거래) : 매양 지나다닐 때마다
幾發惡心(기발악심) : 미운 생각이 날 지경이오.
法師爲我語告(법사위아어고) : 그러니 법사는 나를 위해서 그 사람에게 말하여
而使移遷(이사이천) : 다른 곳으로 옮겨 가도록 하오.
若久住者(약구주자) : 만일 오랫동안 거기에 머무른다면
恐我忽作罪業(공아홀작죄업) : 내가 갑자기 죄를 저지를지도 모르오."
明日法師往而告曰(명일법사왕이고왈) : 이튿날 법사가 가서 말했다.
吾於昨夜有聽神言(오어작야유청신언) : "내가 어젯밤 신의 말을 들으니
比丘可移別處(비구가이별처) : 스님은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 좋을 것이오.
不然應有餘殃(불연응유여앙) :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재앙이 있을 것이오."
比丘對曰(비구대왈) : 그러나 그 승려는 대답한다.
至行者爲魔所眩(지행자위마소현) : "수행이 지극한 사람도 마귀(魔鬼)의 현혹을 받습니까.
法師何憂狐鬼之言乎(법사하우호귀지언호) : 법사는 어찌 호귀(狐鬼)의 말을 근심하시오."
其夜神又來曰(기야신우래왈) : 그날 밤에 신이 또 와서 말했다.
向我告事(향아고사) : "전에 내가 한 말에 대해서
比丘有何答乎(비구유하답호) : 중이 무어라 대답합디까."
法師恐神瞋怒而對曰(법사공신진노이대왈) : 법사는 신이 노여워할까 두려워서 대답했다.
終未了說(종미료설) : "아직 말은 하지 않았습니다.
若强語者(약강어자) : 하지만 말을 한다면
何敢不聽(하감불청) : 어찌 감히 듣지 않겠습니까."
神曰(신왈) : 신은 말한다.
吾已具聞(오이구문) : "내가 이미 다 들었는데
法師何須補說(법사하수보설) : 법사는 어찌해서 말을 보태서 하시오.
但可黙然見我所爲(단가묵연견아소위) : 그대는 잠자코 내가 하는 것만 보오."
遂辭而去(수사이거) : 말을 마치고 가더니
夜中有聲如雷震(야중유성여뢰진) : 밤중에 벼락과 같은 소리가 났다.
明日視之(명일시지) : 이튿날 가서 보니
山頹塡比丘所在蘭若(산퇴전비구소재난약) : 산이 무너져서 중이 있던 절을 묻어 버렸다.
神亦來曰(신역래왈) : 신이 또 와서 말한다.
師見如何(사견여하) : "법사가 보기에 어떠하오."
法師對曰(법사대왈) : 법사가 대답했다.
見甚驚懼(견심경구) : "보고서 몹시 놀라고 두려웠습니다."
神曰(신왈) : 신이 또 말한다.
我歲幾於三千年(아세기어삼천년) : "내 나이가 거의 3,000세가 되고
神術最壯(신술최장) : 신술(神術)도 가장 훌륭하니
此是小事(차시소사) : 이런 일이야 조그만 일인데
何足爲驚(하족위경) : 무슨 놀랄 것이 있겠소. .
但復將來之事(단복장래지사) : 나는 장래의 일도
無所不知(무소부지) : 알지 못하는 것이 없고,
天下之事(천하지사) : 온 천하의 일도
無所不達(무소불달) : 통달하지 못한 것이 없소.
今思法師唯居此處(금사법사유거차처) : 이제 생각하니 법사가 오직 이곳에만 있으면
雖有自利之行(수유자이지행) : 비록 자기 몸을 이롭게 하는 행동은 있을지 모르나
而無利他之功(이무이타지공) : 남을 이롭게 하는 공로는 없을 것이오.
現在不揚高名(현재부양고명) : 지금 높은 이름을 드날리지 않는다면
未來不取勝果(미래부취승과) : 미래에 승과(勝果)를 얻지 못할 것이오.
盍採佛法於中國(합채불법어중국) : 그러니 어찌 해서 불법을 중국에서 취하여
導群迷於東海(도군미어동해) : 이 나라의 모든 혼미(昏迷)한 무리를 지도하지 않으시오."
對曰(대왈) : 법사가 대답했다.
學道中國(학도중국) : "중국에 가서 도를 배우는 것은
是本所願(시본소원) : 본래 나의 소원이지만
海陸逈阻(해육형조) : 바다와 육지가 멀리 막혀 있기 때문에
不能自通而已(불능자통이이) : 스스로 가지 못할 뿐입니다."
神詳誘歸中國所行之計(신상유귀중국소행지계) : 이에 신은 중국 가는 데 필요한 일을 자세히 일러 주었다.
法師依其言歸中國(법사의기언귀중국) : 법사는 그 말에 의해서 중국에 갔으며,
留十一年(유십일년) : 11년을 머무르면서
博通三藏(박통삼장) : 삼장(三藏)에 널리 통달하고
兼學儒術(겸학유술) : 유교(儒敎)의 학술(學術)까지도 겸해서 배웠다
眞平王二十二年庚申(진평왕이십이년경신) : 진평왕(眞平王) 22년 경신(庚申; 600)에
(三國史云明年辛酉來(삼국사운명년신유래) : <삼국사三國史>에는 다음해인 辛酉年에 왔다고 했다))
師將理策東還(사장이책동환) : 법사가 이책을 가지고 우리나라로 돌아왔는데
乃隨中國朝聘使還國(내수중국조빙사환국) : 법사는 중국에 왔던 조빙사(朝聘使)를 따라서 본국에 돌아왔다.
法師欲謝神(법사욕사신) : 법사는 신에게 감사를 드리고자 하여
至前住三岐山寺(지전주삼기산사) : 전에 살던 삼기산의 절에 갔다.
夜中神亦來呼其名曰(야중신역래호기명왈) : 밤중에 신이 역시 와서 법사의 이름을 부르고 말했다.
海陸途間(해육도간) : "바다와 육지의 먼 길을
往還如何(왕환여하) : 어떻게 왕복하였소."
對曰(대왈) : 대답하여 이르기를
蒙神鴻恩(몽신홍은) : "신의 큰 은혜를 입어
平安到訖(평안도흘) : 편안히 다녀왔습니다."
神曰(신왈) : 신이 이르기를
吾亦授戒於神(오역수계어신) : "내 또한 그대에게 계(戒)를 드리겠소." 말하고는
仍結生生相濟之約(잉결생생상제지약) : 이에 생생상제(生生相濟)의 약속을 맺었다.
又請曰(우청왈) : 법사가 또 청했다.
神之眞容(신지진용) : "신의 참 얼굴을
可得見耶(가득견야) : 볼 수가 있습니까." .
神曰(신왈) : 신이 말하기를
法師若欲見我形(법사약욕견아형) : "법사가 만일 내 모양을 보고자 하거든
平旦可望東天之際(평단가망동천지제) : 내일 아침에 동쪽 하늘 가를 바라보시오."
法師明日望之(법사명일망지) : 법사가 이튿날 아침에 하늘을 바라보니
有大臂貫雲(유대비관운) : 큰 팔뚝이 구름을 뚫고
接於天際(접어천제) : 하늘 가에 닿아 있었다.
其夜神亦來曰(기야신역래왈) : 그날 밤에 신이 또 와서 말한다.
法師見我臂耶(법사견아비야) : "법사는 내 팔뚝을 보았소."
對曰(대왈) : 대답하여 이르기를
見已甚奇絶異(견이심기절이) : "보았는데 매우 기이하고 이상했습니다."
因此俗號臂長山(인차속호비장산) : 이로 인하여 속칭(俗稱) 비장산(臂長山)이라고 했다.
神曰(신왈) : 신이 말했다.
雖有此身(수유차신) : "비록 이 몸이 있다 하더라도
不免無常之害(불면무상지해) : 무상(無常)의 해(害)는 면할 수 없을 것이니,
故吾無月日(고오무월일) : 나는 앞으로 얼마 가지 않아서
捨身其嶺(사신기령) : 그 고개에 사신(捨身)할 것이니
法師來送長逝之魂(법사래송장서지혼) : 법사는 거기에 와서 영원히 가 버리는 내 영혼을 보내 주오."
待約日往看(대약일왕간) : 법사가 약속한 날을 기다려서 가 보니,
有一老狐黑如漆(유일노호흑여칠) : 늙은 여우 한 마리가 있는데, 검기가 옻칠한 것과 같고
但吸吸無息(단흡흡무식) : 숨조차 쉬지 못하고 헐떡거리기만 하다가
俄然而死(아연이사) : 조금 뒤에 마침내 죽었다
法師始自中國來(법사시자중국래) : 법사가 처음 중국에서 돌아왔을 때
本朝君臣敬重爲師(본조군신경중위사) : 신라에서는 임금과 신하들이 그를 존경하여 스승으로 삼으니
常講大乘經典(상강대승경전) : 법사는 항상 대승경전(大乘經典)을 강의했다.
此時高麗百濟常侵邊鄙(차시고려백제상침변비) : 이때 고구려와 백제가 항상 변방을 침범하니
王甚患之(왕심환지) : 왕은 몹시 이를 걱정하여
欲請兵於隋(욕청병어수) : 수(隋)나라에 군사를 청하고자
(宜作唐(의작당) : (마땅히 唐나라라고 해야 할 것이다))
請法師作乞兵表(청법사작걸병표) : 법사를 청하여 걸병표(乞兵表)를 짓게 했다.
皇帝見(황제견) : 수나라 황제가 그 글을 보더니
以三十萬兵(이삼십만병) : 30만 군사를 내어
親征高麗(친정고려) : 친히 고구려를 쳤다.
自此知法師旁通儒術也(자차지법사방통유술야) : 이로부터 법사가 유술(儒術)까지도 두루 통달한 것을 세상 사람은 알았다.
享年八十四入寂(향년팔십사입적) : 나이 84세에 세상을 떠나니
葬明活城西(장명활성서) : 명활성(明活城) 서쪽에 장사지냈다.
又三國史列傳云(우삼국사열전운) : 또 <삼국사(三國史)> 열전(列傳)에 이런 기록이 있다.
賢士貴山者沙梁部人也(현사귀산자사량부인야) : 어진 선비 귀산(貴山)이란 자는 사량부(沙梁部) 사람이다.
與同里箒項爲友(여동리추항위우) : 마을의 추항(추項)과 친구가 되어
二人相謂曰(이인상위왈) : 두 사람은 서로 말했다.
我等期與士君子遊(아등기여사군자유) : "우리들이 사군자(士君子)들과 함께 사귀려면
而不先正心持身(이불선정심지신) : 먼저 마음을 바르게 하여 처신하지 않는다면,
則恐不免於招辱(칙공불면어초욕) : 필경 욕 당하는 것을 면치 못할 것이다.
盍問道於賢者之側乎(합문도어현자지측호) : 그러니 어찌 어진 사람을 찾아가서 도를 묻지 않겠는가."
時聞圓光法師入隋回(시문원광법사입수회) : 이때 원광법사가 수나라에 갔다가 돌아와서
寓止嘉瑟岬(우지가슬갑) : 가슬갑에
(或作加西又嘉栖(혹작가서우가서) : (嘉瑟岬; 혹은 加西, 또는 嘉栖라고 하는데,
皆方言也(개방언야) : 모두 방언方言이다.
岬俗云古尸(갑속운고시) : 갑岬은 속언으로 古尸(곳)이라고 한다.
故或云古尸寺(고혹운고시사) : 때문에 이것을 古尸寺(곳절)라고 하니
猶言岬寺也(유언갑사야) : 岬寺라는 것과 같다.
今雲門寺東九千步許(금운문사동구천보허) : 지금 운문사雲門寺 동쪽 9,000보步쯤 되는 곳에
有加西峴(유가서현) : 가서현이 있는데,
或云嘉瑟峴(혹운가슬현) : 혹은 嘉瑟峴이라고 하며,
峴之北洞有寺基是也(현지북동유사기시야) : 고개의 북쪽 골짜기에 절터가 있으니 바로 이것이다))
二人詣門進告曰(이인예문진고왈) : 잠시 살고 있다는 말을 듣고 두 사람은 그에게 나아가 아뢰었다.
俗士顓蒙(속사전몽) : "저희들 시속 선비는 어리석어서
無所知識(무소지식) : 아는 것이 없습니다.
願賜一言(원사일언) : 바라옵건대 한 말씀을 주시어
以爲終身之誡(이위종신지계) : 평생의 경계가 되게 해 주십시오."
光曰(광왈) : 원광이 말했다.
佛敎有菩薩戒(불교유보살계) : "불교에는 보살계(菩薩戒)가 있으니,
其別有十(기별유십) : 그 조항이 10 항목이 있으나
若等爲人臣子(약등위인신자) : 너희들은 남의 신하와 자식된 몸이니까
恐不能堪(공부능감) : 아마 감당할 수 없을 것이다.
今有世俗五戒(금유세속오계) : 지금 세속적인 오계가 있으니
一曰(일왈) : 1은
事君以忠(사군이충) : 임금을 충성으로 섬기는 일이요,
二曰(이왈) : 2는
事親以孝(사친이효) : 부모를 효도로 섬기는 일이요,
三曰(삼왈) : 3은
交友有信(교우유신) : 벗을 신의(信義)로 사귀는 일이요,
四曰(사왈) : 4는
臨戰無退(임전무퇴) : 싸움에 임해서는 물러서지 않는 일이요,
五曰(오왈) : 5는
殺生有擇(살생유택) : 산 물건을 죽이는 데 가려서 한다는 일이다.
若<等>行之無忽(약<등>행지무홀) : 너희들은 이 일을 실행하여 소홀히 하지 말라."
貴山等曰(귀산등왈) : 귀산 등이 말했다.
他則旣受命矣(타칙기수명의) : "다른 일은 모두 알아듣겠습니다마는,
所謂殺生有擇(소위살생유택) : 말씀하신 바 '산 물건을 죽이는 데 가려서 한다'는 것은
特未曉也(특미효야) : 아직 터득할 수가 없습니다."
光曰(광왈) : 원광이 말했다.
六齋日春夏月不殺(육재일춘하월불살) : "6재일(齋日)과 봄·여름에는 죽이지 않는 것이니
是擇時也(시택시야) : 이것은 시기를 가리는 것이다.
不殺使畜謂馬牛雞犬(불살사축위마우계견) : 말·소·개 등 가축을 죽이지 않고
不殺細物謂肉不足一臠(불살세물위육부족일련) : 고기가 한 점도 되지 못하는 세물(細物)을 죽이지 않는 것이니
是擇物也(시택물야) : 이것은 사물 선택을 가리는 것이다.
此亦唯其所用(차역유기소용) : 또한 죽일 수 있는 것도
不求多殺(불구다살) : 또한 쓸 만큼만 하고 많이 죽이지 말라는 것이다.
此是世俗之善戒也(차시세속지선계야) : 이것이 바로 세속의 좋은 경계인 것이다."
貴山等曰(귀산등왈) : 귀산 등이 말했다.
自今以後(자금이후) : "지금부터
奉以周旋(봉이주선) : 이 말을 받들어 실천하여
不敢失墜(불감실추) : 감히 어기지 않겠습니다."
後二人從軍事(후이인종군사) : 그 후에 두 사람은 전쟁에 나가서
皆有奇功於國家(개유기공어국가) : 모두 국가에 큰 공을 세웠다.
又建福三十年癸酉(우건복삼십년계유) : 또 건복(建福) 30년 계유
(卽眞平王卽位三十五年也(즉진평왕즉위삼십오년야) : (613, 즉 진평왕眞平王 즉위 35년)
秋隋使王世儀至(추수사왕세의지) : 가을에 수나라 사신 왕세의(王世儀)가 오자
於皇龍寺設百座道場(어황용사설백좌도량) : 황룡사(黃龍寺)에 백좌도량(百座道場)을 열고
請諸高德說經(청제고덕설경) : 여러 고승(高僧)들을 청해다가 불경을 강의하니
光最居上首(광최거상수) : 원광이 제일 윗자리에 있었다.)
議曰(의왈) : 논평해 말했다.
原宗興法已來(원종흥법이래) : "원종(原宗)이 불법을 일으킨 후로
津梁始置(진양시치) : 진량(津梁)이 비로소 설치되었으나
而未遑堂奧(이미황당오) : 당오(堂奧)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했다.
故宜以歸戒滅懺之法(고의이귀계멸참지법) : 때문에 마땅히 귀계멸참(歸戒滅懺)의 법으로
開曉愚迷(개효우미) : 어리석고 어두운 중생들을 깨우쳐 주어야 할 것이다."
故光於所住嘉栖岬(고광어소주가서갑) : 그런 때문에 원광은 살던 가서갑(嘉西岬)에
置占察寶(치점찰보) : 점찰보(占察寶)를 두어
以爲恒規(이위항규) : 이것을 상규(常規)로 삼았다.
時有檀越(시유단월) : 이때 시주(施主)하던 여승(女僧) 하나가
納田於占察寶(납전어점찰보) : 점찰보에 밭을 바쳤는데,
今東平郡之田一百結是也(금동평군지전일백결시야) : 지금 동평군(東平郡)의 밭 100결(結)이 바로 이것이며, .
古籍猶存(고적유존) : 옛날의 문서가 아직도 있다
光性好虛靜(광성호허정) : 원광은 천성이 허정(虛靜)한 것을 좋아하여,
言常含笑(언상함소) : 말할 때는 언제나 웃음을 머금었고
形無慍色(형무온색) : 얼굴에 노여워하는 빛이 없었다.
年臘旣邁(년랍기매) : 나이가 이미 많아지자
乘輿入內(승여입내) : 수레를 타고 대궐에 출입했는데,
當時群彦(당시군언) : 그 당시 덕의(德義)가 있는 여러 어진 선비들도
德義攸屬(덕의유속) : 덕의가 있는 이로서도
無敢出其右者(무감출기우자) : 그의 위에 뛰어날 사람이 없었으며,
文藻之贍(문조지섬) : 그의 풍부한 문장은
一隅所傾(일우소경) : 한 나라를 기울였다.
年八十餘(년팔십여) : 나이 80여 세로
卒於貞觀間(졸어정관간) : 정관(貞觀) 연간에 세상을 떠나니
浮圖在三岐山金谷寺(부도재삼기산금곡사) : 부도(浮圖)가 삼기산(三岐山) 금곡사에 있다.
(今安康之西南洞也(금안강지서남동야) : (金谷寺; 지금의 安康 서남쪽 골짜기
亦明活之西也(역명활지서야) : 즉 明活城 서쪽에 있다))
唐傳云(당전운) : 당전(唐傳)에서는
告寂皇隆寺(고적황륭사) : 황륭사(皇隆寺)에서 입적(入寂)하였다고 했는데
未詳其地(미상기지) : 그 장소를 자세히 알 수가 없으나,
疑皇龍之訛也(의황룡지와야) : 이것은 황룡사(黃龍寺)의 잘못인 듯 싶으니,
如芬皇作王芬寺之例也(여분황작왕분사지례야) : 마치 분황사(芬皇寺)를 왕분사(王芬寺)라고 한 예와 같다.
據如上唐鄕二傳之文(거여상당향이전지문) : 위와 같이 당전과 향전(香奠)의 두 전기(傳記)에 있는 글에 따르면,
但姓氏之朴薛(단성씨지박설) : 그의 성은 박(朴)과 설(薛)로 되었고,
出家之東西(출가지동서) : 출가(出家)한 것도 동쪽과 서쪽으로 되어 있어
如二人焉(여이인언) : 마치 두 사람 같으니,
不敢詳定(불감상정) : 감히 자세하고 명확하게 결정지을 수가 없다.
故兩存之(고양존지) : 그래서 여기에는 두 전기를 모두 적어 둔다.
然彼諸傳記(연피제전기) : 그러나 그 두 전기에
皆無鵲岬璃目與雲門之事(개무작갑리목여운문지사) : 모두 작갑(鵲岬)·이목(璃目)과 운문(雲門)의 사실이 없는데,
而鄕人金陟明(이향인금척명) : 향인(鄕人) 김척명(金陟明)이
謬以街巷之說潤文(류이가항지설윤문) : 항간(巷間)의 말을 가지고 잘못 글을 윤색해서
作光師傳(작광사전) : <원광법사전(圓光法師傳)>을 지어
濫記雲門開山祖(람기운문개산조) : 함부로 운문사(雲門寺)의 개조(開祖)인
寶壤師之事迹合爲一傳(보양사지사적합위일전) : 보양(寶壤) 스님의 사적과 뒤섞어서 하나의 전기를 만들어 놓았다.
後撰海東僧傳者(후찬해동승전자) : 뒤에 <해동승전(海東僧傳)>을 편찬한 자도
承誤而錄之(승오이록지) : 잘못된 것을 그대로 이어받아서 기록했기 때문에
故時人多惑之(고시인다혹지) : 당시 사람들이 많이 현혹되었다.
因辨於此(인변어차) : 그래서 이것을 분별하고자
不加減一字(불가감일자) : 한 자(字)도 가감(加減)하지 않고
載二傳之文詳矣(재이전지문상의) : 두 전기의 글을 자세히 적어 두는 것이다.
陳隋之世(진수지세) : 진(陳)·수(隋) 때에
海東人鮮有航海問道者(해동인선유항해문도자) : 우리 나라 사람으로서 바다를 건너가서 도를 배운 자는 드물었으며
設有(설유) : 혹시 있다고 해도 .
猶未大振(유미대진) : 그 이름을 크게 떨치지는 못했다.
及光之後(급광지후) : 원광 뒤로
繼踵西學者憧憧焉光乃啓途矣(계종서학자동동언광내계도의) : 계속해서 중국으로 배우러 간 사람이 끊이지 않았으니 원광이 길을 열었다 하겠다.
讚曰(찬왈) : 찬(讚)해 말한다.
航海初穿漢地雲(항해초천한지운) : 바다 건너 한(漢)나라 땅을 처음으로 밟고
幾人來往挹淸芬(기인래왕읍청분) : 몇 사람이나 오가면서 밝은 덕을 배웠던가
昔年蹤迹靑山在(석년종적청산재) : 옛날의 자취는 오직 푸른 산만이 남았지만
金谷嘉西事可聞(금곡가서사가문) : 금곡과 가서(嘉西)의 일은 들을 수 있도다.